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센텀시티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센텀시티(Centum City)는 대한민국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수영강 변 1,178,043 제곱미터(35만 평)의 터에 조성된 정보통신·영상·오락·국제업무 등의 기능을 갖춘 첨단 복합 산업단지이다.[1] 종합 전시장, 쇼핑 센터, 문화 시설, 공원 등이 잘 갖추어져 있다. 명칭은 라틴어로 100(일백)이란 숫자를 뜻하는 '센텀'과, '도시'라는 뜻의 시티를 결합하여 지은 것이다.

Remove ads
위치
예전에 수영비행장(또는 부산비행장)이 있던 자리로 해운대구 재송동에서 우동까지의 수영강 변에 있다. 수영비행장은 현재 강서구 대저2동 김해국제공항으로 이전하였다.
연혁
- 1976년 8월 김해국제공항으로 공항 기능이 옮겨가면서, 부산시와 시민단체의 비행장 부지 이관을 지속적으로 요구했다.
- 1996년 2월 16일 수영비행장은 군용항공기지에서 제외 되면서, 4월 1일 부산시와 육군본부 간에 국유재산 매매계약이 체결되었다.
- 1996년 7월 건설교통부에 도시기본계획변경 승인 신청과 12월 승인을 받으면서 본격적인 개발에 착수하였다.
- 1997년 9월 20일 지방산업단지(공원결정 포함)로 지정 고시되었다.
- 2000년 1월 6일 부산정보단지(공원포함) 실시계획 승인을 받았다.
- 2000년 5월 12일 부산정보단지를 센텀시티로 이름을 바꾸었다.
- 2000년 10월 12일 센텀시티 기반조성(공원) 공사를 착공하여 2005년 11월 30일 기반조성 공사가 준공되었다.
단지 내의 주요 시설
- 벡스코 - 2005년 APEC이 개최된 곳이다. 대한민국에서 킨텍스에 이어 두 번째로 큰 전시장이다.
- 신세계백화점 센텀시티 - 2009년 6월, 세계 최대 백화점으로 기네스북에 등재되었다. 지금의 주차장 터에 추가로 건물이 들어설 예정이다.
- 롯데백화점 - 센텀시티 내 가장 먼저 생긴 백화점으로 신세계백화점 바로 옆에 있다.
- 부산정보산업진흥원 - 2002년 설립된 부산지역 정보통신 및 문화콘텐츠산업 지원, 육성 기관이다.
- 부산문화콘텐츠컴플렉스 - 2012년 개관한 문화콘텐츠기업 집적화 시설로 부산정보산업진흥원에서 운영, 관리하는 시설이다.
- 영화의전당 - 축구장보다 큰 지붕과 지붕 아래 LED조명이 특색인 부산국제영화제 전용관이다.
- 부산시청자미디어센터 - 방송통신위원회에서 관리하고 있는 기관이다.
- 부산디자인센터 - 부산의 공공디자인등을 관리하고 책임지는 디자인 센터
- KNN(모기업:넥센타이어)부산경남방송 - SBS(모기업:태영건설) 네트워크와 가맹한 지역 민방으로 영화의전당 맞은편에 있으며 @sbs.co.kr로 통일해야한다.
- 영화진흥위원회 - 영화의전당 옆에 있다.
-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 청소년 상담 및 복지를 수립하는 여성가족부 유관 기관이다.
- 세종텔레콤 해저통신국
- SK텔레콤 부산데이터센터
- APEC 나루공원 - 광안대교 진입 지하차도 위에 건설된 공원으로 수영강 변에 있다. 요트 계류장을 건설하고 있다.
- 부산월드비즈니스센터(WBC) - 건설 예정인 118층 초고층 사무용 빌딩이다. 이 빌딩의 40%의 면적이 주거시설로 사용된다.
- 넥슨
- (주)타겟커뮤니케이션즈
- (주)씨네폭스
- AZworks
센텀2지구
- 사업명: 제2센텀시티(반여도시첨단산업단지)
- 위치: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반여동·반송동·석대동 일원
- 면적: 1,946천m2(59만평)
- 사업기간: 2016년 ~ 2022년
- 사업비: 1조 5,298억원
- 유치업종: 융합부품소재, 관광MICE, 정보통신기술(ICT), 바이오헬스, 영상·컨텐츠 등
교통
도시형 버스
- 동래~해운대(송정)구간을 지나는 버스노선
- 해운대(송정)~수영구간을 지나는 버스노선
도시철도
철도
갤러리
- 센텀시티와 마린시티 전경.
같이 보기
각주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