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콩팥정맥

콩팥의 혈액을 받아 아래대정맥으로 보내는 두꺼운 정맥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콩팥정맥
Remove ads

콩팥정맥(renal veins) 또는 신정맥(腎靜脈)은 직경이 큰 정맥[1]으로 콩팥에 의해 여과된 혈액을 받아들여 아래대정맥으로 보낸다. 각 콩팥마다 하나의 콩팥정맥이 있다. 아래대정맥은 몸의 정중선보다 오른쪽에 있으므로 오른쪽 콩팥정맥보다 왼쪽 콩팥정맥의 길이가 더 길고, 왼쪽 콩팥정맥은 대동맥을 가로지른다.[2]

간략 정보 콩팥정맥, 정보 ...
Remove ads

구조

콩팥정맥은 함께 주행하는 콩팥동맥보다 앞쪽에 위치한다. 두껍고 짧게 존재하는 콩팥정맥은 아래대정맥으로 거의 직각을 이루며 합류한다.[1]

아래대정맥이 정중선에서 오른쪽에 위치하기 때문에 왼쪽 콩팥정맥(약 7.5cm)은 오른쪽(약 2.5cm)보다 3배가량 길다.[1]

지류

아래대정맥의 지류는 좌우대칭이 아니므로, 종종 왼쪽 콩팥정맥이 왼쪽 아래가로막정맥, 부신정맥, 생식샘정맥(남성은 고환정맥, 여성은 난소정맥), 둘째 허리정맥을 받기도 한다.[3] 반면 오른쪽에서는 이 정맥들이 직접 아래대정맥으로 들어간다.[3]

위치 관계

두 콩팥정맥의 해부학적 위치 관계도 좌우대칭이 아니다.

왼쪽 콩팥정맥은 지라정맥이자 몸통의 뒤쪽에 놓여 있으며,[1] 배대동맥(왼쪽 콩팥정맥 뒤쪽)과 위창자간막동맥(왼쪽 콩팥정맥 앞쪽)이 이루는 각을 통과한다. 이 두 동맥이 이루는 각이 너무 작아지면 왼쪽 콩팥정맥이 두 동맥에 의해 눌리면서 정맥의 혈액 흐름이 원활하지 못하게 되어 호두까기 증후군을 일으킨다. 간혹 왼쪽 콩팥정맥이 대동맥의 뒤쪽으로 지나가기도 한다.[1]

오른쪽 콩팥정맥은 샘창자 내림부분의 뒤쪽에 위치한다.[1]

한편 콩팥의 림프관은 콩팥정맥을 따라 주행하여 허리림프절로 유입된다.[2]

변이

각 콩팥에는 하나씩 콩팥정맥이 존재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여러 개가 있는 경우도 흔하다. 콩팥혈관의 기형은 딴곳콩팥이 있는 경우 더욱 흔하며, 말굽콩팥이 있다면 거의 항상 존재한다.[4]

왼쪽 콩팥정맥이 배대동맥의 앞으로 지나가지 않고 뒤에 위치하는 경우도 있다.[1]

Remove ads

임상적 중요성

콩팥정맥과 관련된 질환에는 콩팥정맥에 생기는 정맥혈전증콩팥정맥 혈전증과, 콩팥정맥이 동맥 사이에 눌리면서 발생하는 호두까기 증후군이 있다.

추가 이미지

같이 보기

각주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