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생명진화사 연표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생명진화사 연표
Remove ads

생명진화사(영어: evolutionary history of life)란 행성 지구생명이 발전하는 동안 있었던 중요한 사건들을 주류 과학 이론에 따라 서술한 것이다. 생물학에서 진화란 유전가능한 생물집단의 특징이 연속적인 세대에 걸쳐 변화하는 모든 변화를 말한다. 진화의 과정은 계에서 종, 그리고 개별 생물체와 DNA와 단백질 같은 분자에 이르기까지 생명의 모든 수준에서 다양성을 발생시킨다. 현재 지구상의 모든 유기생명체들 사이의 유사성은, 현존하는 생물종과 절멸해서 없어진 생물종들이 모두 어떠한 공통조상으로부터 진화의 과정을 통해 분기되었음을 보여준다. 지구의 탄생 이래 지금까지 지구상에 살았던 생물종 가운데 99& 이상이 절멸한 것으로 추산된다. 현존하는 생물종은 전체 진화사에서 극히 일부에 지나지 않는 것이다.[1][2][3] 현재 지구상의 생물종은 1,000만에서 1,400만 사이로 추정되지만,[4] 그 가운데 기재된 종은 120만 종에 불과하다.[5]

Thumb

환경의 변화, 다른 생물과의 경쟁, 돌연변이로 인한 신종의 출현 등으로 인해 생물종들은 끊임없이 절멸한다. 때때로 평소보다 훨씬 높은 절멸률로 지구상의 생물다양성이 급격히 감소할 때도 있는데, 이를 대량절멸이라 한다.[6] 대량절멸은 어느 한 순간의 단일한 사건이 아니고, 지질학적인 스케일에서 비교적 짧은 시간동안 소규모 절멸이 무수하게 누적되는 현상이다.[7]

지구 역사상 최초의 대량절멸은 24억 년 전의 산소 대폭발 사건이다. 이로 인해 지구상의 절대혐기성 미생물의 절대다수가 절멸했다. 그 이래로 주요한 대량절멸은 다음 다섯 가지를 꼽는다.[8]

Thumb
현생누대 기간 해양생물 절멸 정도.

이 대재앙들 사이사이에 그보다는 작은 절멸사건들도 존재하며, 개중에 어떤 것들은 과학자들이 지질시대를 구분하는 데 사용될 정도로 큰 것도 있다. 지금은 홀로세 멸종이 진행 중이다.[9]

대량절멸의 요인으로는 대륙이동, 대기 및 해양의 화학조성 변화, 화산활동조산운동, 빙하의 변화, 해수면 변화, 충돌사건 등이 있다.[7]

Remove ads

명왕누대

40억 년 전 이전.

Thumb
자세한 정보 연대, 사건 ...
Remove ads

시생누대

요약
관점

40억 년 전 - 25억 년 전.

Thumb
자세한 정보 연대, 사건 ...
Remove ads

원생누대

요약
관점

25억 년 전 - 5억 4200만 년 전. 고원생대, 중원생대, 신원생대로 나뉜다.

Thumb
자세한 정보 연대, 사건 ...

현생누대

요약
관점

5억 4200만 년 전 - 현재

현생누대는 화석이 풍부하다. 고생대, 중생대, 신생대의 세 대(era)로 나뉘며, 각 대는 안팎으로 주요 대량절멸로써 구분된다.

고생대

자세한 정보 Date, Event ...

중생대

자세한 정보 연대, 사건 ...

신생대

자세한 정보 연대, 사건 ...
Remove ads

같이 보기

각주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