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소련 지도부

위키미디어 목록 항목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Remove ads

소련 지도부(러시아어: руководителей Сою́з Сове́тских Социалисти́ческих Респу́блик 루카바디뗄 소유스 소베츠키흐 소치알리스티체스키흐 레스푸블리크[*])는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연방(이하 소련)의 최고 권력자로서 국가를 영도한 단일 인물 또는 복수 인물들로 이루어진 집단이다. 1917년 소비에트 헌법 발효 이후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연방(이하 소련)은 장관평의회 주석정부수반으로,[1] 최고 소비에트 상임간부회 주석국가원수로 삼았다.[2] 정부수반인 장관평의회 주석은 제1세계총리에 대응하는 직책이며,[1] 최고 소비에트 상임간부회 주석은 대통령에 대응하는 직책이라고 볼 수 있다.[2] 소련의 70년 역사상 "지도자"라는 공식 직함이 존재한 적은 한 번도 없었으나, 대개 정부수반 또는 서기장직을 갖고 있는 이가 최고권력자로서 소련 지도부의 수장격이었다. 블라디미르 레닌의 이념에 따라 소비에트 국가의 지도부는 전위대 체계론의 집단체제로서 존재해야 했다.

이오시프 스탈린이 1920년대 소련 공산당의 지도자가 되고 [3] 중앙위원회 서기장에 취임하면서 서기장이 사실상의 최고지도자가 되었다.[4]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연방은 프롤레타리아 독재 국가였기 때문에 당권을 잡은 서기장이 당과 내각 모두를 통솔할 수 있었기 때문이다.[3] 이후 스탈린은 자기 살아 생전에 서기장직을 폐지하지만 스탈린 사후 니키타 흐루쇼프가 "제1서기"라는 직함으로 부활시켰고, 1966년 레오니트 브레즈네프가 니카타 흐루쇼프의 수정주의를 비판하며 "서기장" 직함으로 환원시켰다. 1990년까지 공산당 지도부로서[5] 서기장 공관이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연방의 최고 지도부 역할을 했다.[6] 서기장직은 임기나 승계에 관한 규정이 없었다. 그래서 전임 서기장이 사망하거나 실각할 경우 후임자는 정치국, 중앙위의 지지를 받아 서기장에 취임할 수 있었다. 1990년 3월 만들어진 소련 대통령직은 명목상으로는 국가원수인 최고 소비에트 주석을 대체한 직위이나 전연방의 지도자이자 최고권력자로서 서기장을 대체한 것이었다.[7]

주로 단일 지도자의 지도하에 운영되었으며, 여러 당료들이 집단지도체제를 꾸려 운영하는 경우도 있었다. 대개 이러한 집단지도체제 하의 지도부는 세 명의 당료들의 합의로 운영되었기 때문에 삼두체제(러시아어: тро́йка 트로이카[*])라고도 하였다.

Remove ads

역대 지도부 목록

요약
관점

칼표(†)는 재임 중 사망자를 의미한다.

자세한 정보 성명 (생몰연도), 증명사진 ...
Remove ads

같이 보기

각주

참고 자료

Loading content...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