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세리에 A 2012-13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세리에 A 2012-13는 111번째로 열리는 이탈리아 축구 최상위 경기이며, 단일 리그전으로 바뀐 후로는 81번째 시즌이다. 2012년 8월 25일에 시작하여 2013년 5월 19일에 막을 내렸다. 우승구단은 유벤투스이며, 29번째 우승과 동시에 2연속 우승을 기록했다.
Remove ads
시즌
소식
지난 시즌 후 강등된 노바라, 체세나, 레체를 대신하여 이번 2012-13시즌은 세리에 B 2011-12을 우승하며 19년 만에 세리에 A로 복귀한 페스카라와 지난시즌 세리에 B 2위인 토리노 그리고 리그 6위였으나 플레이오프에서 승리하며 1년 만에 복귀한 삼프도리아가 참가하게 됐다. 그리고 칼리아리는 경기장의 안전 문제 때문에 40년 넘게 사용해왔던 칼리아리의 홈구장 스타디오 산텔리아를 떠나는 첫 번째 시즌이며 이를 대체해서 콰르투산텔레나에 있는 스타디오 이스 아레나스에서 홈경기를 갖게된다.
규정
리그 경기 일정은 이하의 기준에 부합되어 만들어졌다.
- 시드 팀은 없다.
- 인테르, 밀란, 유벤투스, 나폴리, 로마 간의 경기는 주중에 배치되지 않는다.
- 제노아, 밀라노, 로마, 토리노 더비는 주중에 배치되지 않는다.
- 시즌 첫, 마지막 라운드에 더비 경기는 잡히지 못한다.
- 더비 경기들은 다른 날에 배치된다.
시즌 휴식일은 다음과 같다.
이번시즌 공인구의 최대 후원사인 나이키는 현재의 공인 "세이티로"를 미래지향적이고 화려한 "맥심"으로 교체할 계획 중에 있다. 또한 이 공은 프리미어 리그와 프리메라리가에서도 사용되며 각 공의 가죽에 리그의 문양이 인쇄될 것이다.
Remove ads
참가 구단

Remove ads
감독 및 주요 선수
리그 순위
요약
관점
- 출처 : 세리에 A 홈페이지 보관됨 2013-02-13 - 웨이백 머신
- 참고 :
- 승리 시 3점, 무승부 1점, 패배 시 0점
- 같은 승점의 복수의 구단이 있을 경우 이하의 순위 결정 방식이 순서대로 적용된다. 1. 상대 전적 승점, 2. 상대 전적 득실차, 3. 종합 골 득실차, 4. 종합 득점 수, 5. 제비
- (C) = 우승; (R) = 강등; (A) = 다음 라운드 진출
- 각주 :
우승 주역
Remove ads
경기 결과
요약
관점
클럽 간 결과
원정 홈 |
NAP | LAZ | ROM | MIL | BOL | SAM | SIE | ATA | UDI | JUV | INT | GEN | CTN | CAG | CHV | TOR | PAR | PAL | PES | FIO |
나폴리 | 3–0 | 4–1 | 2–2 | 2–3 | 0–0 | 2–1 | 3–2 | 2–1 | 1–1 | 3–1 | 2–0 | 2–0 | 3–2 | 1–0 | 1–1 | 3–1 | 3–0 | 5–1 | 2–1 | |
라치오 | 1–1 | 3–2 | 3–2 | 6–0 | 2–0 | 2–1 | 2–0 | 3–0 | 0–2 | 1–0 | 0–1 | 2–1 | 2–1 | 0–1 | 1–1 | 2–1 | 3–0 | 2–0 | 0–2 | |
