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스리랑카의 인구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인구학적 동향
요약
관점


2012년 인구 조사(센서스)에 따르면, 스리랑카의 인구는 20,359,439명이며, 인구 밀도는 325명/km2으로 나타났다. 이는 1981년 인구 조사(마지막 전체 인구 조사) 이후 37.1%, 5,512,689명 증가한 것이며, 연간 성장률은 평균 1.1%에 해당한다.[1] 인구의 18.2%에 해당하는 3,704,470명이 도시 및 지방 자치제의 의회가 관리하는 지역에 거주했다.[2]
전체 인구의 25.2%, 5,131,666명이 14세 이하였고, 12.4%, 2,525,573명이 60세 이상으며, 생산가능인구(15-59세)는 12,702,700명이었다. 인구 부양비는 60.2%였으며, 평균 연령은 32세, 중위 연령은 31세였다. 성비는 여성 100명당 남성 94명이었으며, 15세 이상 기혼 여성의 완결출산율은 2.65명이었다.[3] 전체 가구(5,264,282) 중 남자가 75.7%에 해당하는 3,986,236가구, 여자가 24.3%에 해당하는 1,278,046가구였다.
15세 이상 인구(15,227,773명) 중에 67.8%에 해당하는 10,322,105명이 결혼을 했으며, 25.8%에 해당하는 3,927,602명은 미혼, 5.2%에 해당하는 792,947명은 배우자를 잃은 미망인, 나머지 1.2%에 해당하는 185,119명은 이혼했거나 헤어진 사람들이었다.
또, 15세 이상 인구 중 경제활동 인구는 7,857,370명(51.6%), 가사일을 하는 사람은 4,199,558명(27.6%), 학생은 1,431,105명(9.4%), 노동을 할 수 없는 사람은 914,934명(6.0%), 연금수급자는 346,084명(2.3%)이었다.[4] 그 중에서도 경제활동 인구의 6.6%인 521,938명은 실업자였다.
10세 이상 인구의 문해율은 95.7%였지만, 부동산 부문에 거주하는 사람들만 한정하면 86.1%로 비교적 낮았다.[5] 5세 이상 인구 18,615,577명 중 499,563명(2.7%)이 고등 교육을 받았고 2,293,841명(12.3%)이 G.C.E, A/L을 통과했다. 3,159,402(17.0%)가 G.C.E, O/L를 통과했으며 700,419명(3.8%)은 정규 교육을 받지 않았다. 나머지 11,962,352명(64.3%)은 무단으로 떠났거나 현재 재학 중인 사람들로 나타났다.[6]
스리랑카는 남아시아 지역에서 가장 빠르게 고령화가 진행되고 있으며, 아시아 지역에서는 중국, 태국, 한국, 일본에 이어 5번째로 빠르게 노인 인구가 증가하고 있다.[7][8][9] 2015년 기준, 스리랑카에서 60세가 넘는 사람은 전체 인구의 13.9%를 차지했으며, 2030년에는 21%로 증가하고 2050년에는 27.4%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10][11] 다른 동아시아나 서구권 국가들과 달리 국민 소득도 낮은 편이기 때문에, 고령화는 매우 어려운 사회적, 경제적 어려움을 불러올 것으로 예상된다.[12]
Remove ads
인구 통계
요약
관점
1950-2010 유엔의 연간 출생 및 사망 추계
연간 평균 기준, 출처:[13]
출생률과 출산율
1948-현재 출생 및 사망 통계
1950-현재 기대수명[17]
Remove ads
각주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