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스텔스기
스텔스 기술을 적용하여 제작된 비행기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스텔스기는 스텔스 기술을 적용하여 제작된 비행기를 말한다.


탐지
이론적으로 스텔스기를 장거리에서 탐지하는 여러 가지 방법이 알려져 있다. 중국의 청두 J-20 스텔스 전투기 개발에 대응하여, 2011년 일본 방위청은 MIMO와 레이다와 적외선 복합센서를 전국에 구축하여 스텔스기 방어망을 구축할 계획이라고 보도되었다.[1]
반사파
적외선
일부 분석가들은 IRST가 유효한 탐지방법이라고 주장한다. 어떤 비행기도 지표면의 열보다 높은 열을 나타내기 때문에, 2채널 IRST를 통해 지표면의 열과의 차이를 식별하여 장거리 스텔스기를 탐지할 수 있다고 한다.[2][3]
이들 분석가들은 1980년대에 러시아에서 IRST 개발이 재개된 것을 또한 지적한다. IRST는 미코얀 MiG-29와 수호이 Su-27에 장착되었다. 최신형 MiG-29인 미코얀 MiG-35는 최고 성능의 IRST 능력을 갖추고 있다.
공중전에서, 광학장비의 성능은 다음과 같다:
- 애프터버너를 끈 비행기의 탐지거리 : 45 km 이상
- 애프터버너를 끈 비행기의 식별거리 : 8 ~ 10 km
- 평균 공중 목표물 거리 : 최대 15 km
지상공격시, 광학장비의 성능은 다음과 같다:
- 탱크 탐지거리 : 최대 15 km, 항공모함 탐지거리 : 60 ~ 80 km
- 탱크 식별거리 : 8 ~ 10 km, 항공모함 식별거리 : 40 ~ 60 km
- 평균 지상 목표물 거리 : 최대 20 km
Wavelength match

네덜란드 기업인 탈레스 네덜란드는 예전에 홀랜드 시그날 사였다. 이 회사는 군함에 탑재하는 SMART-L 레이다를 개발했는데, 스텔스기를 탐지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이러한 스텔스기 대응능력은 입증되거나 실험되지는 않았다. 그러나, 이 경우엔, 레이다 시스템의 정확도가 낮아서 미사일 조준에는 부적합하다.
OTH 레이다
Remove ads
RCS(m2) 레이다 반사 면적
- B-52 - 100
- F-15A/B - 25
- 투폴레프 Tu-160 - 15
- 미코얀 MiG-29, F-16A/B, 청두 J-10 - 5 ~ 5.5
- 미코얀-구레비치 MiG-21, F-18 A/B, F-5 - 3 ~ 4.5
- AV-8B 해리어 II - 2 ~ 2.5
- 사브 JAS-39 그리펜, F-16C/D, F-18C/D, 미쓰비시 F-2 - 1 ~ 1.8
- 유로파이터 라팔, 보잉 F/A-18E/F 슈퍼 호넷, F-16E/F - 0.75 ~ 1
- 토마호크 - 0.5
- 스텔스 대함미사일 - 0.1
- 수호이 Su-47, 수호이 PAK FA - 0.1~0.01 (수호이사의 자료)
- F-15SE(추정) - 0.01 ~ 0.1
- F-117 - 0.008
- F-35 - 0.005
Remove ads
세계의 스텔스기
같이 보기
각주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