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쌍형어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쌍형어(雙形語, 영어: doublet)란 하나의 언어 속에서 공통의 어원을 갖는 단어로부터 유래하였으나 모종의 까닭으로 복수의 형태로 병존하는 단어쌍을 말한다. 이중어(二重語)라고도 하며 이런 낱말들이 두 개가 아닌 여러 개가 존재할 때는 다형어(多形語) 또는 다중어(多重語)라고 한다. 쌍형어는 서로 동일한 어원을 공유하지만 반드시 의미와 용법이 일치하는 것은 아니다.
차용어가 복수의 시대 및 경로를 통해 유입되어 발생한 사례가 많지만 언어 내적인 음운현상으로 말미암아 발생하며 이를 내부 쌍형어라고 한다.
예시
요약
관점
한국어
현대 한국어에서는 '이슥하다-이윽고', '부스럼-부럼', '겉-거죽', '엷다-얇다', '비추다-비치다' 등의 내부 쌍형어가 나타난다. 이는 중세 한국어에서부터도 나타나는데 ‘듣글-드틀’, ‘니르다-니를다[至]', ‘구짖다-구짇다', '털-터리' 등이 그 예다.
중세 한국어에는 ‘잇다/시다’와 그 활용형 ‘이시니/시니’가 공존하였는데 이는 현대 제주 방언에서도 마찬가지이다. 이중 ‘시다’의 활용형 ‘셔’은 처격 또는 조격 조사에 결합되어 ‘에셔’와 ‘로셔’로 나타나 현대어까지 이어진다.[1]
중세 한국어의 쌍형어는 차용어로부터 발생한 사례는 거의 없고 대부분이 통시적인 음운현상으로 말미암아 발생한 것이다. 예컨대, 중세 한국어 쌍형어 ‘듣글/드틀’ ‘둗긔/두틔’ 등은 한국어의 격음 형성이 /ㄱ/ 혹은 /ㅎ/을 수반하는 자음군으로부터 유래한다는 가설[2][3][4]을 통해 설명될 수 있다. ‘둗거ᇦ-/두터ᇦ-/돋가ᇦ-/도타ᇦ-’도 비슷한 사례인데, 모음조화에 의해 각각 양모음과 음모음으로 나뉘어 사중어를 형성하였다.[5]
영어
영단어 faction/fashion은 궁극적으로 라틴어 factiō에서 기원하는 쌍형어이다. 두 형태 모두 프랑스어를 거쳐 차용된 것이지만 전자는 중세 프랑스어, 후자는 고대 프랑스어에 유입된 것으로 차용 시기가 다르다. chief/chef 또한 프랑스어로부터의 차용 시기가 다른 쌍형어이다. 마찬가지로 영단어 castle/château 또한 궁극적으로는 라틴어 castellum ‘진지(陣地)’에서 유래하지만 후자는 프랑스어를 경유했다. 라틴어 gentilis에서 기원하는 영단어 gentile/genteel/gentle/jaunty는 사중어를 이룬다.[6]
영단어 short/shirt/skirt/curt는 모두 게르만어에 공통 기원을 두고 있으나 앞의 둘은 고대 영어, 세 번째는 고대 노르드어, 마지막은 라틴어에서 유래한다. 이처럼 영어의 쌍형어에서 sh-/sk-가 공존하는 현상은 게르만어파 내부에서 상이한 음운변화를 겪은 언어 간에 차용이 이루어진 것이 그 원인이다.
한정사 a·an과 수사/한정사/대명사로 쓰이는 one은 모두 고대 영어 ān에 기원을 두고 있었는데 지금처럼 갈라졌다.
일본어
あわれ - あっぱれ는 감탄사 옛말 あはれ에서, こうむる - かぶる는 옛말 かがふる에서 갈라져 나온 것이다.
중국어
'后'와 '司'는 갑골문에서는 같은 글자였으나(정확히는 좌우대칭이었음) 나중에 갈라져 나온 것이다.
프랑스어
Homme-hominidé를 예로 들 수 있다.
Remove ads
관련 논문
- 이은경, 〈쌍형어에 대하여〉, 《비교문화연구》 50, 경희대학교(국제캠퍼스) 비교문화연구소, 2018년
같이 보기
각주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