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속담
언어학의 특징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속담(俗談)은 예로부터 한 민족 혹은 사회에서 사람들 사이에서 널리 말하여져서 굳어진 어구로 전해지는 말이다. 격언(格)이나 잠언(箴言)과 유사하다. 속담은 그 속담이 통용되는 공동체의 의식 구조를 반영하기 때문에[1] 언어학이나 문화인류학 등에서 연구 대상으로 많이 삼고 있다. 문학 작품에도 많이 등장한다.

예
- 가는 날이 장날이다
- 남의 잔치에 감 놓아라 배 놓아
- 돌다리도 두들겨 보고 건너라
- 마른 하늘에 날벼락
- 백지장도 맞들면 낫다
- 사공이 많으면 배가 산으로 올라간다
- 아는 길도 물어 가랬다
- 호랑이도 제 말하면 온다
- 자라 보고 놀란 가슴 솥뚜껑 보고 놀란다
- 천 리 길도 한 걸음부터
- 콩 심은 데 콩 나고 팥 심은 데 팥 난다
- 티끌 모아 태산
- 핑계 없는 무덤 없다
- 하늘의 별 따기
- 싼 게 비지떡
- 입에 쓴 약이 몸에 좋다
- 고래싸움에 새우등 터진다
- 서당개 삼년이면 풍월 옮는다
- 원숭이도 나무에서 떨어진다
- 바늘가는데 실간다
- 말이 말을 만든다
- 세살 버릇이 여든살까지 간다
- 호랑이에게 잡혀가도 정신만 차리면 산다
- 낫 놓고도 기역자를 모른다.-눈앞에 낫이 있어도 기초가 안될정도로 무식하여 ㄱ자가 뭔지도 모른다는 속담이며 기본이 되있는 똑똑한 전문가가 재대로 알려줘도 기초가 다뤄지지 않아 무식함을 비유하는 말이다.
- 발 없는 말이 천리 간다
- 소 잃고 외양간 고친다
- 가루는 칠수록 고와지고 말은 할수록 거칠어 진다
- 말이 많으면 쓸 말이 적다
- 입은 삐뚤어져도 말은 바로 해라
- 아 해 다르고 어 해 다르다
- 살은 쏘고 주워도 말은 하고 못 줍는다
- 사람은 죽으면 이름을 남기고 범은 죽으면 가죽을 남긴다
- 호랑이가 호랑이를 낳고 개가 개를 낳다
- 같은 값이면 다홍치마
- 바늘 구멍으로 하늘 보기
- 원숭이 볼기짝인
- 원숭이 이 잡아먹듯
- 원숭이 흉내[입내] 내듯
- 원숭이의 고기 재판하듯
- 원숭이 똥구멍같이 빨갛다
- 원숭이도 나무에서 떨어진다
- 잔나비 잔치
- 잔나비 띠는 재주가 있다
- 잔나비 밥 짓듯한다
- 나무 잘 타는 잔나비 나무에서 떨어진다.
- 대신 집 송아지 백정 무서운 줄 모른다
- 썩어도 준치-썩어도 형태나 모양은 그대로 유지된다는 말이다.
Remove ads
같이 보기
각주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