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정동 |
법정동 |
설명 |
소공동 | 소공동(小公洞) | 조선 태종의 둘째딸인 경정공주(慶貞公主)의 궁이 있었으므로 속칭 작은공주골이라 하던 곳을 한자로 소공주동이라 하였고 이를 줄여서 소공동이라 부르게 되었다.[1] 장곡천정(長谷川町)은 1943년 6월 10일 설치된 중구의 관할로 편성되었다.[2] 1946년 10월 1일 소공동으로 명칭이 변경되었다.[3] |
북창동(北倉洞) | 조선시대 관아인 선혜청의 북쪽창고가 있는데서 붙여졌다.[1] 북미창정(北米倉町)은 1943년 6월 10일 설치된 중구의 관할로 편성되었다.[2] 1946년 10월 1일 북창동으로 명칭이 변경되었다.[3] 1979년 롯데백화점 본점이 소공동에서 문을 열었다. |
충정로1가(忠正路1街) | 조선시대에는 한성부 서부 반송방 지역이었다. 1914년 죽첨정이라고 하였고, 1946년 충정로로 바뀌었다. 1975년 10월 1일 충정로1가는 중구 관할이 되었다.[4] 충정로2, 3가는 여전히 서대문구 관할이다. |
서소문동(西小門洞) | 서울성곽 8문의 하나인 서소문에서 유래되었다.[1] 1936년 행정구역 개편 때 서소문정(~町)이라 불렀다.[5] 1943년 6월 신설된 서대문구에 속하였고, 1946년 10월 1일 서소문동으로 이름이 바뀌었다.[3]1975년 10월 1일 중구 관할이 되었다.[4] |
정동(貞洞) | 조선 태조의 계비인 신덕왕후의 정능이 현재 정동 4번지에 있었는 바, "貞"자를 따서 붙여진 이름이다.[1] 1936년 행정구역 개편 때 정동을 정동정(貞洞町)이라 고쳐 불렀다.[5] 1943년 6월 신설된 서대문구에 속하였고, 1946년 10월 1일 정동으로 이름이 바뀌었다.[3] 1975년 10월 1일 중구 관할이 되었다.[4] 3번지에는 성공회의 성당인 성공회 서울주교좌대성당이 있다. |
태평로2가(太平路2街) | 한성부 서부 여경방(餘慶坊), 황화방(皇華坊), 양생방(養生坊) 및 남부 회현방(會賢坊) 지역으로 1914년에 통폐합되었다.[6] 대한상공회의소 부근의 중국 사신을 접대하던 태평관의 이름을 따서 경성부 태평통1정목, 태평통2정목으로 지었다.[5] |
의주로1가(義州路1街) | 한성부 서부 반석방(盤石坊) 및 반송방(盤松坊) 지역으로 1914년 의주통1정목과 의주통2정목으로 나뉘어 통폐합되었다.[6] 의주통1정목은 1943년 6월 신설된 서대문구에 속하였고, 1946년 10월 1일 의주로1가로 이름이 바뀌었다.[3] 1975년 10월 1일 중구 관할이 되었다.[4] |
순화동(巡和洞) | 의주로변 이화여고와 중앙일보사가 자리한 곳에 위치한 곳이다. 화천정(和泉町)은 1943년 6월 신설된 서대문구에 속하였고, 현재의 순화동은 광복 후 1946년 10월에 순청동의 "순(巡)"과 화천정의 "화(和)"를 따서 지은 명칭이다.[1][3] 1975년 10월 1일 중구 관할이 되었다.[4] 현재 소공동에서 일부 관할하고 있다. |
봉래동1가 | ↓ 참고 |
남대문로2가(南大門路2街) | 1936년 행정구역 개편 때 남대문통(南大門通)이라 불렀다.[5] 양동(陽洞): 1914년에 기존의 양동일부(陽洞一部) · 대리문동일부(大里門洞一部) · 소리문동일부(小里門洞一部) · 지하(地下) · 도저동(桃楮洞)을 관할로 한 어성정(御成町)이 설치되었고[6] 1946년 양동으로 개칭되고 남대문로5가에 속하였다가 1980년 7월 1일 폐동되었다. |
남대문로3가(南大門路3街) |
남대문로4가(南大門路4街) |
회현동 | 남대문로3가 |
남대문로4가 |
남대문로5가(南大門路5街) |
