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성운상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성운상(일본어:

상에는 '일본 장편 부문'(1970), '일본 단편 부문'(1970), '해외 장편 부문'(1970), '해외 단편 부문'(1970), '미디어 부문'(1970년/제10회까지는 '영화연극 부문'), '코믹 부문'(1978), '아트 부문'(1979), '논픽션 부문'(1985) 및 '자유부문'(2002년의 개정으로 추가)이 있으며, 집계 및 수상은 일본SF팬클럽 연합회의가 행한다. 처음에는 소설과 영화/연극에만 주어졌으나, 이후 미디어, 만화(코믹), 아트(일러스트 등) 등이 추가되었다. 부상의 선정은 해당 연도의 일본SF대회 실행위원회가 담당한다. 매번 취향이 반영된 부상이 주어진다(예를 들면 DAICON4 당시에는 개최지인 오오사카에 맞춰 특대 기와모양 센베이가 주어졌다).
Remove ads
심사 방법
요약
관점
성운상의 심사는 아래와 같은 순서로 이루어진다.
- 일본SF팬그룹 연합회의 사무국에 각 팬그룹에서 제출된 후보작 및 각종 정보로부터 참고후보작을 선정한다.
- 참고후보작은 일본SF대회 참가자를 대상으로 해당 연도의 일본SF대회 실행위원회가 투표용 엽서와 함께 고지한다. (제36회(2005년)에는 인터넷으로도 투표가 가능하게 되었다)
- 일본SF팬그룹 연합회의 사무국에서 투표를 집계한다.
- 일본SF대회 행사의 일환인 일본SF팬그룹 연합회의 정기총회 석상에서 집계결과의 보고와 수상작품을 확인하게 되며, 대의원에게 수상자격 등에 이의가 제기되지 않는 경우 득표 1위가 수상작이 된다.
연합회의에서 선정하는 참고후보작은 어디까지나 후보작이며, 노미네이트는 아니다. 그러므로 참고후보작 이외에도 수상자격이 있는 작품이라면 투표 및 수상이 가능하다.
일본부문
해외 부문
영화연극/미디어 부문
- 제1회 (1970년) TV 시리즈 <The Prisoner> 패트릭 맥구한, 영화 <Charly> 랠프 넬슨
- 제2회 (1971년) TV 시리즈 <UFO>개리 앤더슨
- 제3회 (1972년) 영화 <안드로메다의 위기(The Andromeda Strain)> 로버트 와이즈
- 제4회 (1973년) 영화 《시계태엽 오렌지》 스탠리 큐브릭
- 제5회 (1974년) 영화 <소일렌트 그린(Soylent Green)> 리처드 플라이셔
- 제6회 (1975년) 애니메이션 《우주전함 야마토》 니시자키 요시노부
- 제7회 (1976년) 연극 <Star> (> 후쿠다 쓰네아리)
- 제8회 (1977년) 수상작 없음
- 제9회 (1978년) 영화 <솔라리스(Solyaris)> 안드레이 타르콥스키
- 제10회 (1979년) 영화 《스타워즈》 조지 루카스
- 제11회 (1980년) 영화 에일리언 리들리 스콧
- 제12회 (1981년) 영화 《스타워즈 5-제국의 역습》(Star Wars Ⅴ-The Empire Strikes Back) 조지 루카스
- 제13회 (1982년) 수상작 없음
- 제14회 (1983년) 영화 《블레이드 러너》 리들리 스콧
- 제15회 (1984년) 영화 《다크 크리스탈》(The Dark Crystal) 짐 헨슨, 프랭크 오즈, 게리 커츠
- 제16회 (1985년) 애니메이션 《바람계곡의 나우시카》 미야자키 하야오
