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슈퍼선데이
일요일 저녁에 방송했던 버라이어티 프로그램.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슈퍼선데이》는 대한민국의 KBS 2TV에서 매주 일요일 저녁에 방송되었던 예능 프로그램이다.
Remove ads
기획 의도
역사
1994년 10월 《톱스타 인생극장》의 전작으로 방송되었으나, 1995년 2월 《슈퍼선데이》의 개편과 함께 변경되어 첫 방송이 이루어졌다. 프로그램은 코미디 중심의 형식을 유지하며 대중적인 인기를 얻었으며, 대표적인 코너로 〈가상극장〉, 〈추리극장〉, 〈공포극장〉, 〈체험극장〉, 〈홍진경의 연예특종〉, 〈금촌댁네 사람들〉, 〈우리들의 이야기〉 등이 있었다.
1996년 프로그램의 구성이 더욱 다양해지면서 〈이세창의 인간극장〉, 〈김한석의 여름탈출〉, 〈이민우·이정현의 공포특급〉, 〈박영선의 여인극장〉, 〈선데이 스페셜〉 등의 코너가 추가되었으며, 이를 통해 보다 폭넓은 주제를 다루는 방송으로 자리 잡았다.
1997년 기존의 코미디 중심에서 벗어나 버라이어티 형식으로 변화하며 다양한 코너를 선보였다. 대표적인 코너로 〈오현경의 여인극장〉, 〈떴다! 세남자〉, 〈슈퍼비디오〉, 〈정선희의 여인극장〉, 〈스타! 여름 탈출〉, 〈우리들의 이야기〉, 〈TV시네마〉, 〈공포체험 돌아보지마〉, 〈스타! 스타! 스타!〉, 〈둥근 해가 떴습니다〉, 〈스타 극기훈련 나를 이긴다〉, 〈맨발로 뛰어라〉 등이 있었다. 그러나 지나치게 10대 위주의 요란한 버라이어티로 구성되었다는 지적을 받으며, 방송기자들이 선정한 최악의 TV 프로그램 중 하나로 평가되기도 하였다.
1998년 버라이어티 형식을 유지하면서도 다양한 코너를 선보였으며, 대표적인 코너로 〈서세원의 우리는 하나〉 등이 있었다. 하지만 IMF 경제위기의 여파로 인해 부분 개편이 이루어졌으며, 결국 같은 해 2월 15일 마지막 방송을 끝으로 종영되었다. 이후 KBS 예능본부는 후속 프로그램으로 《슈퍼TV 일요일은 즐거워》를 제작하여 방송을 이어갔다.
Remove ads
역대 MC
보조 MC
프로그램 MC
역대 코너
- 톱스타 인생극장 (1995년)
- 고전패러디 (1995년)
- 가상극장 (1995년)
- 스트레스극장 (1995년)
- 미스터리극장 (1995년)
- 추리극장 (1995년)
- 공포극장 (1995년)
- 체험극장 (1995년)
- 영자의 드라마게임 (1995년)
- 홍진경의 연예특종 (1995년)
- 일요스페셜 (1995년)
- 이세창의 인간극장 (1995~1996년)
- 이창훈의 스트레스 극장 (1995년)
- 스타와 만나요 (1995년~1997년)
- 박지원을 찾아라 (1995년)
- 이세창의 공익광고 (1995년)
- 금촌댁네 사람들 (1995~1997년)
- 박광덕, 노희지의 크고 작은 이야기 (1995~1996년)
- 우리들의 이야기 (1996~1997년)
- 김한석의 여름탈출 (1996년)
- 이상아의 여인극장 (1996년)
- 이민우 이정현의 공포특급 (1996년)
- 박영선의 여인극장 (1996년)
- 선데이 스페셜 (1996년)
- 오현경의 여인극장 (1997년)
- 떴다! 세남자(1997)
- 슈퍼비디오(1997)
- 정선희의 여인극장 (1997년)
- 스타! 여름 탈출 (1997년)
- 우리들의 이야기 (1997년)
- 떴다! ●●● (1996~1997년)
- TV시네마 (1997년)
- 매디슨 카운티의 다리 등의 명작 영화들을 원작으로 한 단막극이다. 매디슨 카운티의 다리는 딸이 죽은 어머니 프란체스카의 유물을 정리하다, 우연하게 어머니의 글을 읽는다는 설정으로 사진작가와 프란체스카의 짧은 사랑이 회상된다.
- 공포체험 돌아보지마[1] (1997년)
- 스타! 스타! 스타! (1997년)
- 둥근해가 떴습니다 (1997년)
- 스타 극기훈련 나를 이긴다 (1997년)
- 맨발로 뛰어라 (1997년)
- 서세원의 우리는 하나 (1998년)
Remove ads
특징
- 1부와 2부로 나누어 방송되었다.
Remove ads
결방 사유
타이틀 변천사
같이 보기
각주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