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상키야 학파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상키아 학파(산스크리트어: सांख्य, sāṃkhya, sāṁkhya) 또는 샹키야 학파는 힌두교의 정통 육파철학 중의 하나로, 불교 경전 및 논서에서는 수론파(數論派)로 한역(漢譯)되어 불리고 있다.[1] 힌두교의 전통에 따르면, 상키아 학파의 시조는 카필라(Kapila: BC 4~3세기)이다.[1] 그러나 현존하고 있는 가장 오랜 원전은 이스바라크리슈나(Iśvarakṛṣṇa · 자재흑 · 自在黑: AD 4세기 또는 3세기)의 《상키아송(Sāṁkhya Kārikā)》이다.[2]
상키아 학파는 힌두교의 정통 육파철학 중 가장 오랜 학파이다.[1][3] 산스크리트어 상키아(सांख्य · Sāṁkhya)의 문자 그대로의 뜻은 '숫자(number)'로,[3] 이 때문에 상키아 학파는 수론파(數論派)로 한역되었다. 이 때의 수(數)는 숫자 자체가 아니라 '수열 또는 나열(enumeration)'을 의미하는데, 즉 상키아 학파(수론파)라는 명칭은 우주의 전개 원리들을 순차적으로 나열하고 있기 때문에 붙여진 명칭이다.[3]
상키아 학파에서는 두 가지 근본 원리인 푸루샤(purusa, 아트만, 신아 神我 divine self 신적 자아, 영혼, cosmic spirit, 정신)와 프라크리티(prakriti, 자성 自性 self-nature, 자연 自然 nature, 신체, cosmic substance, 물질)를 포함한 총 25가지의 우주적 전개 원리들을 통해 우주를 구성하고 있는 여러 계층적 구성 부분들을 밝히고 있으며 또한 우주의 전개와 해체를 설명하고 있다.[1][3] 그런데, 힌두 철학자들에 따르면, 이러한 25가지의 우주적 전개 원리들을 보여주는 상키아 학파의 철학은 이론에 그치고 마는 형이상학적 담론 또는 사색이 결코 아니며, 뚜렷한 목적을 가지고 제공되는, 존재 즉 인간과 우주에 대한 철학적 설명 또는 견해이다.[4] 상키아 철학의 목적은 고(비참)의 원인을 영원히 제거할 지식을 제공하여서 영혼이 속박으로부터 벗어나게 하려는 것("모크샤 · 해탈")이다.[4]
Remove ads
철학 개요
요약
관점
상키아 학파는, 우파니샤드의 철학자인 웃다라카(Uddalaka Aruni)의 1원론적(一元論的) 철학인, 유(有, sat, 존재)가 정신(스피릿)적인 원리이면서 동시에 물질(질료) 전개의 원리라는 견해를 비판하고 정신(스피릿)적 원리로서의 푸루샤(purusha, 아트만, 신아 神我 divine self 신적 자아, 영혼, cosmic spirit)와 질료적인 원리로서의 프라크리티(prakriti, 자성 自性 self-nature, 자연 自然 nature, 신체, cosmic substance, 물질)라고 하는 서로 별개인 두 가지 근본 원리 또는 실체에 의거하여 세계가 전개되고 해체된다는 2원론을 수립하였다. 처음에는 이 2원론을 통일하는 최고신으로서의 브라만(梵)을 시인하고 유신론에 바탕을 두었으나 후에는 이를 부정하고 무신론적 2원관이 되었다.[1]
상키아 학파에 따르면, 푸루샤는 순수의식으로서 아무런 작용도 하지 않고 다만 프라크리티를 관조(觀照)할 따름이다. 그런데 질료인인 프라크리티는 물질(질료)을 전개하는 힘을 지니며 그 결과로서 나오는 물질은 구성의 우열에 따라 차이가 생겨나고 푸루샤와 결합하여 개체(아항카라 · ahamkara)가 된다. 개체(아항카라)의 세계는 고(苦)인데, 고는 푸루샤와 프라크리티의 결합에 기인한다. 그러므로 푸루샤가 프라크리티를 자기 자신으로 동일시 하지 않는 상태에 이르는 것이 해탈(解脫)이다. 그렇지만 푸루샤는 불변순수(不變純粹)이기 때문에 해탈에 의한 변화는 없다. 해탈을 위한 푸루샤의 지(智), 즉 아트마 즈냐나를 얻기 위해서는 요가의 수행이 강조되었다.[1]
푸루샤와 프라크리티를 두 가지 최고 원리로 하는 상키아 학파의 이원론적 철학은, 이(理)와 기(氣)를 두 가지 최고 원리로 하는 중국 및 한국 철학의 이기이원론(理氣二元論)과 그 견해가 유사하다. 서양철학의 경우 데카르트의 레스 코그니탄스(res cogitans: 생각하는 자, 사유를 속성으로 하는 실체)와 레스 엑스텐사(res extensa: 연장하는 자, 연장을 속성으로 하는 실체)의 심신이원론(心身二元論)과 유사하다. 푸루샤의 개념은 서양의 밀교 중의 하나인 헤르메스주의의 신에 대한 견해 중에서 신이 모든 악에서 벗어나 있는 지고한 선(Supreme Good)이라는 개념과 유사하다. 반면 헤르메스주의의 신에 대한 견해 중에서 신이 선과 악을 포괄하는 전체 존재라는 개념은 상키아 철학의 기초가 되었던 우파니샤드의 철학자 웃다라카의 1원론적 철학과 유사하다.
