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삼환운수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삼환운수
Remove ads

삼환운수(三煥運輸)는 인천광역시 남동구를 근거지로 한 인천광역시의 시내버스 회사이다.

간략 정보 창립, 산업 분야 ...

주요 연혁

  • 1992년 7월 22일: 삼환운수 주식회사로 회사 설립하여 남동구 2번 마을버스[1] 노선을 개통하였다.
  • 1996년 11월 : 인천시 최초로 대형급 중형버스인 BM090 2대[2]를 출고하여 운행하였다.
  • 1997년 10월 20일: 본사를 인천광역시 남동구 구월동 1071번지로 이전.
  • 1997년 11월 5일: 인천시내버스 적자노선이자 폐선된 14번, 23번, 62번 시내버스노선을 인수하였다.[3]
  • 1998년 2월 2일: 삼환교통[4]을 계열사로 출범과 14, 23, 62번 시내버스 노선이 재개통되었다.
  • 2001년 11월 22일: 삼환운수는 마을버스를 시내버스로의 변경과 더불어 신효운수[5], 태형운수[6], 도화운수[7]와 연합하여 통합 삼환운수로 탄생하여 동시에 본사를 인천광역시 남동구 만수동 1102번지로 이전하였으며, 만수동 1-301번지에 만수지점 설치.
  • 2002년 8월 12일: 전국최초로 현대자동차 중형버스인 글로벌900 디젤모델[8]을 출고하였다.
  • 2009년 2월 9일: 구월지점을 현 위치인 남동구 만수동 841-4번지로 이전.
  • 2009년 9월 30일: 삼환운수에서 분리되어 삼환여객이 설립과 533번과 534번[9]을 동사에서 분리되었다
  • 2009년 10월 9일: 만수지점을 폐쇄하고 부평구 산곡동 369-265번지에 부평지점 설치.[10]
  • 2014년 4월 16일: 본사를 남동구 서창남로 16-34 (서창동)로 이전.
  • 2017년 6월 1일: 본사를 남동구 서창방산로 136 (서창동)으로 이전.
  • 2018년 8월 17일: 자본금을 600,000,000원으로 증액.
  • 2023년 6월 2일: 인천광역시 지선버스 최초로 중형전기저상버스인 현대자동차 일렉시티타운을 출고하여 510번에 운행하고 있다.
Remove ads

운행 노선

자세한 정보 운행노선, 운행구간 ...

과거 운행 노선

지선버스
  • 531번: 간석남부역 - 하우스토리만수(구 남동1번 마을버스. 540번 통합)
마을버스
간선버스
  • 14번: 신흥동 삼환교통 본사 - 연안부두 - 옹진군청 - 숭의로터리 - 제물포역 - 도화오거리 - 인천의료원 - 가좌고교 - 경인여고 - 가정3동 - 루원사거리 - 효성소방파출소 - 작전역 (삼환교통 양도)
  • 14-1번: 세원에너지충전소 - 청천초교 - 백마장사거리 - 백운역- 인천성모병원 - 부개초교 - 송내역 - 인천대공원 - 장수사거리 - 장수서창동주민센터 - 서창2지구 (삼환교통 양도)
  • 23번: 월미도 - 인천역 - 동인천역 - 숭의로터리 - 제물포역 - 도화IC - 석바위 - 십정사거리 - 백운공원 - 부평역 - 부흥오거리 - 부개주공 - 부평동중 - 부개역 (삼환교통 양도)
  • 62번: 서창2지구 - 장수서창동주민센터 - 만수고교 - 남동구청 - 만수3동주민센터 - 간석시장 - 간석오거리 - 간석역 - 주안북부역 - 도화오거리 - 동산고교 - 동인천역 (삼환교통 양도)

보유 차종

현대 그린시티와 자일대우 NEW BS090을 보유하고 있다가 일렉시티 타운 신차에 따라 두 중형버스의 보유기록은 깨졌다.

본점 및 지점 현황

  • 본점 : 인천광역시 남동구 서창방산로 136, 103호 (서창동)
  • 구월지점 : 인천광역시 남동구 서판로63번길 17, 201호 (만수동, 공원샘터주택)
  • 송현지점 : 인천광역시 동구 방축로9번길 56 (송현동)
  • 부평지점 : 인천광역시 부평구 마장로 150 (산곡동)

각주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