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심근염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심근염
Remove ads

심근염(영어: myocarditis, inflammatory cardiomyopathy) 또는 심근염증은 장바이러스 중 특히 콕사키바이러스 B형에 의해 생기는 심근염증을 말한다.[1] 증상으로는 호흡곤란, 흉통, 운동능력 저하, 불규칙한 심장 박동이 있다.[1] 증상의 지속시간은 몇 시간에서 몇 달 까지로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다. 합병증에는 확장성 심근병증으로 인한 심부전이나 심정지가 포함된다.[1]

간략 정보 심근염, 다른 이름 ...

심근염은 대부분 바이러스 감염에 기인히며[1], 다른 원인으로는 박테리아 감염, 특정 약물, 독소, 자가 면역 질환 등이 있다.[1][2] 심전도 (ECG), 트로포닌 증가, 심장 MRI, 그리고 심장 생검으로 진단한다.[1][2] 심장초음파심장판막증과 같은 다른 잠재적인 원인들을 배제하기 위해 중요하다.[2]

치료는 심각성과 원인에 따라 달라진다.[1][2] ACE 억제제, 베타차단제, 그리고 이뇨제와 같은 약물이 자주 사용된다.[1][2] 일반적으로, 회복 중에는 운동을 하지 않는 것이 좋다.[1][2] 코르티코스테로이드면역글로불린요법 (IVIG)은 특정한 경우에 유용하다.[1][2] 심한 경우에는 삽입형 제세동기 또는 심장 이식이 권장된다.[1][2]

2013년, 약 150만 건의 급성 심근염이 발생했다.[6] 모든 연령대가 영향을 받지만, 그 중에서도 젊은 층이 가장 많이 영향을 받는다.[7] 여성보다 남성에게 약간 더 흔하다.[1] 또, 대부분의 경우 심하지 않다.[2] 2015년에는 심근염을 포함한 심근증으로 354,000명이 사망하였다.(1990년 294,000명)[8][9] 질환에 대한 설명이 시작된 것은 1800년대 중반부터이다.[10]

Remove ads

임상 양상

치료 및 예방

각주

외부 링크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