- 제17회 (1986년) 영화 《백 투 더 퓨처》 로버트 저메키스
- 제18회 (1987년) 영화 《브라질》 테리 길리엄
- 제19회 (1988년) 애니메이션 《왕립 우주군~오네아미스의 날개~》 야마가 히로유키
- 제20회 (1989년) 애니메이션 《이웃집 토토로》 미야자키 하야오
- 제21회 (1990년) 애니메이션 <톱을 노려라!-건 버스터(トップをねらえ!〈ガンバスター〉)> 안노 히데아키
- 제22회 (1991년) 다큐멘터리 <은하 우주 오딧세이(銀河宇宙オデッセイ)> NHK 프로덕션
- 제23회 (1992년) 영화 《터미네이터 2: 심판의 날》 제임스 카메론
- 제24회 (1993년) 애니메이션 <엄마는 4학년(ママは小学4年生)> 이우치 슈지
- 제25회 (1994년) 영화 《쥬라기 공원》 스티븐 스필버그
- 제26회 (1995년) 영화 <제이람 2(Zeiram 2)> 아메미야 게이타
- 제27회 (1996년) 영화 <가메라(ガメラ)> 유아사 노리아키, 샌디 하워드
- 제28회 (1997년) 영화 <가메라 2: 레기온 내습(ガメラ 2: レギオン襲来> 가네코 슈스케
- 제29회 (1998년) 특촬물 <울트라맨 티가(ウルトラマンティガ)> 츠부라야 프로덕션
- 제30회 (1999년) 영화 <기동전함 나데시코 극장판 - 프린스 오브 다크니스(機動戦艦ナデシコ - Prince of Darkness)> 사토 타츠오
- 제31회 (2000년) 애니메이션 《카우보이 비밥》 와타나베 신이치로
- 제32회 (2001년) 비디오 게임 <건퍼레이드 마치(ガンパレード・マーチ)> 사쿠라비 가쓰시
- 제33회 (2002년) 특촬물 《가면라이더 쿠우가》 이시다 히데노리
- 제34회 (2003년) 애니메이션 《별의 목소리》 신카이 마코토
- 제35회 (2004년) 영화 《반지의 제왕: 두 개의 탑》 피터 잭슨
- 제36회 (2005년) 애니메이션 <플라네테스(Planetes)> 다니구치 고로
- 제37회 (2006년) 특촬물 《특수전대 데카레인저》 토에이
- 제38회 (2007년) 애니메이션 《시간을 달리는 소녀》 호소다 마모루
- 제39회 (2008년) 애니메이션 《전뇌 코일》 이소 미츠오
- 제40회 (2009년) 애니메이션 <마크로스 프론티어(Macross Frontier)> 가와모리 쇼지
- 제41회 (2010년) 애니메이션 《썸머 워즈》 호소다 마모루
- 제42회 (2011년) 영화 《디스트릭트 9》 닐 블롬캠프
- 제43회 (2012년) 애니메이션 《마법소녀 마도카☆마기카》 신보 아키유키
- 제44회 (2013년) 애니메이션 《맹렬 우주해적》 사토 다쓰오
- 제45회 (2014년) 영화 《퍼시픽 림》 기예르모 델 토로
- 제46회 (2015년) 애니메이션 <우주전함 야마토 2199 - 별을 도는 방주(宇宙戦艦ヤマト2199 - 星巡る方舟)> 이즈부치 유타카
- 제47회 (2016년) 애니메이션 《걸즈 & 판처 극장판》 미즈시마 츠토무
- 제48회 (2017년) 영화 《신 고질라》 히구치 신지, 안노 히데아키
코믹 부문
성운상의 수상 대상 기준은 그 해 완결된 작품이나, 예외적으로 제33회 수상작 플라네테스는 연재 도중에 수상하였다. 제26회의 《바람 계곡의 나우시카》는 연재중단을 몇 번이나 거친 뒤 마지막으로 작가에 의해 더 이상의 연재는 없다고 선언된 뒤 수상하였다.
