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아시아문화중심도시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아시아문화중심도시[亞細亞文化中心都市]는 문화예술 교류를 통해 문화적 창의성을 높이고 아시아 국가간 협력의 구심점을 마련하기 위하여 추진된 중장기 정책(조성기간 2004년 ~ 2028년)으로 정치·경제·문화자원의 수도권 집중에 따른 폐해를 극복하고 미래형 도시발전모델을 창출하기 위한 국가균형발전사업이다. 노무현 대통령의 대선 공약으로 2003년 ‘아시아문화중심도시 광주 조성계획 보고회’를 통해 국책사업으로 추진되어 왔다.[1][2][3][4]
근거 법률
- 아시아문화중심도시 조성을 목표로 「아시아문화중심도시 조성에 관한 특별법」(이하 ‘아특법’)과 같은 법 시행령에 근거하여 수립되는 법정계획
- 「아특법」 제5조 제3항에 아시아문화중심도시조성 종합계획을 5년마다 수정, 보완하도록 명시되어 있음
제5조(종합계획의 수립)
①문화체육관광부장관은 아시아문화중심도시의 조성을 촉진하기 위하여 다음 각 호의 사항을 포함하는 아시아문화중심도시 조성을 위한 기본적이고 종합적인 계획(이하 "종합계획"이라 한다)을 수립ㆍ시행한다. ②문화체육관광부장관은 종합계획을 수립하는 때에는 광주광역시장, 종합계획과 관련이 있는 관계 중앙행정기관 및 지방자치단체의 장과 미리 협의한 후 제29조 의 규정에 따른 아시아문화중심도시 조성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대통령의 승인을 얻어야 한다. ③문화체육관광부장관은 종합계획을 5년마다 수정ㆍ보완하여야 한다. ④문화체육관광부장관은 제1항 및 제2항의 규정에 따라 종합계획을 수립하거나 제3항의 규정에 따라 그 내용을 수정ㆍ보완한 때에는 이를 지체 없이 관계중앙행 정기관의 장 및 광주광역시장 등 관련 지방자치단체의 장에게 통보하고 일반인이 공람할 수 있도록 공고하여야 한다. ⑤제1항의 규정에 따라 수립한 종합계획을 변경하는 경우에는 제2항의 규정을 준용한다. 다만, 대통령령이 정하는 경미한 사항을 변경하는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
Remove ads
연혁
- 2002년 12월 14일 16대 노무현 대통령후보 “광주문화수도 육성” 선거공약 발표
- 2003년 4월 8일 노무현 대통령 광주문화수도 육성계획 특별홍보 지시
- 2003년 5월 18일 노무현 대통령, 광주를 “아시아 문화예술메카 육성” 발표
- 2003년 11월 7일 "아시아문화중심도시 광주 조성계획" 보고회 개최
- 2004년 9월 9일 문화중심도시조성추진기획단 광주사무소 개소식. 문화전당 건립예정부지 ‘전남도청 일원' 확정
- 2005년 12월 7일 국립아시아문화전당 착공식 개최(광주)
- 2008년 4월 21일 국립아시아문화전당 건축공사 착공
- 2008년 6월 10일 국립아시아문화전당건립 기공식
- 2008년 10월 15일 아시아문화중심도시 백서(2004~2007) 제작 및 배포
- 2008년 12월 10일 국립아시아문화전당 건립공사 일시정지
- 2009년 2월 25일 국립아시아문화전당 공사 재개
- 2009년 3월 30일 ‘아시아문화중심도시 조성 2010년도 연차별실시계획(안)’ 문화체육관광부 승인
- 2009년 5월 20일 '국립아시아문화전당 개관·운영 계획(안)' 장관보고
- 2009년 9월 17일 2009년도 전당 5개원 운영체계 구축 추진사업 차관보고
- 2009년 9월 22일 문화체육관광부 장관, 10인대책위 정책협의회 개최
- 2010년 3월 25일 ‘아시아문화중심도시 조성 2011년도 연차별 실시계획안’ 승인
- 2010년 4월 19일 '국립아시아문화전당 운영총괄계획' 발간
- 2010년 11월 '아시아문화중심도시 백서(2009)' 제작 및 배포
- 2011년 4월 15일 '국립아시아문화전당 운영총괄계획' 발간
- 2011년 9월 아시아문화중심도시 백서(2010) 제작 및 배포
- 2012년 4월 18일 ‘아시아문화중심도시 조성 2013년도 연차별 실시계획안’ 승인
- 2012년 9월 3일 '아시아문화중심도시 백서(2011)' 제작 및 배포
- 2013년 2월 13일 '아시아문화중심도시조성위원회 종합계획 수정계획(안)' 심의
- 2013년 3월 29일 '아시아문화중심도시 조성 2014년도 연차별 실시계획안' 승인
- 2013년 5월 23일 아시아문화중심도시 종합계획 수정계획 확정 및 관보 게재
- 2013년 12월 '아시아문화중심도시 백서(2012)' 제작 및 배포
- 2014년 3월 28일 ‘아시아문화중심도시 조성 2015년도 연차별 실시계획안’ 승인
- 2014년 12월 '아시아문화중심도시 백서(2013)' 제작 및 배포
- 2015년 3월 13일 「아시아문화중심도시 조성에 관한 특별법」 일부개정
- 2015년 6월 1일 아시아문화중심도시 조성에 관한 특별법 시행령 일부 개정
- 2015년 7월 13일 아시아문화중심도시추진단 직제개편
- 2015년 11월 25일 국립아시아문화전당 공식 개관
- 2016년 9월 5일 아시아문화중심도시 조성에 관한 특별법 시행령 개정
- 2017년 7월 19일 아시아문화중심도시 조성사업 활성화 관련 지역공약 이행방안 공표
- 2018년 8월 아시아문화중심도시조성 종합계획 수정계획 발표(7대 문화권 → 5대 문화권 개편 내용 반영)
- 2021년 3월 아시아문화중심도시 조성에 관한 특별법 개정
- 2022년 1월 국립아시아문화전당재단 출범
- 2022년 2월 '아시아문화중심도시 조성 종합계획 수정계획안(2022~2028)' 조성위원회 심의・의결
- 2022년 3월 '아시아문화중심도시 조성 종합계획 수정계획안' 승인
Remove ads
문화권 조성
요약
관점
구) 7대 문화권 조성(2007년 종합계획, 2013년 수정)
5대 문화권 조성(2018년 수정)[5]
Remove ads
국립아시아문화전당 내 주요 시설[6]
Remove ads
투자 비용[7]
※ 투자규모 및 정부 재정분담은 향후 변경 가능
사건·사고 및 논란
문화기술연구원
2011년 11월 16일 문화산업진흥기본법 개정안이 국회 문화체육관광방송통신위원회를 통과해 아시아문화중심도시 조성사업의 핵심인 문화기술(CT)연구원 광주 설립이 탄력을 받을 전망이다. CT연구원 광주 설립은 이명박 대통령이 공약사항으로 발표하고 지난 2007년 아시아문화중심도시 종합계획에 반영됐음에도 불구, 수년간 제자리걸음을 해 왔다.[8]
장병완 의원이 대표 발의한 문화산업진흥법 개정안은 CT연구원을 법인으로 설립하고 연구원의 설립·시설 및 운영 등에 필요한 경비를 정부 예산의 범위에서 보조할 수 있도록 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법안이 통과되면 2012년에 준비위원회가 구성되고 2013년 1월에는 CT연구원이 출범하게 된다.[9]
같이 보기
각주
외부 링크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