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성운상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성운상
Remove ads

성운상(일본어: 星雲賞 (せいうんしょう) 세이운쇼[*])은 일본의 문학상으로, 그 전 해에 발표되거나 완결지어진 SF작품을 수상 대상으로 한다. 1962년부터 펼쳐진 일본SF대회(여기서의 대회는 convention의 의미)의 부수적 행사로서 1970년 제정되었으며, 대회의 참가자 투표에 의해 선정되는 것이 특징이다. '성운상'이라는 이름은 1954년에 간행된 일본 최초의 SF잡지라 불리는 '성운'(출판사와의 트러블로 창간호 이후 폐간)에서 유래되었다.

Thumb

상에는 '일본 장편 부문'(1970), '일본 단편 부문'(1970), '해외 장편 부문'(1970), '해외 단편 부문'(1970), '미디어 부문'(1970년/제10회까지는 '영화연극 부문'), '코믹 부문'(1978), '아트 부문'(1979), '논픽션 부문'(1985) 및 '자유부문'(2002년의 개정으로 추가)이 있으며, 집계 및 수상은 일본SF팬클럽 연합회의가 행한다. 처음에는 소설과 영화/연극에만 주어졌으나, 이후 미디어, 만화(코믹), 아트(일러스트 등) 등이 추가되었다. 부상의 선정은 해당 연도의 일본SF대회 실행위원회가 담당한다. 매번 취향이 반영된 부상이 주어진다(예를 들면 DAICON4 당시에는 개최지인 오오사카에 맞춰 특대 기와모양 센베이가 주어졌다).

대한민국 국민으로는 만화칼럼니스트 선정우2005년에 자유 부문을 공동 수상한 것이 유일하다.

Remove ads

심사 방법

요약
관점

성운상의 심사는 아래와 같은 순서로 이루어진다.

  1. 일본SF팬그룹 연합회의 사무국에 각 팬그룹에서 제출된 후보작 및 각종 정보로부터 참고후보작을 선정한다.
  2. 참고후보작은 일본SF대회 참가자를 대상으로 해당 연도의 일본SF대회 실행위원회가 투표용 엽서와 함께 고지한다. (제36회(2005년)에는 인터넷으로도 투표가 가능하게 되었다)
  3. 일본SF팬그룹 연합회의 사무국에서 투표를 집계한다.
  4. 일본SF대회 행사의 일환인 일본SF팬그룹 연합회의 정기총회 석상에서 집계결과의 보고와 수상작품을 확인하게 되며, 대의원에게 수상자격 등에 이의가 제기되지 않는 경우 득표 1위가 수상작이 된다.

연합회의에서 선정하는 참고후보작은 어디까지나 후보작이며, 노미네이트는 아니다. 그러므로 참고후보작 이외에도 수상자격이 있는 작품이라면 투표 및 수상이 가능하다.

일본부문

자세한 정보 회차, 연도 ...

해외 부문

자세한 정보 회차, 연도 ...

영화연극/미디어 부문

코믹 부문

성운상의 수상 대상 기준은 그 해 완결된 작품이나, 예외적으로 제33회 수상작 플라네테스는 연재 도중에 수상하였다. 제26회의 《바람 계곡의 나우시카》는 연재중단을 몇 번이나 거친 뒤 마지막으로 작가에 의해 더 이상의 연재는 없다고 선언된 뒤 수상하였다.

