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신홍범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신홍범은 대한민국의 수면의학 연구자이자 의사이다.[7][8] 코슬립수면의원 대표원장으로서 폐쇄성 수면 무호흡증에 대한 양압기 치료와 불면증의 인지행동치료(CBT-I)를 중점적으로 시행한다.[5] 대한수면의학회에서 보험·정도관리 업무를 맡아 수면다원검사와 양압기 치료의 제도 정착 과정에 참여했고, 2025년 기준 부회장으로 활동한다.[3][4] 수면을 생명유지의 핵심 과정으로 규정하고 대중교육과 미디어 설명을 병행한다.[9]
Remove ads
생애
서울대학교 의과대학을 졸업하고 서울대학교 대학원에서 의공학 석사와 수면의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8] 서울대학교병원 수면센터 임상강사를 거쳐 을지의대에서 정신과 교수로 재직했다. 이후 수면질환 전문기관 코슬립수면의원의 대표원장으로 진료 체계를 확립했다.[5][10][6]
학력과 수련
-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의학사
-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의공학)·박사(수면의학)[8]
- 서울대학교병원 수면센터 임상강사(2005)
경력
연구와 임상
연구 분야
신홍범은 불면증, 기면증, 수면무호흡증을 축으로 임상 연구와 교육을 병행한다. 2008년에는 폐쇄성 수면 무호흡증(OSA) 중증도와 심박변이도(HRV)의 상관성을 분석한 공저 논문이 발표되었고,[11] 2009년에는 수면 발현기의 뇌파 비선형 동역학을 DFA(Detrended Fluctuation Analysis)로 정량화한 연구를 공저로 게재했다.[12] 2019년에는 일차성 불면증 환자 대상 뉴로피드백 예비연구를 공저로 보고했다.[13]
임상 및 치료
코슬립수면의원에서 수면다원검사(PSG) 기반 진단 후 양압기 치료(PAP)와 CBT-I를 적용한다.[5] 성인 폐쇄성 수면 무호흡증의 1차 치료는 양압기라는 국제 임상지침이 확립되어 있다.[14] 2024년에는 허니냅스의 비접촉 수면분석 솔루션 ‘솜눔 스캐닝·팍스(SOMNUM Scanning/PAX)’를 도입해 디지털 기반 추적 관리를 확대했다.[15][16][17]
Remove ads
주요 활동
대중 활동
수면을 생리적 회복을 넘어 생명유지와 인지 기능 유지의 핵심 과정으로 규정하고, 인터뷰·방송·강연을 통해 생활습관 교정과 치료 순응의 중요성을 강조한다.[9] 코슬립 채널과 강연을 통해 고령층 수면 관리, 양압기 적응, 불면증 CBT-I 실천법 등을 설명한다.[20]
저서
논문
- 박두흠; 신철진; 홍석찬; 유재학; 류승호; 김의중; 신홍범. 2008. 〈폐쇄성 수면무호흡증 중증도와 심박변이도의 상관성(Correlation between the Severity of Obstructive Sleep Apnea and Heart Rate Variability Indices)〉, Journal of Korean Medical Science 23(2): 226–231. doi:10.3346/jkms.2008.23.2.226.[11]
- 김종원; 신홍범; 피터 A. 로빈슨. 2009. 〈수면 발현기의 DFA 정량 연구: 정상 대 기면병(Quantitative Study of the Sleep Onset Period via DFA: Normal vs. Narcoleptic)〉, Clinical Neurophysiology 120(7): 1245–1251. doi:10.1016/j.clinph.2009.04.018.[12]
- 이진한; 신홍범; 김종원; 서호석; 이영진. 2019. 〈뉴로피드백 훈련에 의한 뇌파 변화 연구: 일차성 불면증 환자 예비 연구(EEG Changes by Neurofeedback Training: A Preliminary Study in Primary Insomnia)〉, 수면·정신생리(Sleep Medicine and Psychophysiology) 26(1): 44–48. doi:10.14401/KASMED.2019.26.1.44.[13]
Remove ads
각주
외부 링크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