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신응균

대한민국의 군인 (1921–1996)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신응균
Remove ads

신응균(申應均, 1921년 1월 22일[1]~1996년 3월 25일[2])은 일제강점기대한민국의 군인으로, 본관은 평산이다. 2008년 발표된 민족문제연구소의 친일인명사전 수록예정자 명단 중 군 부문에 아버지 신태영과 함께 선정되었으며, 2009년 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위원회가 발표한 친일반민족행위 705인 명단에도 포함되었다.

간략 정보 별명, 출생일 ...
Remove ads

생애

일본군 장교인 신태영의 아들로 태어났다.[3] 1940년에 일본육군사관학교를 제53기로 졸업하고 일본 제국 육군에 임관하였고 1943년 일본 육군과학교를 졸업하였다. 태평양 전쟁에 중포부대 소속으로 참전했다. 종전 당시에는 육군 소좌였으며, 주둔하고 있던 오키나와섬의 산 속에서 숨어지내다가 1946년 귀국했다.[4]

미군정 시기에 대한민국 국군 장교가 되었다. 포병사령부를 설치하는 등 국군의 포병 병과를 개척하여 '한국 포병의 아버지'로도 불린다. 포병사령관 시절에는 박정희의 상관이기도 했다.[5] 1951년 미국 포병학교 졸업한데 이어, 1957년 미국 육군참모학교를 졸업하였다.

1959년에 중장으로 예편하고, 1959년 주 터키대사에 임명되었다. 4·19 혁명이 일어난 뒤인 1960년 9월 1일 상오, 정부는 주터키 대사 신응균의 사표를 수리하였다.[6] 장면 정부 당시인 1960년 11월 30일, 국방부차관보에 임명되었다.[7] 국방차관보를 지내던 중 5·16 군사 정변이 발생했다. 정변이 성공한 뒤 정변 세력에 동참하여 1961년에 국방부차관, 7월에 주서독대사에 임명되었다. 하인리히 뤼프케 서독 대통령은 1961년 7월 29일, 신임 주독 한국대사 신응균을 접견하고 그의 신임장을 받았다.[8] 1963년 7월, 신응균은 하버드 대학에서 수학하기 위해 본부 대기대사로 물러나고, 후임으로 전 외무부장관 최덕신이 기용되었다.[9] 1965년: 외교안보연구원 원장, 1966년: 과학기술연구소 부소장을 거쳤다. 특히 1970년에는 국방과학연구소를 설립해 초대 소장을 맡았고, 1976년에는 한국경영과학회의 전신인 운영과학회를 창설하고 초대 회장이 되었다.

2008년 발표된 민족문제연구소의 친일인명사전 수록예정자 명단 중 군 부문에 아버지 신태영과 함께 선정되었으며 2009년 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위원회가 발표한 친일반민족행위 705인 명단에도 포함되었다.

Remove ads

학력

기타 약력

신응균을 연기한 배우

같이 보기

각주

참고 자료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