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아랍에미리트의 인구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인구학적 동향
아랍에미리트는 지난 수년간 다양한 종교와 문화 배경을 가진 외국인의 유입으로 빠른 속도로 인구가 증가했다. 2005년 410만 명에서 2018년 950만 명으로 2배 이상으로 증가했다.[1] 이 중에 아랍 에미리트 시민은 11.5%에 불과하며, 나머지 88.5%는 외국인 노동자로 구성되어 있다. 외국인 중에서는 남아시아인이 59.4%(인도인 38.2%, 방글라데시인 9.5%, 파키스탄인 9.4%, 기타2.3%)로 가장 많았고, 나머지는 이집트인이 10.2%, 필리핀인 6.1%, 그 외 기타 12.8%를 차지했다.[2]
여성 시민 및 비시민 인구는 전체 인구의 28%에 불과한데, 남성 외국인 노동자가 압도적으로 많기 때문이다. 이 국가 인구의 절대 다수가 25-64세 노동 인구에 속하는데, 마찬가지로 이 연령대에 속한 외국인 노동자가 많기 때문일 것이다.[3]
또한 이 국가의 인구는 아부다비(290만 명), 두바이(270만 명), 샤르자(140만 명) - 3개 토후국 등 무산담 반도의 북동쪽 지역에 크게 집중되어 있으며, 인구의 75% 가까이가 거주하고 있다.[4][5][6]
Remove ads
인구 통계
요약
관점
1976-현재 출생 및 사망 통계
1950-현재 유엔 추계
인구
그 외 출생 및 사망 등 기타 통계
Remove ads
기대수명
1950-현재 출생시 기대수명
출처: 유엔 세계인구전망 2019[14]
유엔 인구 통계

2019년 유엔 인구 통계
총인구: 980만 명
15세 미만 인구: 14.7%
15~24세 인구: 11.8%
25~64세 인구: 72.4%
65세 이상 인구: 1.2%
노인 부양 가능 인구(65세 이상 노인 1명당 25~64세 노동 인구): 62.5명
인구 성장률: 1.3%
조출생률(인구 1000명당): 10.2명
합계출산율: 1.39명
조사망률(인구 1000명당): 1.5명
영아사망률(1살 미만 1000명당): 5명
유아사망률(5세 미만 1000명당): 6명
출생시 기대수명: 78.0세
Remove ads
성별 및 연령별 인구 구조

2005년 12월 5일 인구 조사
Remove ads
체류 외국인 현황
요약
관점
아랍에미리트 통계청은 국적별 인구 통계는 공표하지 않는다. 다음 자료는 각국 대사관에서 제공된 추정치에 해당한다.[16]
*이 국가들 수치의 경우, 직접적 출처는 대사관이 아닐 수도 있음.
Remove ads
각주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