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시나붕산
인도네시아의 화산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시나붕산(Sinabung/Gunung Sinabung)은 인도네시아 수마트라섬에 위치한 성층화산으로, 높이는 2,460m이며 현재도 활동하고 있다. 인도네시아의 초화산인 토바호보다 위에 위치하고 있다.
분화 활동
요약
관점
9세기부터 10세기에 2010년의 활동과 같은 장소에서 비슷한 규모의 화산 활동을 했다. 2010년 8월 30일 분화가 발생했는데 이때의 분화는 400여년 만에 일어난 분화이다. 그 3년 후, 화산이 다시 폭발해 수천 명이 대피하고 인근 마을에 화산재를 뿌렸다.
2010년
- 8월 27일부터 연기가 관측되어 같은 해 8월 29일 새벽, 410년 만에 분화했다. 분화구에서 연기와 화산재가 약 1,500m의 높이로 상승한 것으로 관측되었다.
- 8월 30일 폭발 규모를 확대시킨 것으로 결국 인근 주민 약 3만 명이 대피했다.
2013년
- 9월 15일, 심야에 분화하여 분화구에서 반경 약 30km 주변 주민들에게 피난 권고가 발령되었으며 6,200명 이상이 대피했다.
- 11월 3일 두 차례 폭발. 고도 7,000m.
- 11월 23일 불카노식 분화.
- 12월, 분화 활동이 더욱 활발해져서 산정 분화구 용암이 출현. 12월 31일, 19,000명 이상이 대피했다.
2014년
- 1월 4일 30회에 걸쳐 분화를 반복했다. 연기의 고도만 4,000m에 이르렀고, 용암 유출 횟수만 60번이 된 최대 규모의 유출이었다. 이날 20,331명 이상이 대피하였다.
- 1월 14일 계속 30차례 이상 폭발을 반복했다. 피난민은 2,600명 이상이 되었다.
- 1월 31일, 화산이 진정됨에 따라 국가 재해 대책 기관은 임시 출입을 허용하지 않았다.
- 2월 1일, 고도 약 2,000m에 걸친 대규모 분화를 했다. 산기슭까지 약 4,500m를 흘러내리는 화산쇄설류도 발생했다. 이 분화로 인해 5km 이내의 경계 지역 내 관광 목적으로 방문한 고교생 등 4명을 포함한 16명이 사망하는 참사가 발생했다.
- 10월 5일 또 분화를 하였고, 나흘 뒤인 10월 9일에는 용암을 수반한 분화가 일어났으며, 정상에서 경사를 타고 약 4,500m를 흘러내리는 화산쇄설류도 발생했다. 연기가 분화구로부터 높이 약 3km까지 도달했다.
2015년
- 2월 6일 분화. 연기가 주변 마을을 감쌌다.
- 5월 31일 분화. 6월 4일 국가재난방재청(BNPB)의 발표에 따르면 주변 주민 3,000여 명이 집에서 대피했다.
2016년
- 5월 21일 고도 30,000m에 걸친 격렬한 폭발을 했다. 산기슭까지 약 4,500m를 흘러내리는 화산쇄설류도 발생했고, 한 분화구에서 반경 7km 이내의 피난 구역에서 농사를 짓고 있던 주민 7명이 사망하고 2명이 중태에 빠지는 참사가 일어났다.
2017년
- 2월 10일 분화 발생.
- 11월 26일 분화 발생.
Remove ads
같이 보기
외부 링크
위키미디어 공용에 Mount Sinabung 관련 미디어 자료가 있습니다.
- Sinabung 보관됨 2015-06-28 - 웨이백 머신 - Global Volcanism Program
- 시나붕산의 2013년〜2014년의 분화활동 - 도쿄대 지진연구소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