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세한 정보 연도, 수상자 ...
 
| 연도 | 수상자 |  | 
 
| 2004년 1회 | 유준 박사(유준의학연구소 이사장) | 나병 퇴치 주역이자 연세대 의대학장, 영남대재단 이사장 등을 역임했고, 현재 유준의과학연구소 소장 | 
 
| 2005년 2회 | 故 현봉학 전 토마스제퍼슨의대 교수 | 1951년 흥남철수 때 10만 명의 민간인의 월남을 도와 '한국의 쉰들러'로 불리며, 일생동안 한ㆍ중 우호와 남북 화해협력을 위해 노력하고 임상병리학 연구로 세계적 권위의 '이스라엘상'을 수상했고 아주대 의대에서 후진 양성[1] | 
 
| 2006년 3회 | 권이혁 성균관대 이사장 | 서울의대 교수, 서울대학교 총장 및 서울대학교병원 원장과 문교부장관 및 보사부장관을 역임하면서 의학분야의 업적을 인정 | 
 
| 2007년 4회 | 차경섭 차병원 이사장 | 1960년 차산부인과를 시작으로 약 50여년간 차병원을 운영하면서 국내 민간병원 최초로 시험관 아기시술에 성공한 후 국내 불임치료 기술을 세계적 수준으로 만들면서 국내 의학계에 크게 이바지한 공 | 
 
| 2008년 5회 | 신예용 신안과 명예원장 | 안과 의사로 의학의 연구와 발전은 물론 젊은 세대에게 애국애족의 정신을 일깨우고 몸소 실천 | 
 
| 2009년 6회 | 이호왕 고려대 명예교수 | 1969년 한탄강 주변에서 서식하는 등줄쥐의 폐조직에서 특이한 바이러스를 검출하고, 1976년 세계 최초로 유행성출혈열 병원체와 면역체를 발견해 각각 한탄바이러스와 서울바이러스로 명명한 업적을 보유했다. 또 지난 1960년에는 일본 오사카 지역에서 유행한 괴질의 원인을 규명하고 예방백신과 진단법을 개발 세계 의학발전과 인류건강복지에 기여[2] | 
 
| 2010년 7회 | 양재모 성심의료재단 이사 | 가족계획, 인구정책을 통해 국민건강증진과 한국 의학계에 기여한 공로 | 
 
| 2011년 8회 | 故 신정순 한국뇌성마비복지회 회장 | 전 대한재활의학회 명예회장, 연세대 세브란스병원장, 한국재활의학회장, 국제키비스탄 한국본부총재, 한국뇌성마비복지회장, 장애인복지단체협의회장 등을 역임하면서 국내 재활의학 발전과 장애인 복지향상에 헌신해 온 공로 | 
 
| 2012년 9회 | 한상태 WHO 서태평양지역사무처 명예사무처장 주일억 전 세계여의사회 회장 | 1967년 한국인 최초로 WHO 서태평양지역 사무처에 부임해 연간 5000여명의 소아마비 환자가 발생하는 서태평양지역의 소아마비 박멸에 크게 공헌[3] | 
 
| 2013년 제10회 | 주일억 전 세계여의사회 회장 | 1987년 한국인 최초로 국제여자의사회 회장에 선출돼 여의사 차별 해소와 저개발국 여의사 지원 프로그램 확충 등 세계 여성 의료인의 문제를 해결하는 데 앞장서 국가의 위상을 높인 공로[4] | 
 
| 2014년 11회 | 문태준 대한의사협회 명예회장 | 세계의사회 회장·대한의사협회 회장·보건복지부 장관을 역임하며 의학 발전과 의료인 권리신장에 기여 | 
|
 
닫기
제12회 수상자(2015년)   김명호 박사    - 연세대학교 명예교수
제13회 수상자(2016년)    홍준식 박사    - 한인커뮤니티재단 이사장
제14회 수상자(2017년)   전성균 박사    - 미네소타대학교 교수
제15회 수상자(2018년)   문국진 박사    - 고려대학교 명예교수
제16회 수상자(2019년)  이길여 박사   - 가천대학교 총장
제17회 수상자(2020년)   강원희 선교사    - 의료선교사
제18회 수상자(2021년)   신영수 박사    - 서울대학교 명예교수
제19회 수상자(2023년)   홍창의 박사 – 서울대학교 명예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