Remove ads
용어 목록
요약
관점
가
자세한 정보 한국어, 한자/중국어 (금칠십론 외) ...
| 한국어 | 한자/중국어 (금칠십론 외) |
산스크리트 | 영어 |
|---|---|---|---|
| 가우다파다[5] | 喬荼波陀[6][7] 乔荼波陀[8][9][10] 교다파다[11] 교다파타[11] qiáotú bōtuó[10] 차오투어 보투워 |
गौडपाद[12][13] Gauḍapāda [5][12][13][14][15][16][17] 가우다 빠-다[18] 구다파다[19] 가우가파-다[20] |
Gaudapada[16] 가우다파다[21] |
| 가현설[22] | 假現說[22][23] 假现说[24] 가현설[25] jiǎxiàn shuō[26] jiǎ xiàn shuō[26] 쟈시애 슈어[26][27][28][29] 쟈시앤 슈어[24] |
विवर्तवाद[30] vivartavāda[22][30] vivarta-vāda[31] vi-varta-vāda[30] |
vivartavada[32] vivarta-vada[30] theory of manifestation[32] theory of illusion[31] The Vedanta idea that the world is merely an unreal manifestation (vivarta) of Brahman[32] The Vedānta doctrine that the Universe is developed from Brahma as the sole real entity and the phenomenal world is a mere illusion or Māyā[30] |
| 결과[22] | 結果[33] 结果[34][35][36] 결과[33] jiéguǒ[34][35][36] 찌에꾸어[35][36] 지에꾸어[34] |
कार्य[37][38] kārya[22][37][38] 까-리야[39] 까-리아[39] |
karya[37][40] 커리야[41] effect[37][40] result[37] |
| 경[42] | 經[42] | सूत्र sūtra[42] 수뜨라[43][44] 수트라 |
sutra[45] |
| 고[46] 괴로움 고통 |
苦[46] | दुःख[47] duḥkha[47][48][49] |
affliction[50][51][52][53][54][55][56][57][58][59] suffering[48][49][50] unease[50] uneasiness[50] unhappiness[50] unpleasant[50] unsatisfactoriness[50] |
| 고행[71] | 苦行[71] | तपस्[72] tapas[71][72] 따파스[73] |
tapas[72] |
| 구나[74] 구성성분 구성요소 성분 요소[75] 성격 성질 속성 특성 특질 |
德(virtues)[76][77][78][79][80] 덕[81][82] dé[83][84] 더[83][84] 求那[77] 구나[85] qiú nà[86][87] 치오나[86][87] 股[76] 고[88] gǔ[89][90][91] 고[89][90][91] 成分[76][78] 성분[92] chéng‧fèn[93][94] 청펀[93][94] 要素[76] 요소[95] yàosù[96][97][98][99] 야오쑤[96][97] 相(attributes)[77] 상[100][101] xiàng[102][103] 시앙[102][103] xiāng[102][104][105] 샹[102][104][105] 性質[76][78][80] 屬性[106][107] 属性[108][109] 質(qualities)[77] 特性[106][108] 特質[79] 特质[110] |
गुण[111] guṇa[75][111] |
guna[112] innate nature and forces that together transform and keep changing the world[113] innate qualities and tendencies[113] tendency, tendencies[114] substance, substances[114] string, a single thread or strand of a cord or twine[115] constituent elements (of the primordial matter called prakṛti)[116] compositional components of existence[77] ingredient or constituent of Prakṛti[115] quality,[111] qualities (good or bad)[114][115] subdivision, species, kind, quality[111] attribute, attributes[114] chief quality of all existing beings (sattva, rajas, and tamas = goodness, passion, and darkness = virtue, foulness, and ignorance)[115] capacity, capacities[114] operational principle or tendency[111] fundamental operating principles or “tendencies” of prakṛti (universal nature)[116] three fundamental tendencies or forces that constitute nature[111] matrix of material existence[111] modes of material nature: goodness, passion, and ignorance[117] merit, merits[115] good quality, merit, virtue, excellence[115] positive characteristics[118] |
닫기
나
자세한 정보 한국어, 한자/중국어 (금칠십론 외) ...