- 제9회 (1978년) - 《지구를 향해》타케미야 케이코
- 제10회 (1979년) - 《부조리 일기》아즈마 히데오
- 제11회 (1980년) - 《스타 레드》 하기오 모토
- 제12회 (1981년) - 《전설》미즈키 와카코
- 제13회 (1982년) - 《기분은 이미 전쟁》오토모 가쓰히로
- 제14회 (1983년) - 《은의 삼각》 하기오 모토
- 제15회 (1984년) - 《동몽》오토모 가쓰히로
- 제16회 (1985년) - 《X+Y》하기오 모토
- 제17회 (1986년) - 《애플 시드》시로 마사무네
- 제18회 (1987년) - 《시끌별 녀석들》타카하시 루미코
- 제19회 (1988년) - 《궁극초인 아~루》유우키 마사미
- 제20회 (1989년) - 《인어의 숲》 타카하시 루미코
- 제21회 (1990년) - 《So What?》와카쓰키 메구미
- 제22회 (1991년) - 《우주 대잡화》요코야마 에이지
- 제23회 (1992년) - 《야마타이카》호시노 유키노부
- 제24회 (1993년) - 《OZ》이쓰키 나츠미
- 제25회 (1994년) - 《DAI-HONYA》토리 미키, 《그랑 로바》시토 교코
- 제26회 (1995년) - 《바람 계곡의 나우시카》미야자키 하야오
- 제27회 (1996년) - 《기생수》이와아키 히토시
- 제28회 (1997년) - 《요괴소년 호야》후지타 가즈히로
- 제29회 (1998년) - 《SF대장》도리 미키
- 제30회 (1999년) - 《룬나공주 방랑기》요코야마 에이지
- 제31회 (2000년) - 《이티하사》미즈키 와카코
- 제32회 (2001년) - 《카드캡터 사쿠라》 CLAMP
- 제33회 (2002년) - 《플라네테스》유키무라 마코토
- 제34회 (2003년) - 《크로노아이즈》하세가와 유이치
- 제35회 (2004년) - 《바람의 저편》히카와 교코
- 제36회 (2005년) - 《브레멘 II》가와하라 이즈미
- 제37회 (2006년) - 《음양사》유메마쿠라 바쿠 글, 오카노 레이코 그림
- 제38회 (2007년) - 《카페 알파》아시나노 히토시
- 제39회 (2008년) - 《20세기 소년, 21세기 소년》우라사와 나오키, 나가사키 다카시
- 제40회 (2009년) - 《트라이건 맥시멈》나이토 야스히로
- 제41회 (2010년) - 《플루토》데즈카 오사무, 우라사와 나오키
- 제42회 (2011년) - 《강철의 연금술사》아라카와 히로무
- 제43회 (2012년) - 《모빌슈트 건담 디 오리진》야스히코 요시카즈
- 제44회 (2013년) - 《별의 계승자》호시노 유키노부
- 제45회 (2014년) - 《나루에의 세계》마루카와 도모히로
- 제46회 (2015년) - 《모야시몬》이시카와 마사유키
- 제47회 (2016년) - 《시도니아의 기사》니헤이 츠토무
- 제48회 (2017년) - 《여기는 잘나가는 파출소》아키모토 오사무
아트 부문
- 제10회 (1979년) - 가토 나오유키(加藤直之). 일러스트레이터. 《스타십 트루퍼스》(Starship Troopers) 일본어판의 파워드 수츠를 디자인.
- 제11회 (1980년) - 오라이 노리요시(生頼範義). 영화 《스타워즈 V 제국의 역습》 국제판, 《고지라》(1984년), 《일본침몰》(2006년)의 포스터, 게임 《삼국지 Ⅱ》 등의 패키지 일러스트를 담당.
- 제12회 (1981년) - 야스히코 요시카즈. 만화가, 애니메이터. 《기동전사 건담》의 메카닉디자인을 담당.
- 제13회 (1982년) - 나가오카 슈세이(長岡秀星). 일러스트레이터. 카펜터즈, ELO 등의 앨범을 담당.
- 제14회 (1983년) - 아마노 요시타카. 일러스트레이터. 애니메이션 《독수리 오형제》 캐릭터디자인, 게임 《파이널 판타지》 시리즈의 이미지 일러스트를 담당.
- 제15회 (1984년) - 아마노 요시타카
- 제16회 (1985년) - 아마노 요시타카
- 제17회 (1986년) - 아마노 요시타카
- 제18회 (1987년) - 사토 미지아키(佐藤道明). 일러스트레이터. 소설 《욱일의 함대》 표지 및 삽화를 담당.
- 제19회 (1988년) - 스에미 준(末弥純). 일러스트레이터. 소설 《구인 사가》 시리즈의 일러스트, 게임 《위저드리》(슈퍼패미컴판) 몬스터 디자인, 《프론트 미션 2》 캐릭터디자인을 담당.
