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성개발지수

유엔이 공표하는 삶의 질을 나타내는 척도 중의 하나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성개발지수(性開發指數, 영어: Gender-related Development Index, GDI)는 유엔이 공표하는 삶의 질을 나타내는 척도 중의 하나이다. 유엔개발계획이 발표하는 5개의 지수 중 하나로서 매년 인간개발보고서에서 발표된다. 장수와 건강한 삶과 지식, 삶의 질에 대한 양성 간의 불평등을 조사하고자 한다.

측정법

GDI 측정에는 우선 다음 각 분야에서 양성 간의 지수를 측정한다.:

  1. 기대수명,
  2. 교육(성인 문해율과 초등~고등 교육까지의 등록 비율),
  3. 추정구매소득(구매력 평가).

통계 문제

유엔은 양성의 기대수명을 다른 기준으로 가정하여 계산하며 보통 여성이 5년 정도 더 오래 사는 것을 기정 사실로 인정한다.

기대수명이 85세로 조사됐을 경우 다른 모든 국가에 비해 여성의 기대수명이 상대적으로 높음을 반영해 더 지수가 높아진다. 85세의 경우 여성은 87.5, 남성은 82.5가 되며 27.5/22.5일 경우 25세가 동일화 작업을 거치게 된다. 예를 들어 아이슬란드의 경우 지수는 0.962 대신 계산법을 거쳐 지수가 더 높아져 0.992가 된다.

이런 통계 문제에 관해 기대 수명의 차이의 원인을 두고서는 완벽한 이해를 끌어내기 어렵다는 것과,[1] 구매력에 대한 조사도, 남성과 상대 비교를 통해 이뤄지지 않고, 해당 국가의 경제 수준에서의 비율만을 고려한 것이기에 정확한 성평등도를 조사하기 어렵다는 지적도 있다.[2]

Remove ads

2018년 순위

Thumb
그룹 1~5 사이 성개발지수를 나라별로 나타낸 세계 지도 (2018년 데이터 기반, 2019년 출판)
  그룹 1
  그룹 2
  그룹 3
  그룹 4
  그룹 5
  자료 없음
자세한 정보 2018년 순위, 국가 ...
Remove ads

같이 보기

각주

외부 링크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