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심불상응행법 (아비달마품류족론)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심불상응행법 (아비달마품류족론)
Remove ads

이 문서는 부파불교설일체유부의 주요 논서인 《아비달마품류족론》에서 설명하고 있는 심불상응행법(心不相應行法)에 대해 다룬다. 심불상응행법에 대한 전체적 · 일반적 내용은 '심불상응행법 문서'에서 다루고 있다.

설일체유부의 논사 세우(世友, Vasumitra: 1~2세기)는 자신의 저서 《아비달마품류족론》 제1권에서 심불상응행법(心不相應行法)이란 마음상응(相應)하지 않는 모든 (法)을 통칭하는 것이라고 정의하고 있다.[1][2]

그리고, 세우심불상응행법에 속한 으로 (得) · 무상정(無想定) · 멸정(滅定) · 무상사(無想事) · 명근(命根) · 중동분(衆同分) · 의득(依得) · 사득(事得) · 처득(處得) · (生) · (老) · (住) · 무상성(無常性) · 명신(名身) · 구신(句身) · 문신(文身)의 16가지를 들고 있으며 이들 16가지의 외에도 심불상응행법에 속한 다른 들이 있다고 말하고 있다.[1][2]

Remove ads

정의

아비달마품류족론》에서는 심불상응행법(心不相應行法)을 다음과 같이 정의하고 있다.

心不相應行云何。謂若法心不相應。此復云何。謂得無想定滅定。無想事命根眾同分。依得事得處得生老住無常性。名身句身文身。復有所餘如是類法。與心不相應。總名心不相應行。

《아비달마품류족론》, 제1권. p. 692c. 한문본

심불상응행(心不相應行)이란 무엇인가? 어떤 법이 마음과 상응하지 않는 것을 말한다.

이것은 또 무엇을 말하는가? 득(得) · 무상정(無想定) · 멸정(滅定) · 무상사(無想事) · 명근(命根) · 중동분(衆同分) · 의득(依得) · 사득(事得) · 처득(處得) · 생(生) · 노(老) · 주(住) · 무상성(無常性) · 명신(名身) · 구신(句身) · 문신(文身)을 말하며, 또 이들 외에도 마음과 상응하지 않는 이와 같은 종류의 법이 있는데, 이 모두를 통틀어 심불상응행이라 한다.

《아비달마품류족론》, 제1권. 2쪽. 한글본
Remove ads

개별 법의 설명

요약
관점

아비달마품류족론》에서는 16가지 불상응행법을 들고 있는데, 이들에 대한 《아비달마품류족론》의 설명은 다음과 같다.

(1) 득(得)

(得)은 갖가지 법[諸法]을 획득하고 성취하는 것[得]을 말한다.[3][4]

(2) 무상정(無想定)

무상정(無想定)은 변정천[遍淨]의 번뇌[染]는 떠났지만 그 위의 (天)들의 번뇌[上染]를 아직 떠나지 못한 상태임에도 불구하고 출리상을 작의[出離想作意]하는 것을 '바라는 결과를 획득하는 최우선의 방편으로 삼아 행함[為先]'으로써, 심소가 소멸되는 선정을 말한다.[5][6]

(3) 멸정(滅定)

멸정(滅定)은 멸진정(滅盡定)이라고도 하며, 무소유처천[無所有處]의 번뇌[染]을 떠난 상태에서 지식상을 작의[止息想作意]하는 것을 '바라는 결과를 획득하는 최우선의 방편으로 삼아 행함[為先]'으로써, 심소가 소멸되는 선정을 말한다.[7][8]

(4) 무상사(無想事)

무상사(無想事)는 전생에서 수행한 무상정(無想定)의 과보로서 획득하는, 무상유정천(無想有情天)에 태어나서 갖는 심소가 소멸된 상태의 삶을 말한다.[9][10]

(5) 명근(命根)

명근(命根)은 3계에서의 수명[三界壽]을 말한다.[11][12]

(6) 중동분(衆同分)

중동분(衆同分)은 유정(有情: 중생)들의 동류성(同類性)을 말한다.[13][14]

(7) 의득(依得)

의득(依得)은 소의처(所依處)를 (得: 획득성취)하는 것[得所依處]을 말한다.[15][16]

(8) 사득(事得)

사득(事得)은 갖가지 (蘊)을 (得: 획득성취)하는 것[得諸蘊]을 말한다.[17][18]

(9) 처득(處得)

처득(處得)은 내처(內處: 6내처)와 외처(外處: 6외처)를 (得: 획득성취)하는 것[得內外處]을 말한다.[19][20]

(10) 생(生)

(生)은 갖가지 (蘊)이 발생하게 하는 성질[令諸蘊起]을 말한다.[21][22]

(11) 노(老)

(老)는 갖가지 (蘊)이 익게 하는 성질[令諸蘊熟]을 말한다.[23][24]

(12) 주(住)

(住)는 이미 발생한 갖가지 (行: 유위법)이 무너지지 않게 하는 성질[令已生諸行不壞]을 말한다.[25][26]

(13) 무상성(無常性)

무상성(無常性)은 무상(無常)이라고도 하며, 이미 발생한 갖가지 (行: 유위법)이 무너지고 소멸되게 하는 성질[令已生諸行滅壞]을 말한다.[27][28]

(14) 명신(名身)

명신(名身)은 증어(增語: 뛰어난 말), 즉 명사(名詞)를 말한다.[29][30]

(15) 구신(句身)

구신(句身)은 자만(字滿: 字가 충분한 것)을 말한다.[31][32] 즉, 표현하고자 하는 뜻을 충분히 나타낼 수 있을만큼 (字)가 충분히 모인 것을 말한다.

(16) 문신(文身)

문신(文身)은 자중(字衆: 字의 무리, 字의 집합)을 말한다.[33][34] 즉, 명신(名身)과 구신(句身)을 구성하는 요소가 되는 (字)들의 집합을 말한다.

Remove ads

같이 보기

참고 문헌

Remove ads

각주

Loading content...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