- 제20회 (1989년) - 가토 히로유키(加藤洋之) & 고토 게이스케(後藤啓介). 일러스트레이터. 소설 《오라 배틀러 전기》 표지 및 삽화를 담당.
- 제21회 (1990년) - 미치하라 가쓰미(道原かつみ). 만화가, 일러스트레이터. 만화 《조커》 시리즈, 《은하영웅전설》(다나카 요시키 원작) 작가.
- 제22회 (1991년) - 요코야마 에이지(横山えいじ). 만화가. 만화 《우주대잡화》 작가.
- 제23회 (1992년) - 시로 마사무네. 만화가. 만화 《공각기동대》, 《애플시드》 작가.
- 제24회 (1993년) - 미즈타마 게이노조(水玉螢之丞). 만화가, 일러스트레이터. 애니메이션 《브리가둔 마린과 메란》 캐릭터 원안, 게임 《화성 이야기》 캐릭터디자인을 담당.
- 제25회 (1994년) - 요네다 히토시(米田仁士). 일러스트레이터. 게임 《소서리안》, 《성검전설》, 《소드 월드》 일러스트를 담당.
- 제26회 (1995년) - 미즈타마 게이노조
- 제27회 (1996년) - 야마다 아키히로(山田章博). 일러스트레이터. 소설 《십이국기》 표지 및 삽화, 게임 《악마성 드라큘라 XX》, 애니메이션 《라제폰》 캐릭터디자인을 담당.
- 제28회 (1997년) - 가이다 유지(開田裕治). 일러스트레이터. 괴수영화와 로봇 일러스트 다수 제작. 화집 《괴수희화》, 《괴수화랑》 등을 발표.
- 제29회 (1998년) - 미즈키 시게루. 만화가. 만화 《게게게의 키타로》 작가.
- 제30회 (1999년) - 아카이 다카미(赤井孝美). 일러스트레이터, 게임 크리에이터. 게임 《프린세스 메이커》 감독, 캐릭터디자인을 담당. 소설 《성계의 문장》 표지 및 삽화를 담당.
- 제31회 (2000년) - 쓰루타 겐지(鶴田謙二). 만화가, 일러스트레이터. 만화 《스피릿 오브 원더》, 《아베노바시 마법 상점가》 작가.
- 제32회 (2001년) - 쓰루타 겐지
- 제33회 (2002년) - 데라다 가쓰야(寺田克也). 만화가, 일러스트레이터. 게임 《버추어 파이터 2》, 《탐정 진구지 사부로》 시리즈의 캐릭터디자인을 담당. 만화 《서유기전 대원왕》 작가.
- 제34회 (2003년) - 신카이 마코토. 애니메이터. 애니메이션 《그녀와 그녀의 고양이》, 《별의 목소리》, 《구름의 저편, 약속의 장소》, 《초속 5센티미터》 감독.
- 제35회 (2004년) - 니시지마 다이스케(西島大介). 만화가. 만화 《세계의 끝과 마법사》, 《디엔비엔푸》 작가.
- 제36회 (2005년) - 신카이 마코토
- 제37회 (2006년) - [무라타 렌지]]. 일러스트레이터. 게임 《고케츠지(호혈사) 일족》 시리즈, 애니메이션 《청의 6호》, 《라스트 엑자일》의 캐릭터디자인을 담당.
- 제38회 (2007년) - 아마노 요시타카
- 제39회 (2008년) - 가토 나오유키
- 제40회 (2009년) - 가토 나오유키
- 제41회 (2010년) - 가토 나오유키
- 제42회 (2011년) - 가토 나오유키
- 제43회 (2012년) - 와시오 나오히로. 일러스트레이터, 애니메이션 《맹렬 우주해적》의 메카닉 디자인 담당
- 제44회 (2013년) - 쓰루타 겐지
- 제45회 (2014년) - 가토 나오유키
- 제46회 (2015년) - 미즈타마 게이노조
- 제47회 (2016년) - 오라이 노리요시
- 제48회 (2017년) - 가토 나오유키
논픽션 부문
- 제41회 (2010년) - 《일본SF정신사 ─막말·메이지부터 전후까지》나가야마 야스오
- 제42회 (2011년) - 《사는 사이언스의 사》시카노 쓰카사
- 제43회 (2012년) - 《아즈마 히데오 <총 특집> --- 미소녀·SF ·부조리 개그, 그리고 실종》Kawade Shobo Shinsha,Publishers
- 제44회 (2013년) - 《정보처리 2012년 5월호 별쇄 - 특집 CGM의 현재와 미래 : 하츠네 미쿠, 니코니코 동화, 피아프로가 개척한 세계》마사타카 고토
- 제45회 (2014년) - 《DIY 수소 연료 로켓》요시토 아사리
- 제46회 (2015년) - 《산리오 SF 문고 총 해설》마키 신지, 오모리 노조미
제 47 회 (2016년) -《SF까지 10000 광년》《SF까지 10만광년 이상》미즈타마 케이노조 제 48 회 (2017년) -《SF의 S는 멋의 S》이케자와 하루나
자유 부문
- 제33회 (2002년) - H-IIA 로켓 시험기 1호기 (일본 우주개발사업단). 일본의 인공위성 발사용 로켓의 시험기.