로마 | 2–1 | 1–1 | 4–2 | 2–3 | 1–1 | 4–0 | 2–0 | 2–3 | 1–0 | 1–1 | 3–1 | 2–2 | 2–4 | 0–1 | 2–0 | 2–0 | 4–1 | 1–1 | 4–2 | |
밀란 | 1–1 | 3–0 | 0–0 | 2–1 | 0–1 | 2–1 | 0–1 | 2–1 | 1–0 | 0–1 | 1–0 | 4–2 | 2–0 | 5–1 | 1–0 | 2–1 | 2–0 | 4–1 | 1–3 | |
볼로냐 | 0–3 | 0–0 | 3–3 | 1–3 | 1–1 | 1–1 | 2–1 | 1–1 | 0–2 | 1–3 | 0–0 | 4–0 | 3–0 | 4–0 | 2–2 | 1–2 | 3–0 | 1–1 | 2–1 | |
삼프도리아 | 0–1 | 0–1 | 3–1 | 0–0 | 1–0 | 2–1 | 1–2 | 0–2 | 3–2 | 0–2 | 3–1 | 1–1 | 0–1 | 2–0 | 1–1 | 1–0 | 1–3 | 6–0 | 0–3 | |
시에나 | 0–2 | 3–0 | 1–3 | 1–2 | 1–0 | 1–0 | 0–2 | 2–2 | 1–2 | 3–1 | 1–0 | 1–3 | 0–0 | 0–1 | 0–0 | 0–0 | 0–0 | 1–0 | 0–1 | |
아탈란타 | 1–0 | 0–1 | 2–3 | 0–1 | 1–1 | 0–0 | 2–1 | 1–1 | 0–1 | 3–2 | 0–1 | 0–0 | 1–1 | 2–2 | 1–5 | 2–1 | 1–0 | 2–1 | 0–2 | |
우디네세 | 0–0 | 1–0 | 1–1 | 2–1 | 0–0 | 3–1 | 1–0 | 2–1 | 1–4 | 3–0 | 0–0 | 2–2 | 4–1 | 3–1 | 1–0 | 2–2 | 1–1 | 1–0 | 3–1 | |
유벤투스 | 2–0 | 0–0 | 4–1 | 1–0 | 2–1 | 1–2 | 3–0 | 3–0 | 4–0 | 1–3 | 1–1 | 1–0 | 1–1 | 2–0 | 3–0 | 2–0 | 1–0 | 2–1 | 2–0 | |
인테르나치오날레 | 2–1 | 1–3 | 1–3 | 1–1 | 0–1 | 3–2 | 0–2 | 3–4 | 2–5 | 1–2 | 1–1 | 2–0 | 2–2 | 3–1 | 2–2 | 1–0 | 1–0 | 2–0 | 2–1 | |
제노아 | 2–4 | 3–2 | 2–4 | 0–2 | 2–0 | 1–1 | 2–2 | 1–1 | 1–0 | 1–3 | 0–0 | 0–2 | 2–0 | 2–4 | 1–1 | 1–1 | 1–1 | 4–1 | 0–1 | |
카타니아 | 0–0 | 4–0 | 1–0 | 1–3 | 1–0 | 3–1 | 3–0 | 2–1 | 3–1 | 0–1 | 2–3 | 3–2 | 0–0 | 2–1 | 0–0 | 2–0 | 1–1 | 1–0 | 2–1 | |
칼리아리 | 0–1 | 1–0 | 0–3 | 1–1 | 1–0 | 3–1 | 4–2 | 1–1 | 0–1 | 1–3 | 2–0 | 2–1 | 0–0 | 0–2 | 4–3 | 0–1 | 1–1 | 1–2 | 2–1 | |
키에보 | 2–0 | 1–3 | 1–0 | 0–1 | 2–0 | 2–1 | 0–0 | 1–0 | 2–2 | 1–2 | 0–2 | 0–1 | 0–0 | 0–0 | 1–1 | 1–1 | 1–1 | 2–0 | 1–1 | |