남창동(南倉洞) | 남미창정(南米倉町)은 1943년 6월 10일 설치된 중구의 관할로 편성되었다.[2] 1946년 10월 1일 남창동으로 명칭이 변경되었다.[3] |
봉래동1가(蓬萊洞1街) | 봉래정1정목은 1943년 6월 10일 설치된 중구의 관할로 편성되었다.[2] |
봉래동2가(蓬萊洞2街) | 봉래정2정목은 1943년 6월 10일 설치된 중구의 관할로 편성되었다.[2] |
충무로1가 | ↓ 참고 |
순화동 | ↑ 참고 |
회현동1가(會賢洞1街) | 조선 초기에는 한성부 남부 호현방(好賢坊) 지역이었고, 1914년에는 호박동(琥珀洞)과 창동(倉洞)·회동(會洞)·남산동(南山洞)·장동(長洞)·낙동(駱洞) 각 일부를 욱정(旭町)1정목(丁目)·2정목·3정목으로 개편하였다.[6] 1943년 6월 10일 설치된 중구의 관할로 편성되었다.[2] 1946년 10월 1일 회현동1가~3가로 명칭이 변경되었다.[3] 현재 회현동에서 일부 관할하고 있다. |
회현동2가(會賢洞2街) |
명동 | 회현동1가 |
회현동2가 |
회현동3가(會賢洞3街) |
무교동(武橋洞) | 무교정은 1943년 6월 10일 설치된 중구의 관할로 편성되었다.[2] 무교통에는 조흥은행의 본점이 있었다. |
다동(茶洞) | 다옥정(茶屋町)은 1943년 6월 10일 설치된 중구의 관할로 편성되었다.[2] |
태평로1가(太平路1街) | ↑ 참고 |
을지로1가(乙支路1街) | ↓ 참고 |
을지로2가(乙支路2街) |
남대문로1가(南大門路1街) | ↑ 참고 |
남대문로2가 |
삼각동(三角洞) | 삼각정은 1943년 6월 10일 설치된 중구의 관할로 편성되었다.[2] |
수하동(水下洞) | 수하정은 1943년 6월 10일 설치된 중구의 관할로 편성되었다.[2] |
장교동(長橋洞) | 장교정은 1943년 6월 10일 설치된 중구의 관할로 편성되었다.[2] |
수표동(水標洞) | 수표정은 1943년 6월 10일 설치된 중구의 관할로 편성되었다.[2] |
명동1가(明洞1街) | 면적은 0.91 km2이다. 대부분 상가지역이다. 서울에서 땅값이 가장 비싼 지역이다. |
명동2가(明洞2街) |
남산동1가(南山洞1街) | 남산정1~3정목은 1943년 6월 10일 설치된 중구의 관할로 편성되었다.[2] |
남산동2가(南山洞2街) |
남산동3가(南山洞3街) |
저동1가(苧洞1街) | 1910년 훈도방 저동계 저동이 1914년 행정구역 통폐합에 따라 일본식 지명인 영락정1정목(永樂町一丁目)~2정목이 되었다가,[6] 1946년 저동1가~2가로 명칭이 환원되었다. |
예장동 | ↓ 참고 |
충무로1가(忠武路1街) | 을지로3가와 더불어 편집디자인 기획사들과 출력소들이 밀집되어 있다. |
충무로2가(忠武路2街) |
필동 | 충무로3가(忠武路3街) |
충무로4가(忠武路4街) |
충무로5가(忠武路5街) |
묵정동(墨井洞) | 신정(新町)은 1943년 6월 10일 설치된 중구의 관할로 편성되었다.[2] |
필동1가(筆洞1街) | 대화정(大和町) 1정목(丁目), 2정목, 3정목은 1943년 6월 10일 설치된 중구의 관할로 편성되었다.[2] |
필동2가(筆洞2街) |
필동3가(筆洞3街) |
남학동(南學洞) | 일지출정(日之出町)은 1943년 6월 10일 설치된 중구의 관할로 편성되었다.[2] |
주자동(鑄字洞) | 주정(鑄町)은 1943년 6월 10일 설치된 중구의 관할로 편성되었다.[2] |
예장동(藝場洞) | 왜성대정(倭城臺町)은 1943년 6월 10일 설치된 중구의 관할로 편성되었다.[2] |
장충동2가(奬忠洞2街) | 서사헌정(西四軒町)은 1943년 6월 10일 설치된 중구의 관할로 편성되었다.[2] 한국자유총연맹이 장충동에 위치해 있다. |
