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완주 송광사 종루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완주 송광사 종루map
Remove ads

완주 송광사 종루(完州 松廣寺 鍾樓)는 대한민국 전북특별자치도 완주군 소양면 송광사에 있는, 조선시대의 건축물이다. 1996년 5월 29일 대한민국의 보물 제1244호로 지정되었다.[1]

간략 정보 종목, 수량 ...
간략 정보 종목, 정보 ...
Remove ads

개요

송광사는 통일신라 경문왕 7년(867)에 도의가 처음으로 세운 절이다. 그 뒤 폐허가 되어가던 것을 고려 중기의 고승 보조국사가 제자를 시켜서 그 자리에 절을 지으려고 했지만, 오랫동안 짓지 못하다가 광해군 14년(1622) 응호·승명·운정·덕림·득순·홍신 등이 지었다고 한다. 이후로도 인조 14년(1636)에 이르기까지 계속해서 절의 확장공사가 있었고 큰 절로 번창하였다.

《완주 송광사 종루》는 십자형(亞자형) 평면위에 팔작지붕을 교차시켜 십자형으로 짜올린 중층의 범종루 건물이다. 내부중앙칸은 평방없이 창방위에 운형의 부재를 화반처럼 놓고 이 부재위에 주두를 놓아 주간포작을 받치게 한 것이 특징있는 구조로서 중앙칸에 종을 걸고 돌출된 칸에 목어, 북, 운판을 걸어놓은 현재까지 조선시대에 건립된 유일한 아자형 종루 건물이다.

Remove ads

갤러리

== 같이 보기 ==
  • 송광사

각주

참고 자료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