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세자시강원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세자시강원(世子侍講院)은 조선 시대 왕세자의 교육을 담당하기 위하여 설치되었던 예조 소속 관서이다.

개요

태조 초에 설치된 세자관속(世子官屬)을 뒤에 개칭한 것으로 왕세자를 모시고 경서(經書)와 사적(史籍)을 강의하며 도의(道義)를 가르치는 임무를 담당하였다.

과거 합격자가 아닌 유학(幼學)이라도 대신이 추천하면 자의에 임명될 수 있었다.

관직표

자세한 정보 품계, 관직명 ...
자세한 정보 품계, 관직명 ...
Remove ads

기관 연혁

  • 1392년(태조 원년) : 세자관속(世子官屬) 설치.[1]
  • 1408년 10월(전으로 추측, 태종 8년) : 세자시강원(世子侍講院)으로 개칭.[2]
  • 1895년(고종 32년) : 갑오 관제개혁 때 예조속아문(禮曹屬衙門)에서 궁내부(宮內府) 소속으로 옮겨 왕태자궁(王太子宮)으로 이름 변경. 일강관(日講官) 2인, 시강관(侍講官) 4인, 첨사(詹事) 1인, 부첨사(副詹事) 1인 등을 둠
  • 1896년(고종 33년) : 왕태자궁이었던 이름을 시강원으로 개칭.
  • 1903년(광무 7년) : 일강관과 부첨사를 없애고 칙임관과 주임관의 서연관(書筵官) 각 1명을 둠.
  • 1905년(광무 9년) : 황태자시강원으로 개칭.
  • 1907년(광무 11년) : 동궁(東宮)으로 개칭.

각주

외부 링크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