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슬래시닷 효과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Remove ads

슬래시닷 효과(slashdot effect, slashdotting)는 유명 웹사이트가 규모가 더 작은 웹사이트를 링크할 때 막대한 트래픽 증가를 일으키는 것을 의미한다. 이로 인해 더 작은 사이트에 부하를 줄 수 있으며 속도를 느리게 하거나 심지어는 일시적으로 이용을 불가능하게 만들 수 있다. 이 이름은 기술 뉴스 사이트 슬래시닷이 웹사이트들을 링크함으로 인해 상당한 웹 트래픽가 유입된 데에서 비롯된 것이다. 그러나 유사 사이트들과의 경쟁,[1] 유연한 스케일링이 가능한 클라우드 호스팅 플랫폼의 채택 등 원래의 환경들이 변화하면서 2005년 이후로 감소세가 보고되고 있다. 이 효과는 Fark, 디그, Drudge Report, Imgur, 레딧, 트위터 등 다른 웹사이트나 메타블로그와 관련되고 있으며 이를 통해 레딧 효과라는 이름 아래 farked, drudged 등의 용어가 만들어지게 되었다.[2][3] 두들 주제의 결과 검색을 링크하는 구글 두들 또한 검색 결과 페이지로부터 높은 트래픽 증가를 나타내기도 한다.[4] 일반적으로 정도가 덜 견고한 사이트들은 상당한 트래픽 증가에 대처하지 못해 이용이 불가능해지는데, 일반적인 원인은 충분한 데이터 대역폭이 제공되지 않아 서버가 많은 수의 요청, 즉 트래픽 할당량을 처리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공유 호스팅 서비스로 유지되는 사이트들이 슬래시닷 효과에 직면할 때 문제가 생기는 경우가 있다.

플래시 크라우드(flash crowd)는 네트워크나 호스트가 갑자기 상당한 트래픽을 수신하는 네트워크 현상을 기술하는 ('슬래시닷'처럼 특정 이름을 사용하지 않은) 더 일반화된 용어이다. 이는 종종 블로그나 뉴스 컬럼의 웹사이트의 출현으로 기인한다.[5][6][7]

Remove ads

같이 보기

각주

Loading content...

외부 링크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