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시위 제1연대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시위 제1연대(侍衛第一聯隊)는 대한제국 시기에 창설된 궁성 경호 부대이다. 대한제국 고종의 황제권 강화 노력의 일환으로 러시아식 편제에 따라 1898년 5월에 창설되었으며, 1905년 4월에 시위보병 제1연대로 재편되었다.
연혁
- 1898년(고종 35년, 광무 2년) 5월 27일, 부대 창설 (시위 제1대대, 시위 제2대대로 연대를 편성)[2]
- 1898년 7월 2일, 1개 포병대 추가 편성
- 1899년(고종 36년, 광무 3년) 9월, 제3대대 추가 편성
- 1899년 12월 19일, 2개 포병대대 및 1개 군악대 추가 편성 (포병대대는 기존 1개 포병대를 해체한 후 증편한 것임)
- 1902년(고종 39년, 광무 6년) 9월 12일, 제3대대 및 제2포병대대, 군악대를 시위 제2연대로 배속 전환 (시위 제2연대가 창설됨)[3]
- 1904년(고종 41년, 광무 8년) 3월 12일, 군악대 추가 편성
- 1905년(고종 42년, 광무 9년) 4월 14일, 부대 명칭을 시위보병 제1연대로 개칭 및 시위 제2연대로부터 1개 대대를 편입하는 등의 편제 개편[4] (시위 제2연대, 친위 제1연대, 친위 제2연대 해체)
- 1907년(고종 44년, 광무 11년) 4월 22일, 연대가 시위혼성여단(侍衛混成旅團, 侍衛渾成旅團)으로 편제됨[5][6]
- 1907년 8월 1일, 부대 해체 (대한제국 군대 해산)
Remove ads
지휘관
- 초대, 부령(副領) 조동윤(趙東潤)[7] : 1898년 4월 14일 (양력 6월 2일) ~ 1898년 9월 28일 (양력 11월 11일)
- 서리, 군부(軍部) 군무국 군사과장 권용국(權用國) : 1898년 10월 5일 (양력 11월 18일) 당시
- 부령 권용국(權用國) : 1898년 11월 30일 ~ 1899년 6월 28일 (양력 8월 4일) 휴직
- 정령(正領)[8] 김승규(金昇圭) : 1899년 7월 13일 (양력 8월 18일) ~ 1899년 10월 6일 (양력 11월 8일) 휴직
- 부령 이기동(李基東) : 1899년 10월 6일 (양력 11월 8일) ~ 1900년 9월 29일 (양력 11월 20일) 면직
- 서리, 참령 이태래(李泰來) : 1899년 12월 8일 (양력 1900년 1월 9일) 당시
- 부령 구영조(具永祖) : 1900년 10월 5일 (양력 11월 26일) ~ 1901년 11월 11일 (양력 3월 1일) 면직
- 부령 구영조(具永祖) : 1902년 3월 1일 (양력 4월 8일) ~ ?
- 부령 양성환(梁性煥) : 1903년 4월 16일 (양력 5월 12일) ~ 1903년 8월 16일 (양력 10월 6일) 면직
- 서리, 경무사 양성환(梁性煥) : 1903년 8월 16일 (양력 10월 6일) ~ 1903년 10월 24일 (양력 11월 11일)
- 부령 양성환(梁性煥) : 1903년 10월 24일 (양력 11월 11일) ~ 1904년 (양력 4월 12일) 면직
- 부령 이근형(李根馨) : 1904년 2월 26일 (양력 4월 11일) ~ 1904년 (양력 4월 11일) 면직
- 부령 이근형(李根馨) : 1904년 7월 9일 (양력 8월 19일) ~
- 정령 이근형(李根馨) : 1905년 3월 14일[9] (양력 4월 18일) ~
- 정령 이근형(李根馨) : 1907년 3월 18일 (양력 4월 30일) ~
Remove ads
부관
- 초대, 정위 조영규(趙寧奎) :1898 4월 14일 (양력 6월 2일) ~ ?
전투
편성
1898년 5월
시위 제1연대 창설 시점인 1898년 5월 당시 편성은 아래와 같다. 전체 병력 약 2,000명 규모이다.
- 연대본부 : 연대장 등 7명[10]
- 제1대대 (5개 중대, 제1중대 ~ 제5중대)
- 제2대대 (5개 중대, 제1중대 ~ 제5중대)
1900년 12월
1900년 12월 당시 편성은 아래와 같다. 전체 병력 약 3,750명 규모이다.
- 연대본부
- 제1대대 (5개 중대, 제1중대 ~ 제5중대)
- 제2대대 (5개 중대, 제1중대 ~ 제5중대)
- 제3대대 (5개 중대, 제1중대 ~ 제5중대)
- 포병 제1대대 (3개 중대, 산포 1중대, 산포 2중대, 야포 중대)
- 포병 제2대대 (3개 중대, 산포 1중대, 산포 2중대, 야포 중대)
- 군악대
1902년 10월
1902년 10월 당시 편성은 아래와 같다. 전체 병력 약 2,300명 규모이다.
- 연대본부
- 제1대대 (5개 중대, 제1중대 ~ 제5중대)
- 제2대대 (5개 중대, 제1중대 ~ 제5중대)
- 포병대대 (3개 중대, 산포 1중대, 산포 2중대, 야포 중대)
1905년 4월
시위보병 제1연대 시기인 1905년 4월 당시 편성은 아래와 같으며, 이 편제는 부대 해체 직전까지 이어진다. 전체 병력은 1905년 4월에 약 2,500명 규모였다가 1907년 5월에 약 1,850명으로 축소된다.[11]
- 연대본부 : 연대장 등 11명
- 제1대대 (4개 중대, 제1중대 ~ 제4중대)
- 제2대대 (4개 중대, 제1중대 ~ 제4중대)
- 제3대대 (4개 중대, 제1중대 ~ 제4중대)
Remove ads
같이 보기
- 대한제국 육군
- 시위대 (대한제국)
- 친위대 (대한제국)
- 진위대
- 시위 제2연대
- 친위 제1연대
- 친위 제2연대
- 대한제국군 해산
- 남대문 전투
각주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