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성우운수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성우운수(星宇運輸)는 경기도 수원시의 시내버스 운송 업체이다. 본사는 경기도 수원시 권선구 서수원로 11 (오목천동)에 있으며, 계열사로는 삼경운수가 있다.
Remove ads
역사
2002년 6월 27일에 삼경운수가 구 용일여객 (2006년 최종 부도처리, 현재는 인강여객으로 사명 변경 됨) 수원 영업소를 인수하여 자회사로 설립하였고, 2004년에는 삼경운수의 도시형버스 노선들을 모두 이관받았다. 2015년 8월 13일 일반좌석버스 900번이 도시형버스로 형간전환되었다.
현황
2021년 1월 기준이다.[1]
운행 노선
도시형버스
- ● 300-1번: 파장동 - 한일타운 - 창룡문 - KBS 수원센터 - 수원종합버스터미널 - 병점역 (전기 저상버스 운행, 경기도 공공관리제 노선)
- ● 301번: 수월암리차고지 - 서탄면행정복지센터 - 진위역 - 오산역 - 병점역 - 세류역 - 수원역 - 장안문 - 파장동 - 이목동 - 동원고등학교 - 고천동 - 호계사거리 - 범계역 - 안양시청 <저상버스 운행> (삼경운수에서 이관받은 노선이다.) (경기도 공공관리제 노선)
- ● 310번: 경희대학교 - 영통역 - 망포역 - 수원종합버스터미널 - 수원역 - 장안문 - 수원종합운동장 - 한일타운, 경기일보, 홈플러스 북수원점 - 한국가스안전공사 - 파장동삼익A - 장안힐스테이트 - 동원고등학교 (삼경운수에서 이관받은 노선이다.)
- ● 900번: 경희대학교 - 망포역 - 수원종합버스터미널 - 수원역 - 장안문 - 수원종합운동장 - 파장동 - 고천동 - 호계사거리 - 비산사거리 - 대림대학교 - 관악역 - 석수역 - 시흥사거리 - 금천구청 - 서울문성초등학교 - 구로디지털단지역 - 보라매공원 <저상버스 운행> (2015년 8월 13일 일반좌석버스에서 도시형버스로 형간전환)
직행좌석버스
- ● 4000번: 사송동공영차고지 - 여수동 - 성남시청 - 야탑역 - 성남종합버스터미널 - 이매역 - 서현역 - 판교역 - 판교신도시 - 서판교 나들목 - 용인서울고속도로 - 광교상현 나들목 - 경기대학교 후문 - 수원월드컵경기장 - 아주대학교 - 뉴코아 동수원점 - 수원시청역 - 갤러리아백화점 수원점 - 수원버스터미널 (성남시내버스와 공동배차하였으나 2021년 1월 11일부터 단독 배차로 변경)
- ● 9090번(구. 909번): 수원역 - 서수원시외버스터미널 - 상록수역 - 안산종합버스터미널 - 안산시청 - 원곡동 - 안산역 (2015년 7월 1일 시화구간 단축)
이전 운행 노선
도시형버스
- ● 303번: 수원역 - 수원종합버스터미널 - 망포역 - 신영통 - 병점역 - 서동탄역 - 이마트 동탄점 <2015년 5월 26일 폐선>
- ● 303-1번: 서정리 - 동탄신도시 (2007년 9월 303번에서 분리 개통 예정이었으나,[2] 인가만 받고 운행하지 아니함)
- ● 305번: 하북차고지 - 오산역 - 오산대학 - 병점역 - 세류역 - 수원역 - 수원여자고등학교 - 장안문 - 동원고 - 고천동 - 호계사거리 - 범계역
- ● 311번: 수원역 - 세류사거리 - 세류역 - 병점역 - 세마역 - 죽미마을 - 금암마을 - 오산대역 <2015년 5월 26일 폐선>
- ● 500번: 영통동 - 영통동 입구 - 동수원사거리 - 수원종합운동장 - 고천동 - 호계사거리 - 관악역 - 석수역 - 구로디지털단지역
- ● 501번: 세류역 - 수원종합버스터미널 - 동수원사거리 - 수원종합운동장 - 이목동
일반좌석버스
Remove ads
보유 차량
우진산전
현대자동차
사진
- 수원시내버스 300-1번
- 수원시내버스 909번
각주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