아트 부문

  • 제10회 (1979년) - 가토 나오유키(加藤直之). 일러스트레이터. 《스타십 트루퍼스》(Starship Troopers) 일본어판의 파워드 수츠를 디자인.
  • 제11회 (1980년) - 오라이 노리요시(生頼範義). 영화 《스타워즈 V 제국의 역습》 국제판, 《고지라》(1984년), 《일본침몰》(2006년)의 포스터, 게임 《삼국지 Ⅱ》 등의 패키지 일러스트를 담당.
  • 제12회 (1981년) - 야스히코 요시카즈. 만화가, 애니메이터. 《기동전사 건담》의 메카닉디자인을 담당.
  • 제13회 (1982년) - 나가오카 슈세이(長岡秀星). 일러스트레이터. 카펜터즈, ELO 등의 앨범을 담당.
  • 제14회 (1983년) - 아마노 요시타카. 일러스트레이터. 애니메이션 《독수리 오형제》 캐릭터디자인, 게임 《파이널 판타지》 시리즈의 이미지 일러스트를 담당.
  • 제15회 (1984년) - 아마노 요시타카
  • 제16회 (1985년) - 아마노 요시타카
  • 제17회 (1986년) - 아마노 요시타카
  • 제18회 (1987년) - 사토 미지아키(佐藤道明). 일러스트레이터. 소설 《욱일의 함대》 표지 및 삽화를 담당.
  • 제19회 (1988년) - 스에미 준(末弥純). 일러스트레이터. 소설 《구인 사가》 시리즈의 일러스트, 게임 《위저드리》(슈퍼패미컴판) 몬스터 디자인, 《프론트 미션 2》 캐릭터디자인을 담당.
  • 제20회 (1989년) - 가토 히로유키(加藤洋之) & 고토 게이스케(後藤啓介). 일러스트레이터. 소설 《오라 배틀러 전기》 표지 및 삽화를 담당.
  • 제21회 (1990년) - 미치하라 가쓰미(道原かつみ). 만화가, 일러스트레이터. 만화 《조커》 시리즈, 《은하영웅전설》(다나카 요시키 원작) 작가.
  • 제22회 (1991년) - 요코야마 에이지(横山えいじ). 만화가. 만화 《우주대잡화》 작가.
  • 제23회 (1992년) - 시로 마사무네. 만화가. 만화 《공각기동대》, 《애플시드》 작가.
  • 제24회 (1993년) - 미즈타마 게이노조(水玉螢之丞). 만화가, 일러스트레이터. 애니메이션 《브리가둔 마린과 메란》 캐릭터 원안, 게임 《화성 이야기》 캐릭터디자인을 담당.
  • 제25회 (1994년) - 요네다 히토시(米田仁士). 일러스트레이터. 게임 《소서리안》, 《성검전설》, 《소드 월드》 일러스트를 담당.
  • 제26회 (1995년) - 미즈타마 게이노조
  • 제27회 (1996년) - 야마다 아키히로(山田章博). 일러스트레이터. 소설 《십이국기》 표지 및 삽화, 게임 《악마성 드라큘라 XX》, 애니메이션 《라제폰》 캐릭터디자인을 담당.
  • 제28회 (1997년) - 가이다 유지(開田裕治). 일러스트레이터. 괴수영화와 로봇 일러스트 다수 제작. 화집 《괴수희화》, 《괴수화랑》 등을 발표.
  • 제29회 (1998년) - 미즈키 시게루. 만화가. 만화 《게게게의 키타로》 작가.
  • 제30회 (1999년) - 아카이 다카미(赤井孝美). 일러스트레이터, 게임 크리에이터. 게임 《프린세스 메이커》 감독, 캐릭터디자인을 담당. 소설 《성계의 문장》 표지 및 삽화를 담당.
  • 제31회 (2000년) - 쓰루타 겐지(鶴田謙二). 만화가, 일러스트레이터. 만화 《스피릿 오브 원더》, 《아베노바시 마법 상점가》 작가.
  • 제32회 (2001년) - 쓰루타 겐지
  • 제33회 (2002년) - 데라다 가쓰야(寺田克也). 만화가, 일러스트레이터. 게임 《버추어 파이터 2》, 《탐정 진구지 사부로》 시리즈의 캐릭터디자인을 담당. 만화 《서유기전 대원왕》 작가.
  • 제34회 (2003년) - 신카이 마코토. 애니메이터. 애니메이션 《그녀와 그녀의 고양이》, 《별의 목소리》, 《구름의 저편, 약속의 장소》, 《초속 5센티미터》 감독.
  • 제35회 (2004년) - 니시지마 다이스케(西島大介). 만화가. 만화 《세계의 끝과 마법사》, 《디엔비엔푸》 작가.
  • 제36회 (2005년) - 신카이 마코토
  • 제37회 (2006년) - [무라타 렌지]]. 일러스트레이터. 게임 《고케츠지(호혈사) 일족》 시리즈, 애니메이션 《청의 6호》, 《라스트 엑자일》의 캐릭터디자인을 담당.
  • 제38회 (2007년) - 아마노 요시타카
  • 제39회 (2008년) - 가토 나오유키
  • 제40회 (2009년) - 가토 나오유키
  • 제41회 (2010년) - 가토 나오유키
  • 제42회 (2011년) - 가토 나오유키
  • 제43회 (2012년) - 와시오 나오히로. 일러스트레이터, 애니메이션 《맹렬 우주해적》의 메카닉 디자인 담당
  • 제44회 (2013년) - 쓰루타 겐지
  • 제45회 (2014년) - 가토 나오유키
  • 제46회 (2015년) - 미즈타마 게이노조
  • 제47회 (2016년) - 오라이 노리요시
  • 제48회 (2017년) - 가토 나오유키

