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신한은행
대한민국의 금융사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주식회사 신한은행(株式會社 新韓銀行, 영어: Shinhan Bank)은 대한민국의 은행이자 신한금융지주의 자회사로, 1982년 7월 7일 대한민국 최초의 순수 민간자본으로 설립된 시중은행이다. 1998년에는 동화은행을, 2006년에는 조흥은행을 인수합병하여 현재에 이르고 있다. 2021년 말 기준 총자산 552.6조원, 총자본 29.2조원이며, 20개국 163개의 글로벌 네트워크와 14,117명의 임직원을 보유한 대한민국 대표 은행이다. 주요 업무는 예금, 대출, 외환, 투자 등의 각종 금융 서비스이다.[1][2] [3] [4] [5] [6]
2021년 12월 21일에는 배달 음식 주문 애플리케이션 땡겨요를 출시하여 배달 플랫폼 사업에도 진출하였다.[7][8] 2023년 8월 기준 땡겨요는 누적 가입 고객 260만 명, 가맹점 12만 6천 개, 월간 이용자 수(MAU) 82만 명, 누적 주문금액 1,300억 원을 기록하며 국내 배달 애플리케이션 시장 상위권 서비스로 자리잡았다.[9]
Remove ads
연원 및 변천
요약
관점
은행업 진출
신한은행의 모태는 재일동포 사업가 이희건을 중심으로 한 교민 자본이다. 이희건은 일본 오사카에서 신용조합(오사카흥은)을 설립하는 등 재일동포 사회에서 금융 기반을 다진 뒤, 1970년대 이후 재일동포 자본을 모국에 투자하고자 하는 움직임을 주도하였다.[2][10] 1982년에는 341명의 재일동포 출자자들이 참여해 국내 최초의 순수 민간자본 은행으로 신한은행을 세웠다.[2][11]
1965년 한일 국교 정상화 이후 재일동포들은 모국의 산업화 및 경제발전을 위해 대규모 투자에 참여했으나, 당시 국내 금융 시스템이 미비해 자금 조달과 운용에 어려움을 겪었다. 이에 재일동포 사회에서는 모국에 기반을 둔 독자적인 시중은행 설립 필요성이 제기되었고, 1970년대 초 ‘교민은행 설립준비위원회’가 구성되어 한국 정부와 은행 설립 방안을 협의하였다.[3][12]
1981년 10월 한국은행이 신설 은행에 대한 내인가를 승인하면서 설립 작업이 본격화되었다. 은행 명칭은 ‘새로운 한국’을 상징하는 ‘신한(新韓)’으로 정해졌고, 약 9개월의 준비 기간을 거쳐 1982년 7월 7일 본점을 포함한 3개 영업점, 자본금 250억 원 규모로 영업을 개시하였다.[3][13] 개점 첫날 본점 영업부에는 1만 7,520명이 내점했고, 신규 예금은 5,017좌에 357억 4,800만 원이 몰리는 등 다른 시중은행과 비교해도 이례적인 성과를 기록하였다.[3][14]
설립 이후 신한은행은 수신·여신 업무 확대와 함께 계열 금융사를 통해 ‘원스톱 종합금융 서비스’를 지향하였다. 1985년 6월에는 정부의 자본시장 육성방안 발표에 맞춰 동화증권을 인수해 같은 해 8월 ‘신한증권 주식회사’로 사명을 변경하고 자회사로 편입하였으며,[15] 1987년에는 ㈜신한종합연구소, 1990년에는 신한생명보험㈜를 설립하였다.[3][16] 이어 1991년에는 신한리스를 설립(현재 신한캐피탈), 1996년에는 신한투자신탁운용㈜의 영업을 개시하는 등 그룹 내 비은행 부문을 확충하였다.[3][17]
IMF 이후 동화은행과 조흥은행 인수
1990년대 신한은행은 금융 자유화 및 경쟁 심화에 대응해 기업·가계 금융 상품을 확대하고, 해외 네트워크와 비은행 계열사를 중심으로 종합 금융그룹으로의 전환 기반을 마련하였다.[3] 1998년 외환위기 이후 진행된 금융기관 구조조정 과정에서 신한은행은 경영 부실로 퇴출된 동화은행을 자산·부채 인수(P&A) 방식으로 흡수하였다.[4][18]
2001년 9월 1일에는 국내 최초의 민간 금융지주회사인 신한금융지주가 설립되었다. 신한은행, 신한증권, 신한투자신탁운용, 신한캐피탈 등 4개 계열사가 지주회사 체제로 편입되었고, 이후 e신한, 신한맥쿼리금융자문, 제주은행 등 추가 계열사를 확보하면서 그룹 형태가 갖추어졌다.[19][20][21]
2006년 4월 1일 조흥은행과의 합병으로 ‘통합 신한은행’이 공식 출범하였다. 합병 시 존속 법인은 조흥은행으로 지정되었고, 구 신한은행 법인은 소멸 법인이 되면서 현 신한은행의 법적 설립 연도는 조흥은행의 전신인 한성은행이 설립된 1897년으로 소급된다.[3][22][23]
합병 이후 신한은행은 조흥은행의 ‘국내 최장수 은행’이라는 역사성과 신한은행의 민간 자본 기반 혁신 이미지를 결합해 브랜드를 재정립하였으며, 2010년대 이후에는 디지털 뱅킹과 해외 사업 확대에 중점을 두고 영업을 전개하고 있다.[24][25]
Remove ads
영업점
국내 지점
- 지점 및 출장소: 721개
해외 지점
- 20개국 163개 네트워크
지점
- 미국 (1개)
- 영국 (1개)
- 홍콩 (1개)
- 싱가포르 (1개)
- 인도 (6개)
- 필리핀 (1개)
- 두바이 (1개)
- 호주 (1개)
- 미얀마 (1개)
현지법인
- 미국 (15개)
- 중국 (19개)
- 일본 (11개)
- 베트남 (43개)
- 캐나다 (4개)
- 캄보디아 (12개)
- 독일 (1개)
- 폴란드 (1개)
- 카자흐스탄 (1개)
- 인도네시아 (39개)
- 멕시코 (1개)
사무소
- 우즈베키스탄 (1개)
- 헝가리 (1개)
각주
같이 보기
외부 링크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