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스위칭 회로 이론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스위칭 회로 이론(switching circuit theory)은 최적화된 스위치의 네트워크 속성을 수학적으로 연구한 이론이다. 이러한 네트워크들은 조합 논리에 속할 수 있으며 여기서 출력 상태는 입력의 현재 상태의 한 기능일 뿐이다. 아니면, 순차적 요소를 포함할 수도 있는데 여기서 현재 상태는 현재 상태와 과거 상태에 의존한다. 이 경우 순차 회로는 과거 상태의 "기억"을 포함하는 것으로 간주된다. 중요한 등급의 순차 회로는 상태 기계이다. 스위칭 회로 이론은 전화 시스템, 컴퓨터, 그리고 그와 유사한 시스템들의 설계에 적용할 수 있다. 스위칭 회로 이론은 현대 기술의 거의 모든 분야에서 디지털 시스템 설계의 수학적 토대와 도구들을 제공하였다.[1]

1934년부터 1936년까지 닛폰 전기(NEC)의 엔지니아 나카시마 아키라는 그가 독립적으로 발견한 2가 불 대수가 스위칭 회로의 동작을 기술할 수 있음을 증명하는 일련의 논문을 출판하였다.[2][3][4][1] 그의 논문은 나중에 클로드 섀넌의 1938년 논문 "A Symbolic Analysis of Relay and Switching Circuits"에 인용되어 자세히 설명되었다.[4] 불 논리의 원칙은 스위치에 적용되며 모든 스위칭 시스템의 분석과 통합을 위한 수학적 도구를 제공한다.

Remove ads

같이 보기

내용주

참고 문헌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