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성모 찬송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성모 찬송’은 원래 ‘복되신 동정 마리아의 마침 안티폰’(Antiphonae Finales B.M.V.)으로서 시간전례의 끝기도 혹은 저녁기도 중 그날 가장 늦게 바쳐지는 기도 후(Finales)에 복되신 동정 마리아(Beatae Mariae Virginis)께 부르는 성가(Antiphonae)를 의미하며, ‘마리아 안티폰’(Maria Antiphon)이라고도 한다.
성모 찬송의 개념
‘성모 찬송’은 원래 ‘복되신 동정 마리아의 마침 안티폰’(Antiphonae Finales B.M.V.)으로서 시간전례의 끝기도 혹은 저녁기도 중 그날 가장 늦게 바쳐지는 기도 후(Finales)에 복되신 동정 마리아(Beatae Mariae Virginis)께 부르는 성가(Antiphonae)를 의미하며, ‘마리아 안티폰’(Maria Antiphon)이라고도 한다.[1]
‘성모 찬송’ 네 곡은 다음과 같다.
- Alma Redemptoris Mater(구세주의 존귀하신 어머니)
- Ave Regina caelorum(하늘의 영원한 여왕)
- Salve Regina(여왕이시여)
- Regina caeli(하늘의 모후님)
성모 찬송은 11-12세기에 불렸지만, 그 가사의 저자는 아직 익명으로 남아 있다. 네 곡의 성모 찬송가는 모두 같은 구조를 갖는다. 즉 먼저 구원 역사 안에서 성모님께서 수행하신 여러 모습으로써 성모님을 부르며 찬미하고, 이어 우리 죄인을 불쌍히 여기시고, 그리스도 혹은 하느님께 우리를 위해 기도해 주시기를 간청한다. 네 곡의 성모 찬송 이외에도 두 가지 성모 찬송을 소개하고자 한다.
Remove ads
전례 시기별 성모 찬송가 소개
요약
관점
Alma Redemptoris Mater(구세주의 존귀하신 어머니)
‘Alma Redemptoris Mater’(알마 레뎀토리스 마테르)는 일반적으로 대림 제1주일 제1저녁기도부터 주님 봉헌 축일(2월 2일) 제2저녁기도까지 불린다.
1987년 교황 요한 바오로 2세는 회칙 「구세주의 어머니」(Redemptoris Mater)[2]의 결론 부분(51-52항)에서 성모 찬송 ‘Alma Redemptoris Mater’를 인용하면서 성모 마리아가 겪으신 신앙의 여정을 설명한다. 교황은 “이것은 ‘구세주의 사랑하는 어머니’이신 마리아께 드리는 기도이며, 마리아를 통하여 인간 역사 안에 들어오신 그리스도께 드리는 기도”라고 이야기하면서 이 노래가 결국은 예수 그리스도께 향한다는 사실을 강조한다.[3]
Alma Redemptoris Mater의 그레고리오 성가와 그레고리오 성가를 바탕으로 탄생한 몇 가지의 다성음악을 소개한다.
- 그레고리오 성가 Alma Redemptoris Mater
- 팔레스트리나의 Alma Redemptoris Mater
- 빅토리아의 Alma Redemptoris Mater
Ave Regina caelorum(하늘의 영원한 여왕)
‘Ave Regina caelorum’(아베 레지나 첼로룸)은 주님 봉헌 축일(2월 2일) 끝기도부터 성주간 수요일 끝기도 기간 중에 불린다.
‘Ave Regina caelorum’은 성모님을 하늘의 여왕, 천사들의 모후, 이새의 뿌리, 세상에 빛을 낳으신 문, 영화로운 동정녀, 그리고 아름다우신 분 등의 여러 표상으로 묘사하면서 그분을 부른다. 이어 성모님께 “우리를 위하여 그리스도께 빌어주소서”(pro nobis Christum exora)라고 청원기도를 바친다.[4]
Ave Regina caelorum의 그레고리오 성가와 그레고리오 성가를 바탕으로 탄생한 몇 가지의 다성음악을 소개한다.
- 그레고리오 성가 Ave Regina caelorum
- 팔레스트리나의 Ave Regina caelorum
- 빅토리아의 Ave Regina caelorum
Salve Regina(여왕이시며)
Regina caeli(하늘의 모후님)
Tota pulchra es
Sub tuum
‘Sub tuum’(숩 뚜움)은 성모님께 드리는 기도문으로서는 가장 오래된 것으로 간주된다. 파피루스 단편에서도 발견되고 있는 이 기도문은 일반적으로 3세기경의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기도문은 당시 마리아에 대한 대중 신심을 보여준다고 볼 수 있다.[6]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가톨릭 기도서에 ‘일을 마치고 바치는 기도’로서 수록되어 있으며, 신학교에서는 미사가 끝나고 나서, 그리고 양심성찰 및 성체조배 후 삼종기도를 한 뒤에 바치고 있다. 이 노래의 라틴어 가사와 한글 번역본은 각각 Graduale Romanum 1974년판과 한국천주교주교회의에서 발간한 가톨릭 기도서를 참조하였다.
Remove ads
각주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