| 한국어 | 한자/중국어 (금칠십론 외) |
산스크리트 | 영어 |
|---|---|---|---|
| 냐야-바이쉐시카[119] | न्यायवैशेषिक[120] Nyāya-Vaiseṣika[119] Nyāya-vaiśeṣika[120] Nyāyavaiśeṣika[120] 냐-야 와이쉐-시카[121][122] |
Nyaya-vaisesika[120] Nyaya-vaisheshika[120] Nyayavaisesika[120] Nyayavaisheshika[120] |
|
| 논[42] 논서 |
論[42] | प्रकरण prakaraṇa[123] 쁘라까라나[124] |
treatise, monograph, book[125] |
닫기
라
자세한 정보 한국어, 한자/중국어 (금칠십론 외) ...
| 한국어 | 한자/중국어 (금칠십론 외) |
산스크리트 | 영어 |
|---|---|---|---|
| 라자스[75][126] | 羅闍[76][127][77] 罗阇[78] 라사[128] luó shé[129][130][131] 로어셔[131] 刺闍[127][132] 刺阇[133] 자사/라사[134] cī shé/là shé[135][136][131] 쯔셔/라셔[136][131] 剌闍[132][137] 剌阇[138] 라사/랄사[139][140][141] là shé[142][131] 라셔[138][131] 激質[127][79][143] 激质[110] 격질[144] jī zhì[145][146][147] 지지[145][146][147] 憂[76] 忧[78] 우[148] yōu[149][150] 요우[149][150] 苦[76] 고[151][152] kǔ[153][154] 쿠[153][154] 嗔[76] 진[155] chēn[156][157] 첸[156][157] 激性[79][110] 격성[158] jī xìng[159][160] 지싱[159][160] |
रजस्[161][162] rajas[75][161][162] 라자스[163] |
rajas[161][162] 라자스[164] 라저스[164] passion[161] activity[161] disturbance[165] innate tendency or quality that drives motion, energy, and activity[161] turbidity[132][143] quality of passion, activity, neither good nor bad and sometimes either[161] quality or property of passion[162] quality of love and hate[166] quality (guṇa) of turbidity[127] concepts of energy, activity, ambition, and passion[167] |
닫기
마
자세한 정보 한국어, 한자/중국어 (금칠십론 외) ...
| 한국어 | 한자/중국어 (금칠십론 외) |
산스크리트 | 영어 |
|---|---|---|---|
| 마하바라타[168] | 摩訶婆羅多[169] 摩诃婆罗多[170] |
महाभारत mahābhārata[171] 마하바랏[172][173] 마하바랏트[172][173] 마하바랫트[172] 마하- 바-랫따[174] महाभारतम् Mahābhāratam[175] |
Mahabharata[176] 마하- 바-라타[177] 마하- 브라타[178] |
| 미현현[179] 불현현[180] |
未顯現[179] 未显现[181] 미현현[182] wèi xiǎnxiàn[181][183] 웨이 시앤시앤[181][183] 不顯現[180] 不显现[184] 불현현[185] bù xiǎnxiàn[184][186] 부 시앤시앤[184][186] |
अव्यक्त[187][188] avyakta[179][187][189] 아 비앗따[190][191] |
avyakta[189] 애비앗다[192] 아비앗[192] unevolved (evolver of all things)[187] unapparent[187] uncreated[187] undeveloped[187] unmanifest = unmanifested = not manifest[187][189] devoid of form[189] imperceptible[187] indistinct[187] invisible[187] |
닫기
바
자세한 정보 한국어, 한자/중국어 (금칠십론 외) ...
