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슬리츠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슬리츠
Remove ads

슬리츠(The Slits)는 1976년 영국 런던에서 플라워스 오브 로맨스와 캐스트레이터스 멤버가 결성한 펑크 록 밴드이다. 밴드의 초기 라인업은 아리 업(아리안 포스터), 팜올리브(a.k.a. 팔로마 로메로, 스피즈에너지에서 잠시 활동했으며 레인코츠에 들어가기 위해 탈퇴했다), 그리고 비브 앨버틴과 테사 폴릿이 각각 창립 멤버인 케이트 코러스와 수지 것시를 대체했다.[1] 1979년에 발매된 데뷔 음반 《Cut》은 포스트펑크 시대를 정의하는 음반 중 하나로 꼽히고 있다.[2]

Thumb
2007년 재결성한 슬리츠의 모습

역사

요약
관점

슬리츠는 아리 업이 패티 스미스의 공연을 보러 갔을 때 결성됐다. 엄마와의 다툼 이후 아리는 팜올리브와 케이트 코리스에게 접근해 밴드를 결성하자는 제안을 받았고, 이튿날 첫 리허설을 진행했다.

슬리츠는 1977년 더 클래시의 〈White Riot〉 투어에서[3] 버즈콕스, 더 잼, 프리펙츠, 서브웨이 섹트 등과 함께 밴드의 지원 공연을 했다. 이 시기 슬리츠의 클럽에서의 공연은 1978년에 개봉한 영화 《펑크 록 무비》에 포함됐다. 1978년 11월 슬리츠는 "Sort it Out" 투어에서 이노센츠의 오프닝 공연과 함께 다시 한 번 더 클래시와 투어를 함께 했다. 조 스트러머는 밴드의 강렬한 공연에 훌륭하다는 평가를 내렸다.[4]

팜올리브는 1978년 밴드를 떠났고 1979년 1월 4일 레인코츠로 데뷔했다.[5] 이후 드러머 자리는 스핏파이어 보이스의 드러머이자 이후 수지 앤 더 밴시스의 멤버가 되는 버지가 잠시 드러머를 맡았다.[1] 드러머가 바뀌면서 음악 스타일도 바뀌게 되는데, 1977년과 1978년 두 번의 필 세션에 담긴 슬리츠 초기의 원시적이고 시끄러우며 드럼 지배적인 라이브 사운드는 버지 영입 이후로 보다 베이스 지향적인 사운드로 다듬어졌으며, 레게, , 월드 뮤직 등에서 파생된 새로운 스타일을 선보였다.

Thumb
1980년 6월 15일 알렉산드라 팰리스에서 열린 비트 앤 더 블루스 페스티벌에서의 아리 업

데니스 보벨이 프로듀싱한 데뷔 음반 《Cut》은 1979년 9월 아일랜드 레코드를 통해 발매되었으며, 네네 체리과 백 보컬로 합류했다. 음반의 표지는 로인클로스만 입은 채 진흙을 묻히고 있는 밴드의 사진이 쓰였다.[1] 팜올리브가 이 사진을 좋아하지 않아서 밴드를 떠났다는 주장이 존재했지만,[6] 팜올리브 자신과 비브 앨버틴은 팜올리브가 몇 달 전 밴드를 나가겠다는 의사를 밝혔다고 주장했으며,[7][8] 팜올리브는 음반에 참여하지 않았다.

슬리츠의 사운드와 태도는 1980년대 초반 점점 실험적이고 전위적으로 변해갔는데, 브리스톨 출신 포스트펑크 밴드 팝 그룹과 함께 드러머 브루스 스미스를 공유하며 Y 레코드에서 스플릿 싱글인 〈In the Beginning There Was Rhythm / Where There's a Will...〉을 발매했다. 이후 《Cut》 발매 이전 대부분의 수제 데모와 라이브 공연으로 구성된 제목이 없는 컴필레이션 음반을 발매했다. 슬리츠는 1982년 초 해체 전 두 번째 정규 음반인 《Return of the Giant Slits》를 발매하고 투어를 돌았다.[1][6] 아리 업은 뉴 에이지 스테퍼스의 밴드로 들어갔다.[1]

