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신한은행 스타리그 2006 Season 1
스타크래프트 대회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신한은행 스타리그 2006 Season 1은 2006년에 진행된 스타리그이다.

리그기간
리그컨셉
23 VS 1 One & Only
- 24강으로 확대 개편된 리그 시스템 의미 강조
- 23명의 선수와 싸워 단 하나의 우승컵을 거머쥐는 스타리그 우승자의 위상 표현
- e-sports 최고의 대회 '신한은행 스타리그' 의 유일성과 일치하는 의미
- 일부 선수들 테마곡 도입
대회 정보
- 스폰서 캐치프레이즈 : 처음부터 끝까지 함께하는 신한은행
- 11개 프로게임단이 모두 참여하여 맵테스트 진행
- 우승상금 4000만원으로 확대
- 당시 16강에 탈락했던 임요환을 밀어 줬다는 논란이 일어났다. 그리고 임요환은 예선을 뚫고 본선에 안착.
- 방송국 관계자, 맵제작자 및 게임단 코치진으로 구성된 맵TF팀 구성
- 특수에디터를 활용하여 정글타일에서 사용할 수 있는 '윗쪽 방향 언덕입구' 제작, '윗쪽 방향 언덕입구'와 '확장언덕'이 결합된 구릉지 지형을 사용한맵 등장(백두대간)
- '윗쪽 방향 언덕입구'로 입구지형 불균형 해결 (815 lll)
- 8강 토너먼트를 2회에 걸쳐 진행 → 지방투어에서 4강 진출자 결정.
- 스타리그 최초 연간대회 스폰서로 3개대회 및 연말에 '신한 마스터즈' 개최
- 주최가 신한은행으로 이전되고 온게임넷은 주관방송사 역할 담당.
- Mega-Web Station에서의 마지막 스타리그
- 오프닝 제작 사상 최고 비용이 들어간 오프닝으로 화제가 됨.
- 당 대회 오프닝이 세계 오프닝상 수상.
- 16강이었던 본선대진이 24강으로 확대되며 시드가 3장에서 6장으로 늘어남.
- 홍진호, 개인통산 100승 달성.
- 삼성전자 칸, 창단 최초로 개인리그 4강 진출자 탄생(변은종)
- 8강 투어 장소 : 청주 서원대학교
- 결승 장소 : 서울 서울대학교 잔디운동장 (스타리그 최초의 심야 결승전 - 경기시작 시간 : 2006년 6월 23일 밤 11시[1])
K-SWISS 듀얼토너먼트
요약
관점
예선 통과자
1라운드
최종 1위 결정전
듀얼토너먼트 2R 진출자 목록
(*는 스타리그에 자동진출한다.)
2라운드
추가선발전
Remove ads
24강
출전 선수
종족 | 명 | 이름 |
테란 | 9 | 변길섭 변형태 염보성 이병민 임요환 전상욱 차재욱 최연성 한동욱 |
저그 | 10 | 김남기 박명수 박영훈 박성준 박성준1(삼성) 박태민 변은종 조용호 최가람 홍진호 |
프로토스 | 5 | 강민 김성제 박지호 송병구 안기효 |
본경기
24강 조지명식에 따라 결정된 조에 따라서 한 선수가 한 경기씩 총 세 경기를 펼치게 되며, 한 조로 볼 때 총 여섯 경기를 치르게 된다.
재경기
와일드카드전
우선 6강 토너먼트로 진행해서 승자는 16강에 진출한다. 패자 3명은 풀리그방식으로 1명만 16강에 진출한다.
Remove ads
16강 ~
16강전 | 8강전 | 준결승전 | 결승전 | |||||||||||
차재욱 | 0 | |||||||||||||
한동욱 | 2 | |||||||||||||
한동욱 | 2 | |||||||||||||
박성준 (삼성) | 0 | |||||||||||||
박성준 (삼성) | 2 | |||||||||||||
박태민 | 0 | |||||||||||||
한동욱 | 3 | |||||||||||||
홍진호 | 2 | |||||||||||||
홍진호 | 2 | |||||||||||||
이병민 | 0 | |||||||||||||
홍진호 | 2 | |||||||||||||
최가람 | 1 | |||||||||||||
임요환 | 1 | |||||||||||||
최가람 | 2 | |||||||||||||
한동욱 | 3 | |||||||||||||
조용호 | 1 | |||||||||||||
안기효 | 0 | |||||||||||||
변형태 | 2 | |||||||||||||
변형태 | 1 | |||||||||||||
조용호 | 2 | |||||||||||||
송병구 | 0 | |||||||||||||
조용호 | 2 | |||||||||||||
조용호 | 3 | |||||||||||||
변은종 | 0 | 3위 결정전 | ||||||||||||
강민 | 1 | |||||||||||||
변은종 | 2 | |||||||||||||
변은종 | 2 | 홍진호 | 3 | |||||||||||
박명수 | 0 | 변은종 | 0 | |||||||||||
염보성 | 1 | |||||||||||||
박명수 | 2 | |||||||||||||
Remove ads
우승
신한은행 스타리그 2006 시즌1 우승 |
---|
한동욱 (첫 번째 우승) |
5, 6위 결정전
- 8강 탈락자들이 참여하여 원데이 듀얼로 진행했으며, 승자전과 최종전에 승자가 차기리그 5, 6번시드를 받는다.
- 패자, 최종전 패자는 듀얼토너먼트로 강등된다.
1, 2경기, 패자전 | 승자전, 최종전 | 5, 6위시드자 | ||||||||||||
박성준 | ||||||||||||||
최가람 | ||||||||||||||
박성준 | ||||||||||||||
변형태 | ||||||||||||||
변형태 | ||||||||||||||
박명수 | ||||||||||||||
박성준(5위) | ||||||||||||||
변형태(6위) | ||||||||||||||
최가람 | ||||||||||||||
박명수 | ||||||||||||||
변형태 | ||||||||||||||
최가람 | ||||||||||||||
Remove ads
대회 결과
사용 맵 정보
각주
외부 링크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