| 한국어 | 한자/중국어 (금칠십론 외) |
산스크리트 | 영어 |
|---|---|---|---|
| 바가바드 기타[168] | 薄伽梵歌[193][194] 薄伽梵頌[193] 薄伽梵颂[194] |
भगवद्गीता bhagavadgītā[195] 바가받 기따[196] |
Bhagavad-Gita 바가받 기다[197] |
| 바차스파티미슈라[5][198] | 婆察斯巴蒂·彌尸羅[6] 婆察斯巴蒂·弥尸罗[8] 한자 독음:[199] 婆察斯巴蒂·彌弥尸羅罗 병음:[200] 婆 察 斯 巴 蒂 · 彌弥 尸 羅罗 포차 스빠띠 미쉬뤄[201] |
वाचस्पतिमिश्र[202] Vācaspatimiśra[5][198] Vācaspati Miśra[15] Vâchaspati Miśra[203] 와-차 스빠띠 미시라[204] |
Vachaspati[205] 와처 스파디[206] 바처 스파티[206] 배처스 파디[206] Vacaspati-mishra[202] Vacaspati Mishra[207] |
| 뱌사[198] | 廣博[208] 廣博仙人[209] 广博仙人[210] [광박선인[211], 꽝뽀-씨에렌 guǎngbó xiānrén[212]] 毗耶娑[209][210] [비야사[213], 피에수오 pí yē suō[214][215]] 島生黑仙人[209] 岛生黑仙人[210] [도생흑선인[216], 다오셩 헤이 씨에렌 dǎoshēng hēi xiānrén[217][218]] |
व्यास[219][220] Vyāsa[198][219][220] Vy-āsa[220][221] 발음: 비 아-사[222] 비아사[223] 비아-서[224] 비아서[223] |
Vyasa[219] [비아사[225] ˈvjɑːsə[219]] |
| 비즈냐나빅슈[226] 비즈냐나 빅슈 |
吠若那比柯宿[227][228] 한자 독음/중국어 발음: 폐야나 비가수[229] Fèi ruò nà bǐ kē sù[230][231] 페루나 비커수 |
विज्ञानभिक्षु Vijñānabhikṣu[226][232] Vijñāna Bhikṣu[233][234] 발음: 윅냐-나 빅슈[235][236] |
Vijnanabhikshu[232] Vijnanabhiksu[237] 발음: 비즈나나 빅슈[238] |
닫기
사
자세한 정보 한국어, 한자/중국어 (금칠십론 외) ...
| 한국어 | 한자/중국어 (금칠십론 외) |
산스크리트 | 영어 |
|---|---|---|---|
| 사트바[75][239] | 薩埵[76][240] 萨埵[78] 살타[241] sà duŏ[242][243] 싸둬[242][243] 純質[79][244][245] 纯质[110] 순질[246] chún zhì[247][248] 천지[247][248] 喜[76][78] 희[249] xǐ[250][251] 시[250][251] 喜德[76] 희덕[252] xǐdé[253] xǐ dé[254] 시더[253][254] 樂[76] 乐[255] 낙[256] lè[255][257] 러[255][257] 貪[76] 贪[258] 탐[259] tān[258][260] 탄[258][260] 悅性[79] 悦性[110] 열성[261] yuè xìng[262][263] 웨싱[262][263] |
सत्त्व[239][264][265] sattva[75][76][78][264][265] sat-tva[265] 삿트와[266][267] 삿뜨와[268] |
sattva[264][265] 삳으바[269] 삳바[269] goodness[264] purity[240][270] qualities of goodness, light, and harmony[270] quality of excellence or goodness[265] quality of purity or goodness[265] quality of truth and genuine goodness[265] |
|
सांख्य[276] |
|||
| 샥티 샤크티[284] (무한한 창조의) 힘[179] |
夏克提[285][286] 하극제/하극리[287] xià kè tí[288][289] 샤크티[288] |
शक्ति[290] śakti[179][290] 샥띠[291] |
Shakti[290] 샥띠[292] Universal Power[290] cosmic energy[293] energy (of a Hindu god)[293] |
| 선나[294] 선법[71] |
禪那[295] 禅那[296] 선나[297], 찬나 chánnà[298] 禪法[71] 禅法 선법[299], 찬파 chánfǎ[300] |
ध्यान[301][302][303] dhyāna[71][301][302][303] 발음: 디아-나[304][305] 디얀[306] 디안[306] 디아나[306] |
dhyana[301][303] 다이애나[307] 디아나[307] 디안[307] |
| 소[42] 주석서[42] |
疏[42] | भाष्य bhāṣya 발음: 바-시아[308] |
bhashya[309] |
| 수론송[5] 수론칠십[5] |
數論頌[5] 数论颂[310] 數論偈[311] 數論七十[5] |
सांख्यकारिका[312][313] sāṃkhyakārikā[312] Sāṁkhyakārikā[313] Sāṁkhya-kārikā[5] Sāṃkhya kārikā[314] Sāṅkhya-kārikā[311] 발음: 상-키아 까-리까-[315] |
Samkhyakarika[313] Samkhya Karika[316] 발음: 삼키아 커리카[317][318] sāṃkhyasaptati[312] Sāṁkhyasaptati[5] |
| 수론송소[5] | 數論頌疏[5] 喬荼波陀注[6] 乔荼波陀注[8][310] 高達帕達注[319] |
