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수온약층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수온약층(水溫躍層, 영어: Thermocline)은 깊이에 따라 수온이 급격하게 변하는 층을 말한다. 바다에서 수온약층은 심해층과 상부 혼합층을 나눈다. 계절, 위도 및 바람에 의한 격렬한 혼합에 따라 수온약층은 물의 반영구적인 특징일수도 있고, 가열/냉각과 같은 현상에 따라 낮/밤에 일시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수온약층의 깊이와 두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는 계절 변화, 위도 및 조류와 같은 지역 환경 조건이 포함된다.
![]() | 이 문서는 영어 위키백과의 Thermocline 문서를 번역하여, 문서의 내용을 확장할 필요가 있습니다. |

바다


햇빛 대부분의 열에너지는 바다 표면의 처음 몇 cm에서 흡수되며, 낮에는 열을 받고 밤에는 열에너지가 방사선에 의해 우주로 빠져나가기 때문에 냉각된다. 파도는 바다 표면 근처에서 물을 섞어 해류로 인한 난류의 존재에 따라 수심 100m에서 비교적 균일한 수온이 되도록 더 깊은 물에 열을 분산시킨다. 혼합층 아래에서, 수온은 주간/야간 주기에 걸쳐 비교적 안정적으로 유지된다. 심해의 수온은 깊이에 따라 서서히 내려간다. 바닷물은 -2.3도가 되어야 언다.
수온약층의 깊이는 다양하다. 그것은 열대 지방에서 반영구적이며 온대 지방에서 변하기 쉽고 물줄기가 바다 표면에서 해저까지 차가워지는 극지방에서는 없는 편이다. 해빙은 단열 역할을 한다.
Remove ads
밀도약층
밀도약층은 밀도가 갑자기 변화하는 층이다. 일반적으로 해수는 표면에 잘 혼합된 고온·저밀도의 표면혼합층과, 그 밑에 저온·고밀도의 심해층이 존재하는데, 이 둘의 경계를 밀도약층이라고 한다. 이는 수온약층과 거의 일치하지만 염분약층의 존재 때문에 완벽하게는 일치하지는 않는다. 해양뿐만 아니라 호수에서도 이를 찾을 수 있다.[1][2]
같이 보기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