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스플래시다운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스플래시다운
Remove ads

스플래시다운(영어: splashdown) 또는 착수()는 낙하산으로 속도를 감속하여 바다나 강 등의 물이 많이 고인 곳 또는 흐르는 곳에 착륙하는 방법을 말한다. 그리고 얼음에 착륙해도 스플래시다운이라고 한다. 대표적으로 소유즈 23이 얼음에 착륙했다.[1][2] 우주왕복선 시대 전에도 사용된 방법이며, 대표적으로 아폴로 계획, 소유즈, 제미니 계획 등의 탐사선이 이 방법을 사용하였다.[3]

Thumb
아폴로 15호의 스플래시다운
Thumb
유명한 탐사선의 스플래시다운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탐사선이 지구로 귀환할 때 탐사선 안에 있는 사람들이 추락사하지 않게 물이 충격을 흡수한다. 따라서 제동장치나 역추진 로켓[4]까지는 필요없고, 낙하산만 있으면 된다.

바다에 착륙하면 가라앉지 않기 위해 튜브를 설치한다.[5] 그리고 바다에 뜬 탐사선은 크레인이 들어서 배의 상판에 올려놓는다.

Remove ads

장점

제동을 하기 위해 역추진 로켓이나 제동장치 등이 아닌 튜브와 낙하산만 사용해서 저렴하다.

단점

바다로 가라앉거나 물이 안으로 흘러들어오면 그대로 사망이다.[6] 실제로 아폴로 1호의 승무원 버질 그리섬머큐리-레드스톤 4호 훈련 때 더미 페이로드 안으로 물이 들어와서 죽을 뻔한 적이 있었다.[7]

스플래시다운을 한 착륙선

스플래시다운을 한 착륙선
머큐리-레드스톤 3호 1961년 5월 5일 북위 27° 13.7′ 서경 75° 53′
머큐리-레드스톤 4호 1961년 7월 21일 북위 27° 32′ 서경 75° 44′
제미니 3호 1965년 3월 23일 북위 22° 26′ 서경 70° 51′
제미니 4호 1965년 7월 7일 북위 27° 44′ 서경 74° 11′
제미니 5호 1965년 8월 29일 북위 29° 44′ 서경 69° 45′
제미니 7호 1965년 12월 18일 북위 25° 25′ 서경 70° 07′
제미니 8호 1966년 3월 17일 북위 25° 14′ 동경 136° 0′
제미니 10호 1966년 7월 21일 북위 26° 45′ 서경 71° 57′
아폴로 11호 1969년 7월 24일 북위 13° 19′ 서경 169° 9′
아폴로 12호 1969년 12월 24일 남위 15° 47′ 서경 165° 9′
아폴로 13호 1970년 4월 17일 남위 21° 38′ 서경 165° 22′

같이 보기

각주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