Sāṁkhyakārikā-bhāṣya[5] Sāṁkhyakārikābhāṣya[320] sāṃkhya-kārikā-bhāshya[321] 발음: 상-키아 까-리까- 바-시아[315][308] Gauḍapāda Bhāṣya[14][15] Gauḍapāda-bhāṣya[6][8][310][319] Gauḍapādabhāśya[17][320] 발음: 가우다 빠-다 바-시아[18][308] |
Gaudapada Samkhya Karika Bhasya[207] |
| 수론의 해명[198] | 數論의 解明[198] | सांख्यप्रवचन[322][323] Sāṁkhya-pravacana[198] sāṃkhya-pravacana[322] Sāṃkhyapravacana[322] sāṃkhyapravacana[323] 발음: 상키아 프라와차나 |
Samkhyapravacana[322] |
| 수론정요[226] 상키아 사라 |
數論精要[226] | Sāṃkhyasāra[233] Sāṁkhya-sāra[226] 발음: 상키아 사라 |
Sankhyasara[324] |
| 수론해설경[226] 상키아 프라와차나 수트라 수론경 상키아 수트라 |
數論解說經[226] 數論經[325] 数论经[326] |
सांख्यप्रवचन सूत्र sāṃkhyapravacana[323] Sāṁkhyapravacanasūtra[327] Sāṁkhyapravacana-sūtra[226] Sâṃkhya-Pravachana-Sûtram[203] 발음: 상키아 프라와차나 수뜨라 सांख्यसूत्र sāṃkhyasūtra[328] 발음: 상키아 수뜨라[329] |
Samkhya Pravachana Sutra[327] Samkhya Sutra[327] |
| 수론해설경소 상키아 프라와차나 바시아 수론경소 상키아 수트라 바시아 |
數論解說經疏 數論經疏 |
Sāṁkhyapravacanabhāṣya[330][331] 발음: 상키아 프라와차나 바시아 Pravacanabhāṣya[233] 발음: 프라와차나 바시아 |
Sankhya Pravachana Bhashya Sankhya-pravachana-bhashya[332] Sankhyasutrabhashya[324] |
| 슈베타슈바타라 우파니샤드[168] | 白螺氏奧義書[333] 白螺氏奥义书[334] 白淨識奧義書[335] |
श्वेताश्वतरोपनिषद् Śvetāśvataropaniṣad[336] 발음: 스웻따 스웻따롭 니샷[337] 스웻따 스웻따르 옵니샷[338] 스웻따스 바따롭 니샷[339] |
Shvetashvatara Upanishad[336] |
닫기
아
자세한 정보 한국어, 한자/중국어 (금칠십론 외) ...
| 한국어 | 한자/중국어 (금칠십론 외) |
산스크리트 | 영어 |
|---|---|---|---|
| 아슈리[226] 아수리[342] |
阿修利[343] | आसुरि[344] Āsuri[226][345] 발음: 아-수리 [aːˈsʊri, ah-soo-ri][346] |
Asuri[344] |
| 요가 수트라 요가경[347] |
요가經[347] 瑜伽經[348] 瑜伽经[349] |
Yoga-sūtra[347] | Yoga Sutras[350] |
| 요가경소[198] | 요가經疏[198] 瑜珈經注[351] 瑜伽经注[227] 한자 독음/중국어 발음: 유가경주[352] yújiā jīng zhù[351] yújiā jīngzhù[353] 위쟈 징주 瑜伽釋論[208] 瑜伽释论[354] 한자 독음/중국어 발음: 유가석론[355] yújiā shìlùn[354] 위쟈 쉬런[354] |
योगसूत्रभाष्य[356][357] Yoga-sūtra-bhāṣya[198] Yogasūtrabhāṣya[356] yoga-sūtra-bhāṣya[356][358] yogasūtrabhāṣya[357] योगभाष्य[359][360] Yoga-bhāṣya[208][234] Yogabhāṣya[359] yoga-bhāṣya[358][359] yogabhāṣya[360] |
Yogabhashya[361][362] Yogasutrabhashya[356] |
| 요가순수강요[198] | 요가純粹綱要[198] 瑜伽精髓集要[228] 한자 독음/중국어 발음: 유가정수집요[363] yújiā jīngsuǐ jíyào[364][365] 위쟈 징쇠이 지야오[364] 위쟈 징쇠이 지요[365] |
योगसारसंग्रह[366] Yogasāra-saṁgraha[198] Yoga-sāra-saṃgraha[228] yoga-sāra-saṃgraha[366] Yogasārasaṃgraha[366] योगसारसङ्ग्रह[366] Yogasārasaṅgraha[366] yoga-sāra-saṅgraha[366] |
Yogasarasamgraha[366] |
| 요가평석[198] | 요가評釋[198] 瑜珈釋補[367] 瑜伽释补[227] 한자 독음/중국어 발음: 유가석보[368] yújiā shì bǔ[367][369] 위쟈 시뿌[367] |
योगवार्त्तिक[370][371] pātañjalabhāṣyavārttika[370] Vārttika[372] Yoga-vārttika[198][227] Yogavārttika[370] yoga-vārttika[370] yogavārttika[371] योगवार्टीका[234] Yogavārṭīkā[234] |
Yogabhashyavarttika[324][373] Yogavarttika[373] |
| 원인[22] | 原因[374] 원인[374] yuányīn[375][376] 웬인[375][376] |
कारण[377] kāraṇa[22] 까-라나[378][379] |
karana[380] 커라나[381][382] 카라나[381][382] cause[377][380] reason[377] |