논픽션 부문

  • 제41회 (2010년) - 《일본SF정신사 ─막말·메이지부터 전후까지》나가야마 야스오
  • 제42회 (2011년) - 《사는 사이언스의 사》시카노 쓰카사
  • 제43회 (2012년) - 《아즈마 히데오 <총 특집> --- 미소녀·SF ·부조리 개그, 그리고 실종》Kawade Shobo Shinsha,Publishers
  • 제44회 (2013년) - 《정보처리 2012년 5월호 별쇄 - 특집 CGM의 현재와 미래 : 하츠네 미쿠, 니코니코 동화, 피아프로가 개척한 세계》마사타카 고토
  • 제45회 (2014년) - 《DIY 수소 연료 로켓》요시토 아사리
  • 제46회 (2015년) - 《산리오 SF 문고 총 해설》마키 신지, 오모리 노조미

제 47 회 (2016년) -《SF까지 10000 광년》《SF까지 10만광년 이상》미즈타마 케이노조 제 48 회 (2017년) -《SF의 S는 멋의 S》이케자와 하루나

자유 부문

  • 제33회 (2002년) - H-IIA 로켓 시험기 1호기 (일본 우주개발사업단). 일본의 인공위성 발사용 로켓의 시험기.
  • 제34회 (2003년) - 인간형 로봇 HRP-2 최종성과기(Promet) (이즈부치 유타카, 카와다공업 주식회사). 일본에서 개발된 이족보행 로봇. '프로메테(Promet)'는 애칭.
  • 제35회 (2004년) - 왕립과학박물관 시리즈1 (오카다 도시오). 일본의 완구회사 다카라와 가이요도가 평론가 오카다 도시오의 기획으로 제작한 완구 시리즈.
  • 제36회 (2005년) - 베네치아 비엔날레 제9회 국제건축전 일본관 전시 (일본국제교류기금, 모리카와 가이치로, 참가 작가 일동). 이탈리아 베네치아(베니스)에서 발표된 《오타쿠:인격=공간=도시》 전시. 커미셔너 모리카와 가이치로와 참가 작가 단게 겐조, 오카다 도시오, 가이요도, 오시마 유키, 사이토 다마키, 가이하츠 요시아키, 코믹마켓 준비회, 선정우가 공동 수상.
  • 제37회 (2006년) - MUSES-C 하야부사 샘플 리턴 미션에 있어서의 이토카와 착륙 (일본 우주항공연구개발기구). '하야부사'는 일본의 소행성 탐사기.
  • 제38회 (2007년) - M-V 로켓 (일본 우주항공연구개발기구). 일본의 인공위성, 행성 탐사기 발사용 로켓.
  • 제39회 (2008년) - 하츠네 미쿠 (크립톤 퓨처 미디어). 보컬 음성 합성 소프트웨어 및 그 마스코트 캐릭터
  • 제40회 (2009년) - 당선작 없음
  • 제41회 (2010년) - 건담 30주년 프로젝트 Real G 실물크기 건담 입상
  • 제42회 (2011년) - 탐사기'하야부사'(제20호 과학위성 MUSES-C)의 지구귀환
  • 제43회 (2012년) - 당선작 없음
  • 제44회 (2013년) - iPS 세포
  • 제45회 (2014년) - NOVA 신작 SF 컬렉션 전 10권 출간
  • 제46회 (2015년) - 아오이 호노오(アオイホノオ) (일본 TV도쿄 '드라마24')
  • 제47회 (2016년) - 《페리 로단》500권 출판 달성
  • 제48회 (2017년) - 니호늄 정식 명칭 결정

특별상

  • 제13회 (1982년) - 1957년부터 시작해 현재까지 발행되고 있는 일본에서 가장 오래된 SF 동인지인 우주진(宇宙塵)이 수상. 우주진은 '우주인'과 일본어 발음이 같다.
  • 제20회 (1989년) - 테즈카 오사무(1989년 작고)
  • 제36회 (2005년) - 야노 데쓰(矢野徹)(2004년 작고). '카무이의 검', '지구 0년' 등의 작품이 있다.
  • 제38회 (2007년) - 요네자와 요시히로(米澤嘉博)(2006년 작고). 만화평론가, 코믹마켓준비회 대표.
  • 제41회 (2010년) - 다쿠미 시바노(柴野拓美), 일본 과학소설 번역가이자 작가로 일본 SF 팬덤에서는 일본 SF 장르를 정립한 인물로 인식되고 있다.
  • 제42회 (2011년) - 고마쓰 사쿄
Remove ads

외부 링크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