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성모 호칭 기도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성모 호칭 기도(Litaniae Beatae Mariae Virginis)란 성모님의 여러 호칭들을 부르며 성모님께 드리는 탄원기도, 즉 성모 마리아의 도움으로 하느님께 기도가 전달되기를 바라는 것이다.

정의

  • 성모 호칭 기도(Litaniae Beatae Mariae Virginis)란 성모님의 여러 호칭들을 부르며 성모님께 드리는 탄원기도, 즉 성모 마리아의 도움으로 하느님께 기도가 전달되기를 바라는 것이다.
  • 로레토의 호칭 기도(Litany of Loreto)[1]라고도 불린다. 이탈리아 성모성지 로레토[2]에서 16세기에 암송되었던 것이, 순례자들을 통해 각 지역에 널리 알려졌기 때문이다. 그러나 로레토에서 암송된 호칭 기도가 최초의 성모호칭기도는 아니다.

역사

  • 5세기경 로마에 호칭 기도가 들어오기 시작하면서 성모 호칭 기도도 시작되었다.
  • 7~8세기에 ‘모든 성인의 호칭 기도’에 “주님의 어머니”가 포함되어 있었고, 12세기부터는 성모 마리아 호칭들만 단독으로 나타나기 시작했다.
  • 1200년대에 이탈리아에서 최초의 성모 호칭 기도의 사본이 발견되었다.
  • 1587년 교황 식스토 5세(1585-1590년 재위)가 회칙을 통해 성모 호칭 기도를 인가했고, 대사가 허락되었다.
  • 1601년 교황 클레멘스 8세(1592-1605 재위)는 회칙을 통해 이를 재확인했고, 레오 13세(1878-1903년 재위)는 ‘착한 의견의 어머니’, 1917년 베네딕토 15세(1914-1922년 재위)는 ‘평화의 모후여’, 비오 12세(1939-1958년 재위)는 성모승천교리를 반포한 후 ‘하늘에 올림을 받으신 모후여’, 1980년 성 요한바오로 2세는 ‘교회의 어머니’를 추가했다.
Remove ads

특징

성모호칭기도에서 열거되는 성모님에 대한 호칭은 51가지이다. 이는 크게 4가지의 범주로 나뉜다.

자세한 정보 범주, 개수 ...


기도문

요약
관점
자세한 정보 라틴어, 한국어 기도문 ...
Remove ads

참조하면 좋은 내용

각주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