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제주특별자치도의 시외버스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제주특별자치도의 시외버스는 제주특별자치도 관내에서 운행했던 시외버스를 말한다.
운영 업체
- 과거
역사
- 1920년 : 제주서부자동차 합승운행 개시[1]
- 1925년 2월 : 제주동부자동차 합승운행 개시[2]
- 1926년 : 남부자동차운행 개시[3]
- 1943년 : 제주여객과 영주여객 설립
- 1947년 : 조흥자동차 운행[4]
- 1946년 10월 : 남일여객 설립과 동시에 제주 일주도로 동서회선 운행 개시
- 1952년 : 영주운수 35인승버스 6대 동회선 운행 개시
- 1962년 : 조흥자동차 주주 한재옥이 한일여객운송 주식회사를 설립
- 1962년 : 극동여객 시외버스 면허 운행 개시[5]
- 1963년 : 한일여객 제1 횡단도로[6] 노선 운행면허 받고 운행 개시
- 1965년 : 일주노선 급행버스 개시[7]
- 1970년 : 금남여객 45인승 대형버스 22대 운행 개시
- 1974년 : 한라산 서쪽 해발 1천1백m를 통과하는 제2횡단도로 노선 개통[8]
- 1984년 : 일주노선 직행 개시와 동시에 제주 ∼서귀포 구간의 운행시간을 40분정도 단축
- 1987년 : 한일여객 시외버스사업부가 동진여객으로 분사 → 5.16노선 단독 배차
- 1996년 12월 : 북부노선 운행개시[9]
- 2001년 9월 : 남일여객 대표이사 회삿돈 가지고 잠적과 동시에 운수사업 면허 취소
- 2003년 8월 : 영주운수 폐업과 동시에 운수사업 면허 취소
- 2003년 : 북부노선[9]을 폐지와 동시에 직행노선에서 완행노선으로 통폐합
- 2007년 4월 1일 : 시외버스 구간 요금제 시행
- 2011년 4월 1일 : 제주 ~ 성산항 노선 운행 개시
- 2012년 9월 1일 : 영어교육도시 노선 운행 개시
- 2013년 3월 1일 : 5.16도로 ~ 중문고속화 노선 통합과 동시에 신서귀포시외버스터미널로 통합
- 2013년 9월 1일 : 시외버스 노선번호 부여 운행 개시[10]
- 2014년 8월 18일 : 시외버스 노선번호 36개로 세분화 운행 개시
- 2015년 3월 23일 : 애월 ~ 애조로 ~ 연북로 ~ 제주대 770번 노선 운행 개시
- 2015년 10월 19일 : 780번(516 ~ 중문고속화) 노선 번호 분리
- 2016년 12월 7일 : 제주터미널 ~ 국제공항 ~ 도청 ~ 회수사거리 ~ 혁신도시 ~ 서귀포터미널 800번 노선 운행 개시
- 2017년 8월 26일 : 제주 버스 개편으로 인해 600번을 제외하고 시내버스로 전환
- 2021년 5월 20일 : 600번 버스가 시내버스로 전환 인가, 시외버스 폐지
Remove ads
노선 운행 현황
2021년 5월 19일 기준.
버스 요금
성인 기준 기본 요금 1300원을 시작으로 이용 거리에 비례하여 최대 5500원의 운임을 징수하며, 아래는 600번 공항리무진의 기본 요금표다.
사진
- 시외버스 시절 동일주 노선 차량
(극동여객)
각주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