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심야버스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심야버스(深夜bus)는 주로 심야 시간대에 운행되는 버스다.

대한민국

요약
관점

대한민국에서는 서울특별시, 부산광역시, 인천광역시, 경기도, 제주특별자치도 등지의 일부 지역에서 시내버스의 형태로 운영중이다. 또한 시외버스(또는 고속버스)의 형태로는 전국 각지를 연결하는 광역 교통편으로 운행중이다. 다만 수도권은 이음1, 반디1, 반디1-1, 반디2, 이음2, 33, 33-1, 500-1A번 심야버스와 부산의 경우는 심야 141, 183, 1000, 1002, 1004번은 주간노선과 심야노선 경로가 완전히 다른 게 특이사항이다.

2011년 8월 1일부터 전라남도 화순군에 화순읍내로 가는 심야버스를 신설하였다.[1]

2013년 4월부터 서울특별시에 심야전용버스 N26번과 N37번을 시범 운행하였으며, 반응이 좋자, 그 뒤에 노선을 추가로 신설하였다. 해당 노선은 N13, N15, N16, N26, N30, N31, N37, N51, N61, N62, N64, N72, N73, N75다.[2] 2017년까지 약 4년동안 서울시 올빼미버스를 이용한 이용객은 1100만 명을 돌파한 것으로 나타났다.[3]이는 빅데이터를 효과적으로 활용한 사례로 꼽힌다. 서울시 올빼미버스의 인기에 힘입어 2017년 서울시는 우크라이나에 올빼미버스의 노하우를 전수하기로 결정했다.[4]

자세한 정보 연번, 업체명 ...
Remove ads

일본

Thumb
일본의 심야버스

일본에서는 심야 급행 버스와 심야 중거리 버스가 운행되고 있다.

중국·홍콩

Thumb
홍콩의 심야버스 N680번


각주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