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수선전도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수선전도(首善全圖)는 김정호가 만든 한성부 성곽 안과 그 근처의 지도이다.

수선전도의 ‘수선’(首善)은 서울을 뜻한다. 사기 유림전의 ‘建首善自京師始(건수선자경사시)’, 즉 으뜸가는 선을 건설함은 서울에서 시작된다고 한데서 온 말이다. 이 지도는 지도의 내용·구도·필치로 보아 김정호의 청구도에 단독으로 들어가 있는 서울지도를 바탕으로 제작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헌종 12년에서 15년까지 자하문 밖에 있던 총융청을 총위영으로 고쳐 부른 적이 있다. 이 지도에는 총신영으로 표기되어 있다. 그리고 1915년에 측도한 2만 5천분의 1 북한산 도폭에는 총융청이 위치하고 있던 세검정초등학교 자리에 신영리라고 표시하고 있다. 따라서 총위영을 총신영으로 불렀던 것이 확실하므로 이 지도는 ‘총신영'으로 부르던 헌종 12년에서 15년 사이에 제작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Remove ads
관련 문화재
수선전도 목판 (보물 제853호)
수선전도 목판(首善全圖木板)는 순조 25년 경에 김정호가 직접 새겼다고 전해지는 수선전도의 목판이다.
수선전도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296호)
김정호의 수선전도를 기초로 펜으로 필사한 지도로, 1892년 경에 제작되었으며 미국인 선교사들이 사용했던 것으로 추정된다.
현전하는 한글본 한양지도가 희소하고, 구한말 한양의 지명을 구체적으로 알 수 있는 등, 지도학사적ㆍ어문학적으로 가치가 있으므로 2010년 2월 11일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296호로 지정되었다.[1]
Remove ads
각주
참고자료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