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샌디브리지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샌디브리지(영어: Sandy Bridge)는 인텔의 중앙 처리 장치이자 상표이다.
Remove ads

Remove ads
기술
샌디브리지는 인텔 프로세서의 마이크로아키텍처 코드네임으로서 네할렘을 이을 차세대 마이크로아키텍처이다. 인텔은 이스라엘 개발 센터(IDC)를 중심으로 2006년부터 샌디브리지의 개발을 시작했으며 '웨스트미어'부터 적용된 32 nm 공정 기술을 적용하였다.[2] 이 코어의 이전 이름은 이스라엘 개발 센터가 붙인 '게셔'(히브리어로 다리를 의미함)였지만 인텔의 저스틴 래트너가 2007년 춘계 인텔 개발자 포럼 기조연설에서 언급하였듯이 게셔는 이스라엘의 한 정당의 이름과 중복된다는 이유로 2007년 4월 17일에 이름을 수정했다.[3][4]
- 네할렘보다 업그레이드된 기능
- 32 kB 데이터 + 32 kB 명령 1차 캐시 (3 클럭) 및 256 kB 2차 캐시 (8 클럭) - 코어 당 기준
- 공유 L3 캐시에 프로세서 그래픽 (LGA 1155) 포함
- 64바이트 캐시 라인 크기
- 각 메모리 채널에 CPU 사이클 당 두 개의 적재/저장 기능
- 디코딩된 마이크로오퍼레이션 캐시 및 확장된 최적화된 분기 예측
- 초월함수, AES 암호화, SHA-1 해시 성능 개선
- 코어, 그래픽, 캐시 및 시스템 에이전트 도메인 간 256비트/사이클 링 버스 상호 연결
- 고급 벡터 확장 (AVX) 256비트 명령 집합 (더 넓은 벡터, 새로운 확장 가능 문법, 풍부한 기능 포함)
- 인텔 퀵 싱크 비디오 - 비디오 인코딩, 디코딩 하드웨어 지원
- 최대 8개의 물리 코어/16개 논리 코어 (하이퍼스레딩)
Remove ads
아이비브릿지
아이비브리지(영어: Ivy Bridge)는 22 나노미터 다이 시링크의 샌디브릿지에 대한 코드 이름이다. 중앙 처리 장치 생산 판매 업체인 인텔에서 2012년 제2사분기에 출시를 목표[5]로 개발하고 있는 중앙 처리 장치를 가리킨다.[6] 이 중앙 처리 장치는 최초로 트라이게이트 기술을 적용할 중앙 처리 장치이다.[7]
성능
- 린필드에 비해 클럭 당 성능 17% 이상 향상.[8]
- 클락데일에 비해 약 2배 통합 그래픽 성능 향상.
CPU 사양 비교
샌디브리지 제품군
요약
관점
- HD 3000 GPU가 내장된 프로세서는 굵은 글씨로 표기하였으며, HD 2000 GPU가 내장된 프로세서는 보통 글씨로 표기하였다. GPU가 없는 프로세서는 N/A로 표기하였다.
데스크톱 프로세서
접미어 의미:
- K: 배수 제한 해제(Unlocked) 프로세서
- S: 퍼포먼스 최적화 프로세서
- T: 저전력 프로세서
- X: 익스트림 퍼포먼스 프로세서
서버 프로세서
접미어 의미:
- L: 저전력 프로세서
- W: 고성능 프로세서
모바일 프로세서
- 코어 i5-2515E 및 코어 i7-2715QE 프로세서는 ECC 메모리와 PCI 익스프레스 포트 분기 지원.
- 셀러론과 펜티엄 프로세서를 제외한 모든 프로세서는 HD 3000 (12 EUs) GPU 사용.
접미어 의미:
- M: 모바일 프로세서
- XM: 배수 제한 해제(Unlocked)
- QM: 쿼드 코어
- E: 임베디드 모바일 프로세서
- QE: 쿼드 코어
- LE: 퍼포먼스 최적화
- UE: 저전력
Remove ads
같이 보기
각주
외부 링크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