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성홍열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성홍열
Remove ads

성홍열(猩紅熱, scarlet fever)은 몇몇 연쇄상구균 종류에 의한 급성 감염병이다.

간략 정보 성홍열, 진료과 ...

임상 증상

2일에서 6,7일 간의 잠복기를 거친 후 발열과 인후통, 두통 등의 증상과 구토도 나타난다. 이어 입주위가 창백하게 되고 얼굴은 붉어진다. 또 입천장에는 붉은 반점이 돋는다. 이후 혀가 회백색 물질로 덮이고 끝에 염증이 생기는데, 좀 더 지나면 덮인 것은 사라지나 혀가 붓고 유두가 뚜렷해지는 증세가 나타난다.

발열과 발진이 오래갈 경우 1주일 이상이 되기도 하며, 피부껍질이 벗겨지는 것도 허다하다. 목의 임파선도 잘 붓는데 이 경우 만지면 통증을 느낀다. 흔히 부비동에 합병증이 찾아온다.

치료와 예방

성홍열은 연쇄상구균에 효과적인 항생제를 치료약으로 쓰는데, 보통 페니실린이 대표적으로 쓰인다.

참고 문헌

  • 브리태니커 백과사전[모호한 표현]

외부 링크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