아리 업과 테사 폴릿은 2005년 비브 앨버틴이 재결성을 꺼리자 새로운 멤버로 밴드를 재결성했고, 2006년 EP 《Revenge of the Killer Slits》를 발매했다.[3] 이 EP에는 섹스 피스톨즈의 전 멤버인 폴 쿡과 애덤 앤 디 앤츠의 전 멤버 크리스 콘스탄티누 및 마르코 피로니가 뮤지션과 공동 프로듀서로 참여했다.[9] 또한 폴 쿡의 딸 홀리 쿡은 밴드에 영입되어 키보드를 연주했다. 재결성 당시 밴드의 다른 멤버들은 기타 리스트 No, 독일인 드러머 안나 슐트와 기타리스트 아델 윌슨이 있었다.[10]

슬리츠는 2006년 25년 만에 "States of Mind" 투어를 통해 미국 투어를 진행했으며, 호주, 일본 및 뉴욕의 맥캐런 공원에서 소닉 유스의 오프닝 공연을 맡았다.[11] 아델 윌슨과 No가 밴드를 떠난 후에는 미국의 기타리스트인 미셸 힐로 대체됐다. 2009년 7월 영국에서 옴니버스 프레스를 통해 전기 《Typical Girls? The Story of the Slits》가 출간되었으며,[12] 세 달 후에는 밴드의 세 번째 정규 음반 《Trapped Animal》이 발매됐다.[13]

2010년 10월, 아리 업이 48세의 나이로 사망하였고,[14] 밴드의 마지막 작품인 〈Lazy Slam〉의 비디오는 아리 업의 뜻에 따라 사후 발매됐다.[15] 밴드의 마지막 곡이자 1981년 미발매곡 〈Coulda Woulda Shoulda〉가 이후 공개됐다.[16] 2018년, 밴드를 다룬 다큐멘터리 《Here to be Heard: The Story of the Slits》가 발매됐다.[17]

Remove ads

멤버

  • 아리 업 – 보컬 (1976–1982, 2005–2010; 2010년 사망)
  • 팜올리브 – 드럼 (1976–1978)
  • 수지 것시 – 베이스 기타 (1976)
  • 케이트 코러스 – 기타 (1976–1977)
  • 테사 폴릿 – 베이스 기타 (1976–1982, 2005–2010)
  • 비브 앨버틴 – 기타 (1977–1982)
  • 버지 – 드럼 (1978–1980)
  • 브루스 스미스 – 드럼 (1980–1982)
  • 네네 체리 – 백 보컬 (1981)
  • 홀리 쿡 – 백 보컬 (2005–2010)
  • 미셸 힐 – 기타 (2005–2010)
  • NO – 기타, 백 보컬 (2005–2010)
  • 안나 슐트 – 드럼 (2005–2010)
  • 아델 윌슨 – 기타 (2005–2010)
  • 리틀 애나 – 멜로디카 (2007–2009)

디스코그래피

정규 음반

  • Cut (1979년 9월)[18]
  • Return of the Giant Slits (CBS, 1981년 10월)
  • Trapped Animal (나낵, 2009년)

컴필레이션 음반

  • The Slits/Bootleg Retrospective/Untitled (Y 레코드, 1980년 5월)
  • Double Peel Sessions (스트레인지 프루트, 1988년 11월)
  • In the Beginning (정글, 1997년)
  • Live at the Gibus Club (캐슬 뮤직 / 생추어리, 2005년 2월 – 1978년 1월 녹음)[19]

싱글 및 EP

  • 〈Typical Girls〉 / 〈I Heard It Through the Grapevine〉 (아일랜드 (영국) / 앤틸리스 (미국), 1979년 9월)
  • 〈In the Beginning There Was Rhythm〉 (Y, 1980년 3월, 팝 그룹과의 스플릿 싱글)
  • 〈Man Next Door〉 / 〈Man Next Door (version)〉 (Y, 1980년 6월)
  • 〈Animal Space〉 / 〈Animal Spacier〉 (휴먼 (영국), 휴먼 (다른 트랙의 12인치 EP, 미국))
  • 〈Earthbeat〉 / 〈Earthdub〉 / 〈Begin Again, Rhythm〉 (CBS, 1981년 8월 (영국), 1981년 12월 (미국), 첫 두 트랙은 7인치 싱글, 세 트랙은 12 인치 EP)
  • 〈American Radio Interview (Winter 1980)〉 / 〈Face Dub〉 (CBS, 1981년 10월, 《Return of the Giant Slits》의 보너스 레코드)
  • The Peel Sessions (스트레인지 프루트, 1987년 2월)
  • Revenge of the Killer Slits (2006) 7"/CD 맥시 싱글 (온리 러버스 레프트 얼라이브/EXO)

각주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