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삼기능 가설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선사 원시 인도유럽 사회의 삼기능 가설은 세 가지 사회 계급 또는 카스트—성직자, 전사, 그리고 평민(농부 또는 상인)—의 존재에 반영된 삼분할 이데올로지("idéologie tripartite")를 가정하며, 이는 각각 신성한, 군사적, 그리고 경제적인 세 가지 기능에 해당한다. 삼기능 가설은 주로 프랑스인 신화학자 조르주 뒤메질과 관련이 있으며,[1] 그는 1929년 저서 Flamen-Brahman에서 이를 제안했고,[2] 이후 미트라-바루나에서도 제안했다.[3]

삼분할
조르주 뒤메질 (1898–1986)에 따르면, 원시 인도유럽 사회는 세 가지 뚜렷한 기능에 해당하는 세 가지 주요 집단을 가졌다:[2][3]
- 주권: 두 개의 뚜렷하고 상호보완적인 하위 부분으로 나뉜다.
- 하나는 형식적이고 법률적이며 사제적이지만 세속적인 것
- 다른 하나는 강력하고 예측 불가능하며 사제적이지만 초자연적 세계에 뿌리를 둔 것
- 군대: 힘, 군사, 그리고 전쟁과 관련됨.
- 생산성: 목축, 농업, 그리고 수공예; 다른 두 계층에 의해 지배됨.
원시 인도유럽 신화에서 각 사회 집단은 자신들을 대표하는 신 또는 신들의 가족을 가지고 있었고, 신 또는 신들의 기능은 그 집단의 기능과 일치했다. 이러한 많은 구분은 인도유럽 사회의 역사에서 나타난다.
- 남부 러시아: 베르나르 세르장은 인도유럽어족을 남부 러시아의 특정 고고학 문화와 연관시키고 삼기능을 바탕으로 인도유럽 종교를 재건한다.[4]
- 초기 발트 사회: 노르베르타스 벨리우스는 그의 저서 Senovės baltų pasaulėžiūra (고대 발트 세계관)에서 세 계급과 세 지역을 식별했다. 사제 계급은 프로이센에 집중되어 있었고, 전사 계급은 외곽 고지대에서 두드러졌으며, 농업 계급은 중간 평야에서 우세했다.
- 초기 게르만 사회: 뒤메질은 게르만 왕, 전사 귀족 계층, 그리고 일반 자유민 간의 구분을 식별했다.[5]
- 노르드 신화: 오딘 (주권), 튀르 (법과 정의), 반 신족 (다산).[6][7][note 1] 오딘은 죽음의 신으로 해석되었으며[9] 화장과 관련되어 있고,[10] 또한 황홀경적 관습과도 연관되었다.[11][10]
- 고전 고대 그리스: 플라톤의 국가에서 소크라테스가 묘사한 이상 사회의 세 구분. 베르나르 세르장은 그리스 서사시, 서정시, 극시에서 삼기능 가설을 연구했다.[12]
- 인도: 세 가지 힌두 카스트, 브라만 또는 사제; 크샤트리야, 전사와 군인; 그리고 바이샤, 농업인, 가축 사육인, 상인. 네 번째 인도 카스트인 수드라는 농민 또는 농노이다.
Remove ads
수용
이 가설의 지지자로는 에밀 뱅베니스트, 베르나르 세르장, 이아로슬라프 레베딘스키와 같은 학자들이 있으며, 레베딘스키는 "기본적인 아이디어가 설득력 있게 입증된 것 같다"고 결론 내린다.[13]
이 가설은 인도유럽학 분야 외에서도 미르체아 엘리아데, 클로드 레비스트로스, 마셜 살린스, 로드니 니덤, 장 피에르 베르낭, 조르주 뒤비와 같은 일부 신화학자, 인류학자, 역사가들에게 받아들여졌다.[14]
반면에, 니콜라스 앨런은 삼분할이 사회 자체에서 사용된 조직 원리라기보다는 인위적인 요소이자 선택 효과일 수 있다고 결론 내린다.[15] 벤저민 W. 포트슨은 뒤메질이 세 기능 간의 경계를 모호하게 했고, 그가 제시한 예시들이 종종 모순되는 특징을 가졌다는 인식이 있다고 보고하며,[16] 이로 인해 비판자들이 그의 범주가 존재하지 않는다고 거부하게 되었다고 언급한다.[17] 존 브로는 인도유럽 사회 외부에서도 사회적 구분이 흔하며, 따라서 이 가설은 선사시대 인도유럽 사회를 밝히는 데 제한적인 유용성만을 가진다고 추측한다.[18] 크리스티아노 그로타넬리는 뒤메질의 삼기능주의가 현대 및 중세 맥락에서는 나타날 수 있지만, 초기 문화에 대한 투영은 잘못된 것이라고 주장한다.[19] 벨리에는 강력하게 비판적이다.[20]
이 가설은 역사가 카를로 긴츠부르그, 아르날도 모밀리아노[21] 및 브루스 링컨[22]에 의해 뒤메질의 정치적 우파에 대한 공감에 기반을 둔 것으로 비판받았다. 기 스트럼사는 이러한 비판이 근거 없다고 본다.[23]
Remove ads
같이 보기
각주
출처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