토리노 | 3–5 | 1–0 | 1–2 | 2–4 | 1–0 | 0–0 | 3–2 | 2–1 | 0–0 | 0–2 | 0–2 | 0–0 | 2–2 | 0–1 | 2–0 | 1–3 | 0–0 | 3–0 | 2–2 | |
파르마 | 1–2 | 0–0 | 3–2 | 1–1 | 0–2 | 2–1 | 0–0 | 2–0 | 0–3 | 1–1 | 1–0 | 0–0 | 1–2 | 4–1 | 2–0 | 4–1 | 2–1 | 3–0 | 1–1 | |
팔레르모 | 0–3 | 2–2 | 2–0 | 2–2 | 1–1 | 2–0 | 1–2 | 1–2 | 2–3 | 0–1 | 1–0 | 0–0 | 3–1 | 1–1 | 4–1 | 0–0 | 1–3 | 1–1 | 0–3 | |
페스카라 | 0–3 | 0–3 | 0–1 | 0–4 | 2–3 | 2–3 | 2–3 | 0–0 | 0–1 | 1–6 | 0–3 | 2–0 | 2–1 | 0–2 | 0–2 | 0–2 | 2–0 | 1–0 | 1–5 | |
피오렌티나 | 1–1 | 2–0 | 0–1 | 2–2 | 1–0 | 2–2 | 4–1 | 4–1 | 2–1 | 0–0 | 4–1 | 3–2 | 2–0 | 4–1 | 2–1 | 4–3 | 2–0 | 1–0 | 0–2 |
출처: Lega Serie A
색상: 파랑 = 홈팀 승; 노랑 = 무승부; 빨강 = 원정 팀 승.
아직 치러지지 않은 경기 중 a표시는 그에 대한 문서가 있다는 것을 표시함.
일정
대진 추첨식은 Sky Sport의 중계와 함께 밀라노 소재의 Interactive Group TV 스튜디오에서 2012년 7월 26일에 열렸다.
|
Remove ads
기록 및 통계
요약
관점
구단 기록
선두 변화
시간 순 순위
|
위 표는 시간 순서에 맞춰 승점을 나열한다. |
조건별 순위
전, 후반기 순위
|
홈, 원정 순위
|
주요 기록
- 최다 승리 수: 유벤투스 (27)
- 최소 승리 수: 팔레르모, 페스카라 (6)
- 최다 무승부 수: 토리노 (16)
- 최소 무승부 수: 페스카라 (4)
- 최소 패배 수: 유벤투스 (5)
- 최다 패배 수: 페스카라 (28)
- 최다 득점 수: 나폴리 (73 득점)
- 최소 득점 수: 페스카라 (27 득점)
- 최소 실점 수: 유벤투스 (24 실점)
- 최다 실점 수: 페스카라 (84 실점)
- 최대 득실점차 수: 유벤투스 (+47)
- 최소 득실점차 수: 페스카라 (-57)
- 최다 연속 무패 수: 밀란 (14 연무패, 19~32 라운드)
- 최다 연승 수: 유벤투스 (9, 28~36 라운드)
- 최다 연속 무승부 수: 볼로냐 (5, 30~34 라운드)
- 최다 연패 수: 페스카라 (8 연패, 25~32 라운드)
- 최다 득점 경기: 토리노 - 나폴리 3-5 (8)
- 최대 득실점차 경기: 삼프도리아 - 페스카라 6-0 (6), 라치오 - 볼로냐 6-0 (6)
- 한 라운드 최다 득점 수: 39골 (15 라운드)
- 한 라운드 최소 득점 수: 16골 (5, 37 라운드)
- 시즌 첫 득점: 우디네세와 피오렌티나와의 경기에서 마이코주에우의 득점 (2012년 8월 25일)
- 가장 빠른 득점: 18초
- 유벤투스와 인테르나치오날레와의 경기에서 아르투로 비달의 득점 (2012년 11월 3일)
- 가장 늦은 득점: 90+5분
개인 기록
Remove ads
같이 보기
각주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