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대한민국 해군 순항훈련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순항훈련(巡航訓練, Cruise Training)은 임관을 앞둔 사관생도들에게 해군 장교로서 필요한 전문지식과 실무 적응능력을 배양시키고 순방국과 우호를 증진시키기 위한 다목적 군사훈련이다. 훈련을 위해 순항훈련전단이 구성되며, 전단장은 보통 해군사관학교의 생도대장(부교장 겸임)인 해군준장, 참모장은 해군대령, 참모장 예하에 인사, 정보, 군수, 통신, 공보 등 각 분야의 참모들이 실무자로 순항훈련을 이끌어간다. 실습대장은 해군중령 혹은 해병중령이 맡기도 한다.[1]

역사

1954년 해사 9기 생도를 대상으로 처음 시작하여, 이후 매년 실시되고 있다. 훈련 기간과 항해 코스는 국력신장과 더불어 점차 장기간, 장거리로 늘어났다. 1950년대와 1960년대 초에는 동남아 지역을 순항하는데 그쳤으나, 1970년대에는 미주지역과 중동, 아프리카 지역으로 순항 항로를 개척하였으며, 호주, 뉴질랜드, 피지, 리바울 등 20여 지역을 순항하였다. 특히 1991년도 순항훈련에서는 4개월여의 기간 동안 동남아지역을 거쳐 한국 해군 최초로 수에즈 운하를 통과, 지중해/대서양 등 유럽 해역을 순항하였다. 1994년 순항훈련에서는 최초로 러시아와 일본에 기항하였다. 2020년에는 코로나19 상황으로 제한된 여건 속에서 진행되었다. 기항지를 대폭 축소하고 대외활동도 모두 취소했고, 항해훈련도 2단계로 시행했다. 1단계는 원양 항해훈련으로 먼바다에서 훈련을 실시하며 포트클랑과 괌을 방문하였다. 2단계는 국내 항해훈련으로 제주도를 중심으로 동·서·남해 훈련을 이어갔다. 2021년은 대한민국 해군 최초로 베링해를 항해했다. 2024년에는 군수지원함인 대청함은 국내 출발구간인 진해-하와이 구간과 국내 도착구간인 괌-진해 구간에만 참가하고 대부분의 구간은 한산도함만 참가하였다. 1992년, 1995년, 2007년, 2013년, 2015년, 2019년, 2023년에는 세계일주 순항훈련을 실시하기도 하였다.

Remove ads

역대 순항훈련

자세한 정보 연도, 전단장 ...
Remove ads

각주

외부 링크

Loading content...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