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스토르스토크홀름스 로칼트라피크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스토르스토크홀름스 로칼트라피크(Storstockholms Lokaltrafik) 또는 SL[1](직역: '대 스톡홀름 지역 운송')[2]은 스웨덴 스톡홀름주의 육상 대중교통 관리를 담당하는 대중교통 기관이다. SL은 툰넬바나 지하철, 펜델토그 통근 열차, 버스, 노면전차, 지역 철도, 그리고 일부 페리 서비스를 포함하는 네트워크를 감독한다.

SL의 네트워크는 매일 약 700,000명의 승객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며, 지역 세금과 요금 수입의 조합을 통해 자금을 조달한다. 이 기관은 통합 발권 시스템으로 운영되며, 트랑스데브, SJ, VR 스베리예, 케올리스, 스톡홀름스 스포르베가르를 포함한 여러 민간 운영자와 서비스 운영 계약을 맺고 있다.[3]
Remove ads
역사

SL은 1915년 스톡홀름 시가 두 개의 분리된 민영 노면전차 네트워크를 보다 효율적인 하나의 회사로 민영화 폐지하기 위해 설립한 시 소유의 대중교통 회사인 AB 스톡홀름스 스포르베가르(SS)에서 시작되었다. SS는 1920년대 후반에 민영 버스 회사들도 인수했다. 스톡홀름 지하철의 첫 번째 부분은 1950년에 개통되었다.
SS는 1967년 1월에 스톡홀름주의 지하철, 지역 열차 및 버스 운영이 스톡홀름 주 의회의 감독 하에 단일 조직으로 통합되면서 SL로 이름이 변경되었다. 그 전까지 주 내의 다른 대중교통 시스템은 스테이튼스 예른베가르(Statens Järnvägar), 민간 회사 및 지방 자치 단체 소유의 회사 등 다른 조직에 의해 운영되었다.
1993년부터 SL은 다른 운송 시스템의 운영 및 유지보수를 위해 독립 계약자를 사용하기 시작했다. 버스 교통의 경우 운영자가 버스를 소유하지만, 철도 교통의 경우 SL이 열차를 소유하고 계약자가 운영한다.
2012년부터 카운티 의회(현재 스톡홀름 지역) 교통 위원회 및 교통 관리국은 대중교통을 담당하는 지역 대중교통 기관이다. SL은 이제 교통 관리국을 대신하여 다양한 계약자가 제공하는 대중교통 서비스의 브랜드명으로 사용된다. 유한회사 AB 스토르스토크홀름스 로칼트라피크는 여전히 존재하며 (브랜드 외에도) 특정 계약 및 자산을 관리한다.[4]
Remove ads
서비스
SL은 스톡홀름주의 대중교통 네트워크를 감독하지만, 인접한 웁살라 및 쇠데르만란드 주까지 확장되는 일부 서비스도 담당한다.[5][6] 1993년부터 SL은 서비스 운영에 계약 운영자를 사용해왔다.[7]
스톡홀름 지하철: 툰넬바나 지하철은 세 개의 주요 노선으로 구성된다: 뢰다선, 블로선, 그리고 녹색선.
통근 열차: 펜델토그 통근 열차 시스템은 스톡홀름 중심부와 광범위한 지역을 연결하며, 6개의 노선으로 구성된 두 개의 주요 지선을 운영한다.
지역 철도:
- 로슬라그스바난: 북동부 교외를 운행하는 협궤 철도.
- 살츠셰바난: 슬루센과 살츠셰바덴을 연결하는 철도 노선.
경전철 노선:
- 리딩예바난: 리딩예 섬을 본토와 연결하는 경전철 노선.
- 트베르바난: 도시 서쪽을 지나는 반원형 순환 노선.
- 노케뷔바난: 서부 교외 지역을 스톡홀름 지하철과 연결하는 지선 경전철 노선.
- 스포르베그 시티: 도심과 유르고르덴을 연결하는 노면전차 노선.
SL 버스: 스톡홀름 지역에 약 500개의 버스 노선 네트워크를 운영한다.[8]
통근 페리: 도심과 군도 및 멜라렌 호의 지역을 연결하는 5개의 펜델보트 페리 노선.
- 쿵스트레드고르덴 지하철역에서 대기 중인 지하철
- 로슬라그스바난 열차
- 스톡홀름의 버스
- SL을 위해 운영되는 펜델보트 선박
- 트베르바난 노면전차
Remove ads
발권
SL의 요금은 스톡홀름 지역의 정치적 합의에 따라 결정된다.[9] SL은 요금 징수 및 유효성 검사를 위한 여러 방법을 사용하는 통합 발권 시스템으로 운영된다. 이 시스템에는 지하철 및 일부 통근 열차역의 개집표기, 버스, 일부 노면전차 및 지역 철도 차량의 차량 내 유효성 검사, 그리고 특정 역이나 플랫폼의 차량 외 유효성 검사가 포함된다. SL은 또한 검사를 수행하는 승차권 검사원도 고용한다.[10]
SL은 2009년에 이전 자기 발권 시스템을 대체하여 SL 액세스라는 첫 번째 스마트카드 시스템을 도입했다. 이 시스템은 2003년에 서명된 계약에 따라 호주 회사 빅스 테크놀로지로부터 조달되었다.[11]

SL Access 시스템은 2021년부터 2023년 사이에 새로운 요금 징수 시스템으로 대체되었다. 이 새로운 시스템에는 녹색 SL 카드와 더불어 비접촉 결제 및 공식 SL 모바일 앱에서 구매한 종이 없는 QR 코드 티켓이 지원된다.[12] SL은 2022년에 네트워크의 표 자동판매기를 단계적으로 폐지했다.[13]
2024년 현재 SL은 스톡홀름주 내에서 대중교통에 사용되는 두 가지 주요 형태의 티켓을 가지고 있다.[14]
- 교통카드: 24시간에서 1년 사이의 지정된 기간 동안 유효하다.
- 1회권: 활성화 시점부터 75분 동안 유효하다. SL 스마트카드에 구매 및 충전하거나, SL 앱을 통해 얻거나, 티켓 게이트 또는 검증기에서 비접촉 결제를 통해 구매할 수 있다.
일부 SL 여정에는 특별 요금이 적용된다. 민간 운영 알란다선이 부과하는 출구 요금 때문에,[15] 알란다 중앙역의 요금은 일반 SL 여정보다 높다.[16] 스톡홀름주에서 웁살라 또는 크니비스타로 가는 통근 열차는 표준 SL 티켓 외에 웁살라주(UL) 티켓이 필요하다.
왁스홀름스볼라겟
스톡홀름 군도 내 대부분의 페리 교통은 스톡홀름 지역이 소유한 별도의 회사인 왁스홀름스볼라겟이 담당한다.[17] 왁스홀름스볼라겟과 SL은 공유 발권 옵션을 제공하여 특정 기간 동안 일부 SL 티켓을 서비스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18]
계약자
SL이 사용하는 계약자는 2019년 7월 현재 다음과 같다:[19]
- VR 스베리예
- 케올리스
- 트랑스데브
- MTR 노르딕
- 노비나
- 스톡홀름스 스포르베가르
- 스포르베그 시티
- 리딩예바난
Remove ads
같이 보기
- 스톡홀름의 교통
- 스톡홀름 지역
- 스카네트라피켄
- UL
- SJ
각주
외부 링크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