| 이슈바라크리쉬나[5] 자재흑[5] |
自在黑[5][383] | ईश्वरकृष्ण[384]
ईश्वर कृष्णः[383] Īśvarakṛṣṇa[5][383] Īśvara Kṛṣṇa[383] īśvara-kṛṣṇa[384] Īśvará-kṛishṇa[385] 발음: 이-스와라 크리슈나[386][387] |
Ishvarakrishna[384] Ishvara Krishna[313] 발음: 이스바라 크리슈나[388][389] 이슈바라 크리쉬나[388][389] |
| 인중무과론[22] | 因中無果論[22] 因中无果论[390][391] 인중무과론[392] yīn zhōng wúguŏ lùn[391] yīn zhōng wú guǒ lùn[390] 인쫑우꿔런[390][391] 因中無果[393] 因中无果 인중무과 yīn zhōng wúguŏ yīn zhōng wú guǒ 인쫑우꿔 |
असत्कार्यवाद[394] asatkāryavāda[22][394] asat-kārya-vāda[394] 아삿 까-리아 바-다 asat-kārya[393] 아삿 까-리아 |
asatkaryavada[394] doctrine of effect being a new emergence[391] ideology which believes that the effect is not present in the cause[394] theory of no effect in cause[390] effects are not [necessarily] inherent in their causes[393] effect, as an effect, is not in cause[394] |
| 인중유과론[22] | 因中有果論[22] 因中有果论[395] 인중유과론[396] yīnzhōng yǒu guǒlùn[397][398] yīn zhōng yǒu guǒ lùn[395] 인쫑 요 꿔런[395][399][400][401] 因中有果[402] 인중유과[403] yīnzhōng yǒuguǒ[404] yīn zhōng yǒu guǒ[405] 인쫑 요꿔[404][405][399][406] 因中說果[407][408][409] 因中说果[410] 인중설과[411] yīnzhōng shuōguǒ[412] yīn zhōng shuō guǒ[410] 인쫑 슈어꿔[410][412] |
सत्कार्यवाद[413][414] satkāryavāda[22][413][414] sat-kārya-vāda[407][414] 삿 까-리아 바-다[415] |
satkaryavada[413] satkarya-vada[416] |
닫기
자
자세한 정보 한국어, 한자/중국어 (금칠십론 외) ...
| 한국어 | 한자/중국어 (금칠십론 외) |
산스크리트 | 영어 |
|---|---|---|---|
| 전변설[22] | 轉變說[22][417] 转变说[418][419] 전변설[417] zhuǎnbiàn shuō[419][420] 쫜비앤 슈어[419][420] |
परिणामवाद[421] pariṇāmavāda[22][421] pari-ṇāma-vāda[421] 파리 나-마 바-다[422] परीणामवाद[421] parīṇāmavāda[421] |
parinamavada[421][423] parinama-vada[421][423] 퍼리 나마 바다[424] 파리 내미 배다[424] doctrine of evolution[421] theory of tramsformation (which states that all the substances get changes continously)[421] In Vedanta, the idea that the world is a real transformation (parinama) of Brahman[423] |
| 제1원인[179] | 第一原因[425] 제일원인[425] dìyī yuányīn[426][425] 디이 웬인[426] |
प्रधान[427][428] pradhāna[179][427][428][429] |
pradhana[427] 퍼다나[430] chief cause (of the material nature)[427] primal matter[427] first principle[427] |
| 존재[22] | 存在[431][432] 존재[431] cúnzài[432][433] 천짜이[432][433] |
सत्[434] sat[22][434] 삿(트)[435][436] |
being[434] (있음, 존재) existing[434] (존재함) existent[434] (존재) self-existent[434] (스스로 존재함, 저절로 있음, 자재 自在) that which really exists[434] (실재하는 것, 진실로 존재하는 것, 실유 實有) the really existent truth[434] (실재하는 진리, 실유의 진리, 진제 眞諦, 실제 實際) reality[434] (실재 實在) Brahman[434] (브라만) Supreme Spirit[434] (지고한 영) Universal Spirit[434] (우주의 영, 우주심, 우주의식) |
| 진리월광[5] | 眞理月光[5] 明諦論[6] 明谛论[8] |
तत्त्वकौमुदी[437] Tattvakaumudī[5][437] Tattva-kaumudī[6][8] Tattva-Kaumudî[203] tat-tva-kaumudî[437][438] Sāṁkhyatattvakaumudī[207][14] Sāṃkhyatattvakaumadī[15] |
Tattvakaumudi[437] Samkhya tattva kaumudi[207] The Moonlight on the Sāṃkhya Principles of Reality[15] |