- 제34회 (2003년) - 인간형 로봇 HRP-2 최종성과기(Promet) (이즈부치 유타카, 카와다공업 주식회사). 일본에서 개발된 이족보행 로봇. '프로메테(Promet)'는 애칭.
- 제35회 (2004년) - 왕립과학박물관 시리즈1 (오카다 도시오). 일본의 완구회사 다카라와 가이요도가 평론가 오카다 도시오의 기획으로 제작한 완구 시리즈.
- 제36회 (2005년) - 베네치아 비엔날레 제9회 국제건축전 일본관 전시 (일본국제교류기금, 모리카와 가이치로, 참가 작가 일동). 이탈리아 베네치아(베니스)에서 발표된 《오타쿠:인격=공간=도시》 전시. 커미셔너 모리카와 가이치로와 참가 작가 단게 겐조, 오카다 도시오, 가이요도, 오시마 유키, 사이토 다마키, 가이하츠 요시아키, 코믹마켓 준비회, 선정우가 공동 수상.
- 제37회 (2006년) - MUSES-C 하야부사 샘플 리턴 미션에 있어서의 이토카와 착륙 (일본 우주항공연구개발기구). '하야부사'는 일본의 소행성 탐사기.
- 제38회 (2007년) - M-V 로켓 (일본 우주항공연구개발기구). 일본의 인공위성, 행성 탐사기 발사용 로켓.
- 제39회 (2008년) - 하츠네 미쿠 (크립톤 퓨처 미디어). 보컬 음성 합성 소프트웨어 및 그 마스코트 캐릭터
- 제40회 (2009년) - 당선작 없음
- 제41회 (2010년) - 건담 30주년 프로젝트 Real G 실물크기 건담 입상
- 제42회 (2011년) - 탐사기'하야부사'(제20호 과학위성 MUSES-C)의 지구귀환
- 제43회 (2012년) - 당선작 없음
- 제44회 (2013년) - iPS 세포
- 제45회 (2014년) - NOVA 신작 SF 컬렉션 전 10권 출간
- 제46회 (2015년) - 아오이 호노오(アオイホノオ) (일본 TV도쿄 '드라마24')
- 제47회 (2016년) - 《페리 로단》500권 출판 달성
- 제48회 (2017년) - 니호늄 정식 명칭 결정
특별상
- 제13회 (1982년) - 1957년부터 시작해 현재까지 발행되고 있는 일본에서 가장 오래된 SF 동인지인 우주진(宇宙塵)이 수상. 우주진은 '우주인'과 일본어 발음이 같다.
- 제20회 (1989년) - 테즈카 오사무(1989년 작고)
- 제36회 (2005년) - 야노 데쓰(矢野徹)(2004년 작고). '카무이의 검', '지구 0년' 등의 작품이 있다.
- 제38회 (2007년) - 요네자와 요시히로(米澤嘉博)(2006년 작고). 만화평론가, 코믹마켓준비회 대표.
- 제41회 (2010년) - 다쿠미 시바노(柴野拓美), 일본 과학소설 번역가이자 작가로 일본 SF 팬덤에서는 일본 SF 장르를 정립한 인물로 인식되고 있다.
- 제42회 (2011년) - 고마쓰 사쿄
Remove ads
외부 링크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