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스테이블코인
암호화폐의 일종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스테이블코인(stablecoin)은 달러·유로 같은 법정화폐나 금 등 자산의 가치에 연동(담보)하거나, 공급 조절 알고리즘을 통해 가격 안정성을 목표로 설계된 암호화폐(암호자산)이다.[1][2]
개요
스테이블코인은 암호화폐 시장에서 변동성 회피 수단, 온체인 결제·정산 매개, 탈중앙화 금융(DeFi) 유동성 공급 수단 등으로 쓰인다. 정책 당국은 준비자산의 안전성, 상환가능성, 공시 투명성, 운영 리스크를 주요 쟁점으로 지적한다.[1] 2024년 스테이블코인 연간 전송 규모는 약 27.6~27.7조 달러로 추정되며, 같은 해 비자·마스터카드 결제액 합계를 상회하였다.[3] 2025년 10월 기준 총 발행량은 3천억 달러를 돌파하였다.[4]
분류
주요 문헌에서는 다음 네 유형으로 설명한다.[2]
역사
2019년: 전통 금융권·원화 연동 시도
2019–2022년: 빅테크의 진입과 후퇴
- 리브라/디엠 프로젝트는 국제 규제 반발 속에 축소·재편되다가 2022년 자산 매각과 함께 종료되었다.[10]
2022–2023년: 페그 이탈 사건과 시장 충격
2024–2025년: 제도화와 상장, 사용 저변 확대
- 금융안정위원회(FSB)가 2023년 암호자산·스테이블코인 활동에 대한 글로벌 권고안을 확정하였다.[13]
- 유럽연합(EU)은 2024년부터 MiCA 규정을 단계 시행하여 자산연동토큰(ART)·전자화폐토큰(EMT)을 규율하였다.[14]
- 2025년 7월 미국은 「GENIUS Act」를 제정하여 지급형 스테이블코인에 대한 연방 기준(100% 유동성 준비, 월별 공시, 감독·등록, BSA 준수 등)을 마련하였다.[15][16][17]
- 2025년 6월 USDC 발행사인 서클(Circle Internet Group, CRCL)이 미국 뉴욕증권거래소에 상장하였다.[18][19]
대한민국의 스테이블코인
요약
관점
제도 및 감독 환경
대한민국은 2024년 「가상자산이용자보호법」 시행으로 이용자 자산보호·불공정거래 규제의 기본 틀을 마련하였다. 2025년에는 원화 연동 스테이블코인(원화 스테이블코인)의 도입을 전제로, 발행사의 인가·감독, 100% 고유동성 준비자산·상환 의무, 공시·감사, 자금세탁방지(AML) 체계를 포함한 별도 법제화 논의가 본격화되었다.[20] 한국은행은 통화정책·금융안정 리스크를 고려해 은행 중심의 점진적 도입 원칙을 견지하고 있다.[21] 2017년의 국내 ICO(암호화폐 공개) 전면 금지 조치가 장기간 유지되면서, 기업·금융권의 온체인 사업 확장에는 제도적 제약이 지속되었다.[22]
2025년 입법 동향(안)
2025년 현재 국회에는 스테이블코인 관련 다수의 제정·개정안이 병렬 발의되어 ‘기초자산 범위(법정통화/안정자산)’, ‘발행업 인가·자기자본 요건’, ‘이자지급 허용 여부’ 등에서 상이한 설계를 제시한다. 대표안으로는 ① 민병덕 의원 「디지털자산기본법안」,[23] ② 김은혜 의원 「가치고정형 디지털자산을 활용한 지급 혁신법안」,[24] ③ 안도걸 의원 「가치안정형 디지털자산의 발행 및 유통에 관한 법률안」,[25] ④ 김현정 의원 「가치안정형 디지털자산 발행업 등에 관한 법률안」,[26] ⑤ 이강일 의원 「디지털자산시장의 혁신과 성장에 관한 법률안」이 있다.[27][28]
현장 인프라와 사용례
2025년부터 관광지·상권을 중심으로 스테이블코인→원화 현금화를 지원하는 ‘디지털 ATM(DTM)’이 시범 운영되었다. 카이아(Kaia) 네트워크 지원 다윈KS(DaWinKS) DTM은 여권·안면인증 기반 KYC를 거친 외국인에게 USDT 현금화를 제공하며, 남산 타워·홈플러스 합정·센텀시티, 명동 ‘머니클럽’, 남대문 환전카페 등에서 운영된다.[29][30][31][32] 운영사에 따르면 현행 DTM 서비스는 외국인 전용으로 제한된다.[33] 한편 은행·핀테크는 스테이블코인 기반 해외송금·정산 기술 검증을 병행하고 있다.[34] 세계적으로는 2025년 8월 기준 암호화폐 ATM(CTM) 수가 약 3.94만대로 집계되는 등(월말 기준 39,377대) 현금화 인프라가 점진 확대되고 있다.[35][36]
국내 발행·사업 동향
