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슈 (이집트 신화)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슈(이집트어 šw, "공허" 또는 "솟아오르는 자")는 고대 이집트 신들 중 원시 신 중 하나이다. 여신 테프누트의 배우자이자 오누이 관계이며, 헬리오폴리스 우주론의 엔네아드중 하나이다.[4] 빛, 평화, 사자, 공기, 바람의 신이었다.
Remove ads
계보
헬리오폴리스 신학에서 아툼은 자위행위 혹은 침뱉기를 통해 엔네아드의 첫 번째 부부인 슈와 테프누트를 창조했다. 슈는 하늘의 여신 누트와 땅의 신 게브의 아버지였고, 오시리스, 이시스, 세트, 네프티스의 할아버지였다. 그의 증손자는 호루스와 아누비스이다.
신화


초기 신화
공기의 신으로서 슈는 냉각하고 따라서 진정시키는 영향력과 평화를 주는 존재로 여겨졌다. 건조한 공기, 고요함, 그리고 그로 인한 마트[5](진리, 정의, 질서, 균형)와의 연관성 때문에 슈는 지구와 하늘 사이의 건조한 공기/대기로 묘사되었으며, 첫 번째 사건 이후 두 영역을 분리했다.[6] 슈는 또한 타조 깃털을 착용한 모습으로도 묘사되었다. 슈는 한 개에서 네 개의 깃털을 가진 모습으로 나타났다. 타조 깃털은 가벼움과 공허함을 상징했다. 안개와 구름은 슈의 뼈라고 불렸다. 하늘과 지구 사이에 위치하여 바람으로도 알려졌다.[7]
후기 신화
훨씬 후대의 신화에서는 고왕국 말기의 끔찍한 기상 재해를 나타내는데, 테프누트와 슈가 한때 다투었고, 테프누트가 이집트를 떠나 (항상 더 온화한) 누비아로 갔다고 전해진다. 슈는 테프누트에게 가고 싶었으나 테프누트는 는 접근하는 모든 남성이나 신을 파괴하는 고양이로 변했고, 변장한 토트가 그녀를 설득하여 돌아오게 하는 데 성공했다.
고대 그리스인들은 슈를 아틀라스와 연관시켰는데, 둘 다 하늘을 떠받치고 있는 모습으로 묘사되었기 때문이다.[8]
헬리오폴리스 신화
헬리오폴리스 우주론에 따르면, 우주 원소의 첫 번째 쌍인 슈와 테프누트는 하늘의 여신, 누트와 대지의 신, 게브를 창조했다. 슈는 누트와 게브가 사랑을 나누는 동안 그들을 갈라놓아 현현하는 세계에 이중성을 만들었다: 위와 아래, 빛과 어둠. 그러나 그들이 분리되기 전에 누트는 이시스, 오시리스, 네프티스 (호루스), 세트 신들을 낳았다.[7] 이집트인들은 슈가 누트 (하늘)와 게브 (지구)를 분리하지 않았다면 물리적으로 현현하는 생명체가 존재할 수 없었을 것이라고 믿었다.
슈는 주로 남성으로 묘사된다. 오직 태양의 신으로서의 전투적이고 수호적인 기능에서만 때때로 사자의 머리를 갖는다. 그는 생명의 상징인 앙크를 들고 다닌다.
Remove ads
예술

메나트 균형추는 착용자가 움직일 때 복잡한 구슬 목걸이가 제자리에 고정되도록 했다. 이 균형추(왼쪽 그림)는 기원전 722-332년의 청동 장식물이다. 슈(오른쪽 머리)와 그의 자매이자 습기의 여신인 테프누트(왼쪽 머리)의 머리를 묘사한다. 테프누트는 갈기가 있는 암사자 모습으로, 우라에우스, 가발, 그리고 태양원반을 쓰고 있다. 슈는 가짜 수염, 더 짧은 가발, 그리고 모디우스, 키 큰 깃털, 그리고 우라에우스를 포함한 왕관을 쓰고 있다. 이 두 신은 착용자를 세상의 위험으로부터 보호한다고 믿어졌다. 두 마리의 뱀이 카운터웨이트의 하단 근처에 있으며, 옥시링쿠스 물고기도 볼 수 있다.[9]
같이 보기
- 안후르-슈
- 솝두
각주
더 읽어보기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