| 진리통효[198] | 眞理通曉[198] 眞理通晓[439] 真理通曉[440] 真理通晓[440] 한자 독음/중국어 발음: 진리 통효[441] zhēnlǐ tōngxiǎo 쩐리 통시오[439][440] 쩐리 통시아오[442][443] 真實探奧[208] 真实探奥[444] 한자 독음/중국어 발음: 진실탐오 zhēnshí tànào 쩐씨 탄오[445][446] 쩐씨 탕오[444] |
तत्त्ववैशारदी[447][448] Tattva-vaiśāradī[208] Tattvavaiśāradī[198][448][449][372] 발음: 탓트와 와이샤라디[450][451] |
Tattvavaisharadi[448] |
| 진화[452] | 進化[452] 进化[453] 진화[454] jìnhuà[453][455][456] 찐화[453][455][456] |
सर्ग[457][458] sarga[452] |
creation (of the world)[457][458] creation or evolution (of the Universe)[457] products[457] |
| 질료인 (세계의) 질료적 원인[179] 근인 |
質料因[459] 质料因[460] 질료인[461] zhìliào yīn[462][463] 쯔랴오 인[462][463] 質料的 原因[179] 近因 |
उपादानकारण[464][465][466] upādāna-kāraṇa[179][464] upādānakāraṇa[464] 우파다나 카라나[467][468] 우빠다나 까르나[469][470] 우빳나 까르나[469][470] |
material cause[464][466][471](질료인 質料因) immediate cause[464](직근원인, 결과에 가장 가까운 원인, 직접적인 원인) proximate cause[464](근인 近因) |
닫기
카
자세한 정보 한국어, 한자/중국어 (금칠십론 외) ...
| 한국어 | 한자/중국어 (금칠십론 외) |
산스크리트 | 영어 |
|---|---|---|---|
| 카타 우파니샤드[168] | 石氏奧義書[472] 石氏奥义书[473] 伽陀奧義書[472] 伽陀奥义书[473] |
कठोपनिषद् Kaṭhopaniṣad[474] 발음: 까토파니샤드[475] |
Katha Upanishad[474] 발음: 가타 우파니샤드[476] 카타 우파니샤드[477] |
| 카필라[226] 가비라[478] |
迦毘羅[479][480] 迦毘罗[481] 迦毘羅仙[480] 迦毘罗仙[481] 迦毗羅仙人[482] 迦毗罗仙人[483] |
कपिल kapila[484] 발음: 카필라[485] |
Kapila[486][487][488][489][490][491] |
닫기
타
자세한 정보 한국어, 한자/중국어 (금칠십론 외) ...
| 한국어 | 한자/중국어 (금칠십론 외) |
산스크리트 | 영어 |
|---|---|---|---|
| 타마스[75] | 多磨[76][78][244][492] 다마[493] duō mó[494] 뚸 모어[494] duōmó[495] 뚸모 多摩[496] 다마[497] duōmó[498][499] 뚸모어[499] 뚸모[498] 答摩[244][500] 답마[501] dámó[502][503][504] 따모어[503][504] 따모[502] 闇德[76] 暗德[505] 암덕[506] àndé[505][507][84] 안더[505][507][84] 翳質[244][508] 翳质[509] 예질[510] yìzhì[509][511][147] 이지[509][511][147] 闇質[79] 暗质[110] 암질[512] àn zhì[513][514] 안지[513][514] 闇癡[76] 暗痴[515][507][516] 암치[517] ànchī[515] 안치[515][507][516] 闇[76][77] 暗[78][518][519] 암[520] àn[507][519] 안[507][519] 捨[76] 舍[521] 사[522] shè[521][523] 셔[521][523] 癡[76] 痴[524] 치[525] chī[516][524] 치[516][524] 惰性[79][110] 타성[526] duòxìng[527][528] 뚜어싱[527][528] |
तमस्[529][530] tamas[75][76][77][78][529][530] 따마스[531] 따머스[532] 타머스[532] |
tamas[530][533][534] 타머스[535] 타마스[535] darkness[77][529][530][533][536][537] delusion[529][538] dullness[533] ignorance[529][538] indifference[533] inertia[536] insensitivity[536] mental darkness, ignorance, illusion, error[529] obscuration[244] concept of darkness and death[534] property of darkness[529] quality of ignorance[539] quality of inertia, inactivity, dullness, or lethargy[530] a quality that is the cause of heaviness, ignorance, illusion, lust, anger, pride, sorrow, dulness, and stolidity in everything in creation[529] material mode of ignorance[540] template for inertia or resistance to action[533] |
닫기
파
자세한 정보 한국어, 한자/중국어 (금칠십론 외) ...