핀테크 코나아이(Kona I) 는 2025년 7월 원화 스테이블코인 시연을 통해 ‘QR 결제+기존 카드 인프라’ 동시 지원 구조를 공개하고, ‘KONAKRW’ 등 상표를 출원하였다. 지역화폐 운영 경험을 바탕으로 지자체·가맹점 생태계에 결제 적용을 목표로 한다.[37][38][39] 민간 수탁사 BDACS 는 2025년 9월 KRW1(Avalanche 기반) 발행을 발표하였다.[40][41] 주요 시중은행들은 컨소시엄을 구성해 원화 연동 토큰(예금토큰·스테이블코인) 공동 추진을 검토 중이다.[42]
시장 규모와 통계
국제 보고서들에 따르면 2024년 스테이블코인 연간 전송액은 18.4~27.6조 달러 범위로 추정된다(집계 방식·조정 여부에 따라 상이). 세계경제포럼(WEF)은 비자·마스터카드 합산을 상회하는 27.6조 달러를 인용했고,[43] Citi GPS/Artemis 기반 분석은 18.4조 달러의 ‘조정 전송액’을 제시한다.[44] 비자 경제연구는 HFT·봇 활동을 제외한 ‘조정 거래’ 기준으로 2024년 5.7조 달러를 추정한다.[45] 또한 스탠다드차타드 전망(맥킨지 인용)에 따르면 2028년 시가총액이 2조 달러에 이를 수 있다.[46]
국제 발행·생태계 동향
미국의 서클인터넷그룹(Circle, 티커: CRCL)은 2025년 6월 5일 뉴욕증권거래소에 상장했다.[47] 상장 첫날 주가는 공모가 대비 급등했으며,[48] 수익은 준비자산(국채·예금) 이자에 크게 의존한다(분기 ‘Reserve Income’ 중심).[49][50] 테더(USDT)는 2025년 1분기 기준 미 재무부 단기채에 약 1,200억 달러 노출을 보고했다.[51] 체인 측면에서는 USDT·USDC가 이더리움·트론·솔라나 등 다중 네트워크에 분산되어 유통된다(연도·시장 상황에 따라 비중 변동).[52][53] 결제 인프라 측면에선 비자·페이팔이 각각 USDC 정산·PYUSD 결제 생태계를 확장하고 있다.[54][55]
정책 쟁점(통화주권·유동성·소비자보호)
대한민국형 제도 설계에서는 ① 유동성·상환(100% 고유동성 준비, 일괄·즉시 상환), ② 공시·감사(월별 준비금 보고, 회계감사), ③ 이자 지급 제한(예금·유사수신과의 경계), ④ KYC/AML(P2P·현금화 경로의 자금세탁 방지) 등이 핵심 과제로 논의된다.[56][20] 2024년 12월 국내 정치 불확실성 국면에서 원화 변동성이 확대되자(당국의 시장 안정화 조치와 함께), 외화 대체 수단에 대한 관심이 단기적으로 상승하기도 했다.[57] 국내에서는 의료·소매 분야의 직접 결제 가능성도 시험 단계에 있다(예: 성형외과 등에서의 결제 수요 탐색).[58] 다만, 스테이블코인의 P2P 환전·오입금 복구 불가·사기 악용 위험을 고려하여 거래한도·모니터링·위험고지 등 소비자보호 장치 강화가 요구된다.[59] 국제기구·통화당국은 금융안정·통화주권 관점에서 경계심을 유지한다. BIS 2025 연차보고서는 “스테이블코인은 건전한 화폐로서의 요건에 미달”한다고 평가했고,[60] FOMC 의사록은 준비자산과의 연결을 포함한 광범한 파급 가능성을 언급했다.[61] 정책적으로는 외환시장 접근성 개선 등 자본유출입 제도와의 정합성도 병행 검토된다(예: MSCI DM 편입 관련 외환시장 접근성 요건).[62]
CBDC와의 관계
한국은행은 도매형 CBDC·토큰화 예금 실험을 병행하면서, 민간 스테이블코인 규제와 상호보완적인 차세대 결제 인프라를 설계하고 있다. BIS 문헌은 한국은행의 CBDC 파일럿을 차세대 금융시장 인프라로 소개한다.[63] 은행권은 해외송금·국경간 정산과 연계한 실증 테스트를 확대하고 있다.[34] 또한 정부·한은·금융위는 2024~2025년 CBDC 활용성 테스트와 예금토큰 구상을 병행 중이다.[64]
국제 기준과의 공통 분모
EU의 MiCA 시행과 미국의 지급형 스테이블코인 법(일명 ‘GENIUS Act’)은 유동성·공시·인가 기준의 국제 공통분모를 형성하고 있으며, 한국의 제도 설계에도 비교 기준으로 작용한다.[65][66] 백악관·의회조사국(CRS) 자료에 따르면, GENIUS Act는 전액준비·단기국채/현금 구성, 이자지급 제한, AML/KYC 요건을 포함한다.[67][68] 싱가포르는 2023년 프레임워크를 확정하고 2024년부터 적용을 본격화하였다.[69]
Remove ads
주요 종목
규제 동향
국제기구
유럽연합(EU)
미국
싱가포르
- 싱가포르 통화청(MAS)은 2023년 ‘단일통화 스테이블코인’(SCS) 규제 프레임워크를 확정하였다(SGD 또는 G10 통화 페그, 준비자산·상환·공시 요건 등).[77]
대한민국
Remove ads
위험과 논쟁
준비자산·공시
페그 이탈 사례
통화정책·주조차익 및 금융안정
Remove ads
각주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