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선거군주제
군주를 선거에 따라 선출하는 제도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선거군주제(選擧君主制, Elective monarchy)는 군주를 선거에 따라 선출하는 제도이다. 선거 군주제에서는 왕위에 대한 피선거권과 선거권이 규정되어 있다. 세습군주제와는 대비된다.
사례
과거
- 신성 로마 제국: 가장 대표적인 선거군주제 국가로, 일곱 선제후가 모여 황제를 선출했다. 그러나 1453년부터 1740년 사이에는 황위는 항상 합스부르크가에서 선출되어 세습군주제와 유사하게 기능하기도 하였다.
-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 1572년 야기에우워 왕조 지그문트 2세 사후 이후 대가 끊어짐에 따라 선거군주제로 전환되었다. 처음에는 소규모의 위원회에서 선출하였으나 나중에는 폴란드 귀족 계급 전체가 선거인단으로 참여하였다.
현재
같이 보기
외부 링크
- Worsøe, Hans H. “Official Denmark – The Royal House”. The Royal Danish Ministry of Foreign Affairs. 2009년 2월 2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8년 1월 2일에 확인함.
- “The Noble Republic, 1572–1795”. 《Poland – The Historical Setting》. Polish Academic Information Center, University at Buffalo. 2011년 6월 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8년 1월 2일에 확인함.
- Jędruch, Jacek (1998). 《Constitutions, Elections and Legislatures of Poland, 1493–1993》. EJJ Books. ISBN 0-7818-0637-2. 2006년 5월 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8년 1월 2일에 확인함.
- “Norway's elective monarchy”. 《The New York Times》. 1905년 11월 16일. 2008년 1월 3일에 확인함.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