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쇼가쿠칸 만화상
일본의 만화상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쇼가쿠칸 만화상(일본어: 小学館漫画賞, 소학관 만화상)은 만화 연재 작품을 대상으로 하여 쇼가쿠칸이 주최하는 상이다.
쇼가쿠칸·슈에이샤·하쿠센샤 등 히토쓰바시 그룹 계열의 잡지에 게재되는 작품이 수상하는 경우가 많다. 1955년의 제1회를 시작으로 부문을 확충하며 현재에 이르고 있다. 수상은 다음 해에 이루어진다.
수상작
요약
관점
1976년부터 2006년까지 수상작 중에 뒤에 별표가 붙은 작품은 2007년 2월 현재 대한민국의 만화규장각에 등록되어 있지 않은 작품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2023년 (제69회)
2022년 (제68회)
2021년 (제67회)
- 아동부문 - 없음
- 소년부문 - 《코미 양은 커뮤증입니다》: 오다 토모히토
- 소녀부문 - 《사라진 첫사랑》: 히네쿠레 와타루·아루코
- 일반부문 - 《2월의 승자 - 절대 합격의 교실》: 타카세 시호
- 일반부문 - 《미스터리라 하지 말지어다》: 타무라 유미
2020년 (제66회)
- 아동부문 - 《듀얼 마스터즈》: 마츠모토 시게노부
- 아동부문 - 《쇼콜라의 마법》: 미즈호 리노
- 소년부문 - 《장난을 잘 치는 타카기 양》: 야마모토 소이치로
- 소년부문 - 《체인소 맨》: 후지모토 타츠키
- 소녀부문 - 《유즈키네 사 형제》: 후지사와 시즈키
- 일반부문 - 《데드데드 데몬즈 디디디디 디스트럭션》: 아사노 이니오
- 일반부문 - 《하코즈메 ~파출소 여자의 역습~》: 야스 미코
2019년 (제65회)
- 아동부문 - 《고양이, 시작했습니다》: 와가타 코노미
- 소년부문 - 《마이코네 행복한 밥상》: 코야마 아이코
- 소녀부문 - 《나기의 휴식》: 코나리 미사토
- 일반부문 - 《아오아시》: 코바야시 유고
- 일반부문 - 《카구야 님은 고백받고 싶어 ~천재들의 연애 두뇌전~》: 아카사카 아카
2018년 (제64회)
- 아동부문 - 《12살.》: 마이타 나오
- 소년부문 - 《닥터 스톤》: 이나가키 리이치로·박무직
- 소녀부문 - 《근사한 남친》: 카와하라 카즈네
- 일반부문 - 《히비키 ~소설가가 되는 방법~》: 야나모토 미츠하루
- 일반부문 - 《건강하고 문화적인 최저한도의 생활》: 카시와기 하루코
2017년 (제63회)
- 아동부문 - 《프리프리 치이짱!!》: 시노즈카 히로무
- 소년부문 - 《약속의 네버랜드》: 시라이 카이우·데미즈 포스카
- 소녀부문 - 《사랑하고 사랑받고, 차고 차이고》: 사키사카 이오
- 일반부문 - 《항공모함 이부키》: 카와구치 카이지
- 일반부문 - 《사랑은 비가 갠 뒤처럼》: 마유즈키 준
2016년 (제62회)
- 아동부문 - 《왕따》:챠오 디럭스, 챠오/ 이가라시 카오루
- 소년부문 - 《모브 사이코 100》:뒷면 선데이/ ONE
- 소녀부문 - 《37.5 °C의 눈물》:Cheese!/ 시이나 치카
- 일반부문 - 《BLUE GIANT》:빅 코믹 /이시즈카 신이치
- 일반부문 - 《중쇄를 찍자!》:월간! 스피리츠 /마츠다 나오코
2015년 (제61회)
2014년 (제60회)
2013년 (제59회)
2012년 (제58회)
- 아동부문 - 《괴도 조커》:월간 코로코로 코믹/ 다카하시 히데야스
- 소년부문 - 《은수저》:주간 소년 선데이/ 아라카와 히로무
- 소녀부문 - 《Piece》:베쓰코미/ 아시하라 히나코
- 일반부문 - 《아이 엠 어 히어로》:빅 코믹 스피릿츠 / 하나자와 켄고
2011년 (제57회)
2010년 (제56회)
2009년 (제55회)
2008년 (제54회)