장충동 | 〃 |
장충동1가(奬忠洞1街) | 동사헌정(東四軒町)은 1943년 6월 10일 설치된 중구의 관할로 편성되었다.[2] |
묵정동 | ↑ 참고 |
광희동 | 충무로4가 | ↑ 참고 |
충무로5가 |
인현동2가(仁峴洞2街) | 1914년 행정구역 통폐합에 따라 필동·산림동·대인현동 등의 각 일부와 상동, 회동 등이 통합되어 일본식 지명인 앵정정1정목이, 회동·대인현동·관정동·예동·인현동 등의 각 일부와 소인현동이 통합되어 일본식 지명인 앵정정2정목이 되었다.[6] |
예관동(藝館洞) | 화원정(花園町)은 1943년 6월 10일 설치된 중구의 관할로 편성되었다.[2] |
광희동1가(光熙洞1街) | 광희정(光熙町) 1정목,2정목은 1943년 6월 10일 설치된 중구의 관할로 편성되었다.[2] |
광희동2가(光熙洞1街) |
쌍림동(雙林洞) | 병목정(竝木町)은 1943년 6월 10일 설치된 중구의 관할로 편성되었다.[2] |
오장동(五壯洞) | 초음정(初音町)은 1943년 6월 10일 설치된 중구의 관할로 편성되었다.[2] |
을지로6가(乙支路6街) | 고구려 을지문덕(乙支文德) 장군의 성씨인 을지(乙支)를 따서 지은 이름이다. |
을지로7가(乙支路7街) |
을지로동 | 을지로3가(乙支路3街) |
을지로4가(乙支路4街) |
을지로5가(乙支路5街) |
주교동(舟橋洞) | 주교정은 1943년 6월 10일 설치된 중구의 관할로 편성되었다.[2] |
방산동(芳山洞) | 방산정은 1943년 6월 10일 설치된 중구의 관할로 편성되었다.[2] |
입정동(笠井洞) | 입정정은 1943년 6월 10일 설치된 중구의 관할로 편성되었다.[2] |
산림동(山林洞) | 임정(林町)은 1943년 6월 10일 설치된 중구의 관할로 편성되었다.[2] |
초동(草洞) | 약초정(若草町)은 1943년 6월 10일 설치된 중구의 관할로 편성되었다.[2] |
인현동1가(仁峴洞1街) | ↑ 참고 |
저동2가(苧洞2街) | ↑ 참고 |
신당동 | 흥인동(興仁洞) | 1966년 7월 신당동 중에서 흥인동이 법정동으로 분동되었고, 1975년 10월 1일 중구 관할이 되었다.[4] |
무학동(舞鶴洞) | 1966년 하왕십리동 중에서 무학동을 법정동으로서 분리하였다. 1975년 10월 1일 중구 관할이 되었다.[4] |
신당동(新堂洞) | 1975년 10월 1일 중구 관할이 되었다.[4] 정치인 이윤영은 1975년 10월 15일 신당동 자택에서 사망하였다. |
다산동 | 〃 |
약수동 |
청구동 |
신당제5동 |
동화동 |
황학동 | 황학동(黃鶴洞) | 1966년 7월 신당동 중에서 황학동이 법정동으로 분동되었고, 1975년 10월 1일 중구 관할이 되었다.[4] |
중림동 | 의주로2가(義州路2街) | 의주통2정목은 1943년 6월 신설된 서대문구에 속하였고, 1946년 10월 1일 의주로2가로 이름이 바뀌었다.[3] ↑ 참고 |
중림동(中林洞) | 중림정은 1943년 6월 신설된 서대문구에 속하였고, 1946년 10월 1일 중림동으로 이름이 바뀌었다.[3] 1975년 10월 1일 중구 관할이 되었다.[4] |
만리동1가(萬里洞1街) | 봉래정3정목은 1943년 6월 신설된 서대문구에 속하였고, 1946년 10월 1일 만리동1가로 이름이 바뀌었다.[3] 1975년 10월 1일 중구 관할이 되었다.[4] |
만리동2가(萬里洞2街) | 봉래정4정목은 1943년 6월 신설된 서대문구에 속하였고, 1946년 10월 1일 만리동2가로 이름이 바뀌었다.[3] 1975년 10월 1일 중구 관할이 되었다.[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