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서울특별시 소방재난본부
서울특별시의 재난대응기관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서울특별시 소방재난본부(서울特別市 消防災難本部, Seoul Metropolitan Fire & Disaster Headquarters)는 서울특별시에서 발생하는 화재, 인명구조, 각종 위급상황에 신속하게 대응하고 각종 재난을 방지하기 위해 서울특별시장의 소속으로 설치된 행정기관[3]이다. 산하에 25개 소방서, 1개 특수구조단, 1개 소방학교를 두고 있으며, 남산에 서울종합방재센터를 두고 있다.
1998년 서울시 조직개편에 따라 민방위재난관리국과 소방본부가 합쳐져 소방방재본부로 개편되었다가 2008년에 서울특별시 소방재난본부로 변경되었다.
Remove ads
연혁
- 1972년 서울특별시 소방본부 설치
- 1998년 서울특별시 소방방재본부로 변경
- 2008년 서울특별시 소방재난본부로 변경
역대 본부장
이 글을 보려면 오른쪽 ‘펼치기’ 버튼 클릭
Remove ads
조직
|
|
|
|
|
주요 업무
소방행정과
- 소방행정, 정책기획, 소방예산, 보건안전복지
화재예방과
- 화재예방, 위험물안전, 화재안전조사, 소방사법
재난대응과
- 대응총괄, 긴급대응, 화재조사, 재난협력
구조구급과
- 구조총괄, 구급총괄, 구급품질, 특수재난대책
소방감사과
- 공직기강, 소방감사, 청렴법무, 감찰조사
119종합상황실
- 상황관리지원, 재난정보기획,정보통신관리, 정보통신보안, 재난정보분석
인사담당관
- 소방조직, 인사정책, 인사관리, 인재선발
생활안전담당관
- 생활안전, 도민안전지원, 안전교육, 언론공보
회계장비담당관
- 회계운영, 계약관리, 소방자산관리, 장비관리, 소방건축
각주
- 「시도 소방조직 표준직제 운영지침」시행 계획 , 2020년 3월 2일, 대한민국 소방청
산하기관
크게 4개 방면으로 구분되어있다.[13]
- 직할대
논란

서울소방재난본부는 서울지역의 119구급대의 이른바 '골든타임 내 도착 출동률'이 83.4%에 달한다고 밝혔다.[17] 그러나 이는 각종 기기를 조작하여 부풀린 것으로 드러났다. 일선 소방서에서 차고지 탈출 시간을 GPS가 수신해서 차량이 소방서를 벗어난 시간을 기록하는데, 소방관의 안전은 배제된 채 시간만을 소방관서별로 평가해 더 나은 점수를 받기 위해 과열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는 주장도 있다.[18] 소방본부는 "골든타임 내 도착을 권장했지만 강요까지는 하지 않았다"고 주장했지만[19], 서울시내 23개 소방서와 138개 안전센터를 차고탈출시간에 따라 줄을 세운 측정표와, 이에 따른 결과는 서장의 인사평가에 반영되고 있었다. 골든타임 목표제는 앞뒤가 뒤바뀌었다는 주장과 시장의 공약사항을 추진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부작용이라는 입장이 공존하고 있다.[20]
Remove ads
같이 보기
각주
외부 링크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