- 아동부문 - 《비밀의 봉우리》/ 야부치 유
- 소년부문 - 《크로스 게임》/ 아다치 미츠루
- 소녀부문 - 《BLACK BIRD》/ 사쿠라코우지 가노코
- 일반부문 - 《산》 /이시즈카신이치
2007년 (제53회)
2006년 (제52회)
2005년 (제51회)
2004년 (제50회)
- 아동부문 - 《개구리 중사 케로로》:월간 소년 에이스(각천서점)/요시자키 미네
- 아동부문 - 《위험최강 단거 할아버지》:코로코로 코믹(소학관)/소야마 가즈토시 *
- 소년부문 - 《블리치》:주간 소년 점프(집영사)/쿠보 타이토
- 소녀부문 - 《모래시계》:Betsucomi(소학관)/아시하라 히나코
- 소녀부문 - 《우리들이 있었다》:Betsucomi(소학관)/오바타 유키
- 일반부문 - 《의룡 Team Medical Dragon》:빅 코믹 스페리얼(소학관)/나가이 아키라·노기자키 다로
- 심사위원특별상
- 《여기는 잘나가는 파출소》:주간 소년 점프(집영사)/아키모토 오사무
- 《고르고13》:빅 코믹(소학관) ·사이토 다카오
2003년 (제49회)
2002년 (제48회)
2001년 (제47회)
2000년 (제46회)
1999년 (제45회)
1998년 (제44회)
1997년 (제43회)
1996년 (제42회)
1995년 (제41회)
1994년 (제40회)
1993년 (제39회)
1992년 (제38회)
1991년 (제37회)
1990년 (제36회)
1989년 (제35회)
1988년 (제34회)
1987년 (제33회)
1986년 (제32회)
1985년 (제31회)
- 아동부문 - 《아사리짱》:학년지 외(소학관)/무로야마 마유미 *
- 소년부문 - 《첫사랑 스캔들》《날아라! 인류II》:오제 아키라 *
- 소녀부문 - 《전략 밀크하우스》:가와하라 유미코
- 일반부문 - 《복케몽》:이와시게 다카시 *
1984년 (제30회)
1983년 (제29회)
1982년 (제28회)
1981년 (제27회)
1980년 (제26회)
1979년 (제25회)
1978년 (제24회)
- 소년부문 - 《다메오야지》:후루야 미츠토시 *
- 일반부문 - 《부랑운》:아키야마 죠지 *
1977년 (제23회)
1976년 (제22회)
1975년 (제21회)
(처음으로 카테고리를 나눔)
1974년 (제20회)
1973년 (제19회)
- 《남자 초 바보 갑자원》《식칼과 배트》:미즈시마 신지
1972년 (제18회)
- 《도우의 귀여운 신부》《달려! 보로》:아스나 히로시
1971년 (제17회)
- 《우리 집에 왜 왔니》외:나가시마 신지
- 《꿀벌 해치의 모험》:요시다 타츠오
1970년 (제16회)
1969년 (제15회)
- 《파이어!》:미즈노 히데코
1968년 (제14회)
- 《애니멀1》《이나카페 대장》:카와사키 노보루
1967년 (제13회)
- 《사부와 이치 포물공》《쥰》:이시노모리 쇼타로
1966년 (제12회)
해당작품 없음
1965년 (제11회)
- 《파키와 간타》외:마에카와 카즈오
1964년 (제10회)
1963년 (제9회)
- 《파이팅 선생님》《스톱! 오빠》:세키야 히사시
1962년 (제8회)
- 《나아가라 로봇》《장갑 낀 텟짱》:후지코 후지오
1961년 (제7회)
- 《사이언스군의 세계여행》:아키 레이지
1960년 (제6회)
해당작 없음
1959년 (제5회)
- 《코리스노복코(こりすのぼっこ)》외:오타 지로
- 《봉코짱》《후이친상》외:우에다 토시코
1958년 (제4회)
- 《꼬마 검둥이 삼보》《행복한 왕자》외:센바 타로
1957년 (제3회)
- 《만화생물학》《비이코짱》:테즈카 오사무
1956년 (제2회)
- 《오야마의 카바짱》외:이시다 에이스케
1955년 (제1회)
- 《부우탄》:바바 노보루
Remove ads
외부 링크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