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삼진환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사영기하학에서 삼진환(三進環, 영어: ternary ring)은 사영 평면의 점의 일종의 좌표계를 구성할 수 있는 대수 구조이며, 하나의 3항 연산을 갖는다.
정의
요약
관점
삼진환 은 다음과 같은 데이터로 주어진다.
- 는 3항 연산이다.
- 및 는 상수(0항 연산)이다.
이는 다음 공리들을 만족시켜야 한다.
- 임의의 에 대하여,
- 임의의 에 대하여, 만약 라면, 인 가 유일하게 존재한다.
- 임의의 에 대하여, 인 가 유일하게 존재한다.
- 임의의 에 대하여, 만약 라면, 다음 연립 방정식은 유일한 해 를 갖는다.
Remove ads
성질
요약
관점
특별한 이항 연산
삼진환 이 주어졌을 때, 다음과 같은 두 연산을 정의하자.
그렇다면, 및 은 각각 항등원을 갖는 유사군을 이룬다.
삼진환에 대응하는 사영 평면
삼진환 이 주어졌을 때, 이에 대응하는 다음과 같은 사영 평면 을 구성할 수 있다. 우선, 점과 직선의 집합은 각각 다음과 같다.
이 사이의 인접 관계
는 다음과 같다.
또한,
은 그 속의 사각형을 이룬다.
사각형이 주어진 모든 사영 평면은 항상 위와 같은 꼴로 구성될 수 있다.
Remove ads
예
가 나눗셈환이라고 하자. 그렇다면,
를 정의한다면, 이는 삼중환을 이룬다.
역사
1941년에 마셜 홀(영어: Marshall Hall)이 사영 평면을 연구하기 위하여 삼진환의 개념 및 “삼진환”(영어: ternary ring)이라는 용어를 도입하였다.[2] 이름과 달리, 삼진환은 환이 아니다.
일부 문헌에서 이 개념은 “삼진체”(三進體, 영어: ternary field) 또는 “평면 삼진환”(平面三進環, 영어: planar ternary ring) 등으로 불린다.
참고 문헌
외부 링크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