| 한국어 | 한자/중국어 (금칠십론 외) |
산스크리트 | 영어 |
|---|---|---|---|
| 파탄잘리[71] | 波顛闍利[348] 波颠阇利[349] 한글 독음:[541] 파전사리 중국어 발음:[542] bōdiāndūlì 보디안 둘리 |
पतञ्जलि[350] Patañjali[350][71] |
Patanjali[350] |
| 판차쉬카[226] 반시하[543] |
般尸訶[544] 般屍訶[545] 般尸诃[546] |
पञ्चशिख Pañcaśikha[547][548] Pañcaśika[226] 발음: 판차쉬카[549][550][551] |
Pancasikha[552] Panchashikha[553][554] |
| 푸루샤[46] (인간의 영원한) 자아[46] 정신[46] 지자(아는 자, 앎, 의식)[555][556] 진아(참된 자아, 진정한 자아)[557] |
神我(신아, 신적 자아)[310][319] 신아 shén wŏ[558][559] 신워[558] 싱워[559] 我(아, 자아)[555][556] (인간의 영원한) 自我(자아)[46] 자아 zìwǒ[560][561] 쯔워[560][561] 精神(정신, 영)[46] 정신 jīng‧shén[562][563] 징센[562][563] 精神性的根本实体(정신적 근본 실체, 영적 실체)[310] 精神性的根本實體 정신성적근본실체 jīngshénxìng de gēnběn shítǐ[564][565] 징센싱더 근번 시티[564][565] 知者(아는 자, 앎, 의식)[555][556] 지자 zhī zhĕ[566][567] 지즈[566][567] 眞我[557][568] 真我 진아 zhēn wŏ[569][570] 찡워[569][570] |
पुरुष[571][572] puruṣa[46][319][571][572] púrusha[573] 뿌루샤[574][575] |
Purusha[572] 푸루샤, 퍼루샤, 퓨루샤[576][557] Self(자아)[572] soul(영혼)[571][572] Soul of the universe(우주의 영혼)[571] spirit(정신, 영)[571] Supreme Being(지고자)[571] Universal Principle(우주적 원리, 보편 원리)[572] universal Self(우주적 자아)[572] |
| 프라크르티[179] 근본물질[577] 근본자성[577] 물질[179][577] 본성[577] 성(性)[555][556][577] 원초물질[577] 자성[555][556][577] 자연[578] |
根本物質[577] 根本物质[579] 근본물질[580] gēnběn wùzhì[579][581] 근번우지[579][581] 根本自性[577] 근본자성[582] gēnběn zìxìng[583][584] 근번쯔싱[583][584] 物質[179][577] 물질[585] wùzhì[586][587] 우지[586][587] 本性[577] 본성[588] běnxìng[589][590] 번싱[589] 벤싱[590] 性[555][556][577] 성[591] xìng[592][593] 싱[592][593] 原初物質[577] 原初物质[594] 원초물질[595] yuánchū wùzhì[594][596][597][587] 옌추 우지[594][596][597][587] 自性[555][556][577] 자성[598] zìxìng[599][600] 쯔싱[599][600] 自然[578] 자연[601][602] zìrán[603][604] 쯔란[603][604] |
प्रकृति[578][605] prakṛti[179][577][578][605] 쁘라크르띠[606] 프라크르띠[607] 프라끄띠[607] mūlaprakṛti[577] 물-라 쁘라크르띠[608] |
prakriti(프라크리티)[578][605] matter(물질)[577] primordial matter(원초물질)[577] root-matter(근본물질)[577] |
닫기
하
자세한 정보 한국어, 한자/중국어 (금칠십론 외) ...
| 한국어 | 한자/중국어 (금칠십론 외) |
산스크리트 | 영어 |
|---|---|---|---|
| 해체[452] 프랄라야[609] |
解體[452] 解体[610][611][612] 해체[613] jiětǐ[610][612] 지에티[610][612] 劫滅[614] 劫灭[615] 겁멸[616] jié miè[617] 지에미에[617] 壞[618] 坏[619][620] 괴[621] huài[619][620] 화이[619][620] 滅[622] 灭[623][624] 멸[625] miè[623][624] 미에[623][624] 竟[626] 경[627] jìng[628][629] 징[628][629] |
प्रलय[630][631] pralaya[452][630][631] pra-laya[630] 프랄라야[632] |
dissolution[630] (용해, 분리, 해산, 해체, 파멸, 죽음)[633] reabsorption[630] (재흡수)[634] destruction[630] (파괴, 파멸, 멸망)[635] annihilation[630] (전멸, 섬멸, 괴멸, 멸종, 소멸, 적멸)[636] |
| 해탈법품[168] | 解脫法品[168] | मोक्षधर्मपर्व Mokṣadharmaparva[637] 목샤 다르마 파르와[638] |
Moksha-dharma Parva[639] |
닫기
Remove ads
같이 보기
각주
참고 문헌
외부 링크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